• 제목/요약/키워드: 산사태 발생원인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6초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분석(分析) (I) - 지형(地形) 및 지질특성(地質特性)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Maeri (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Geo-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

  • 박재현;최경;배종순;마호섭;이종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29-134
    • /
    • 2005
  • 이 연구는 김해시 상동면 매리 산사태지 1.5 ha에서의 발생특성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한 것으로써 지형 및 지질적인 요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지의 모암은 섬록암이며, 상부사면 및 주변은 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너덜(Talus)이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산사태는 2004년 4월 19일에 발생되었으며, 산사태 발생 전 3일 동안의 연속강우량은 74 mm이었으나, 강우가 직접적인 영향이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역 땅밀림 산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깊게 형성된 붕적토층과 풍화토층 등 지질 지형적인 특성과 사면하단부 절취라 판단된다. 이 지역의 산사태 유형은 지하수에 의한 요(凹)지형 붕적토 땅밀림형 산사태에 해당한다.

GIS와 AHP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결정 및 유발인자의 영향 (The Effect of Landslide Factor and Determination of Landslide Vulnerable Area Using GIS and AHP)

  • 양인태;천기선;박재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2
    • /
    • 2006
  • 강원도 지역은 산지지형이 많고 여름철 장마나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해서 산사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산사태를 유발하는 인자들은 매우 다양하고 붕괴 메커니즘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산사태와 같은 자연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GIS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자료를 분류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실세계를 모델링함으로서 분석결과를 시각적이고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거 산사태가 발생하였던 지역에서의 산사태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산사태를 유발하는 인자를 결정하고, 각 유발인자들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GIS DB를 구축하였으며, AHP법에 의해 경중률을 계산하고 GIS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산사태 발생취약성을 평가한 후, 각각의 산사태 유발인자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임상인자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일원에서 발생된 산사태의 원인 (The Study on the Landslide Occurred in the Nongong Area in Dalseong-gun, Kyeongbuk)

  • 황진연;김종열;김재영
    • 지질공학
    • /
    • 제5권3호
    • /
    • pp.249-258
    • /
    • 1995
  • 경북 달성군 논공면 일원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질구조와 점토광물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산사태의 지질구조에 의해 그 규모와 미끄러진 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특히,미끄러진 바닥면은 점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점토에는 삼팔면체형 버미튜라이트와함께 스멕타이트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기반암에 발달되어 있는 층리절리계 및 파쇄대 내에 협재된 팽윤성 점토광물의 존재가 산사태의 발생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충주시 상산마을 주변 임도 산사태의 발생 원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andslide Occurrence along a Forest Road Near Sangsan Village, Chungju, Korea)

  • 김형신;문성우;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32권1호
    • /
    • pp.73-83
    • /
    • 2022
  • 충주시 상산마을 주변 임도에서 집중호우 기간 중 산사태가 발생한 임도 상부사면 6개소, 하부사면 24개소를 대상으로 붕괴 원인을 분석하였다. 토층의 물리·역학적 특성은 임도 하부사면이 상부사면에 비해 공극이 많아 건조단위중량이 낮고, 토층의 입자 배열이 느슨하여 마찰각이 작다. 지형학적 특성은 임도 하부사면이 상부사면에 비해토층이 두껍고, 경사방향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오목하며, 경사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특정집수면적이 넓어 지형습윤지수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임도 하부사면은 상부사면보다 물리·역학적 특성 및 지형학적 특성이 전반적으로 산사태 발생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두 원인 외에도 임도 배수시설의 시공 및 유지관리가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한 점도 사면붕괴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GIS를 이용한 강우조건에 따른 산사태 취약지 평가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 양인태;천기선;박재국;이상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39-46
    • /
    • 2007
  • 강원도 지역은 산지지형이 많고 여름철 장마나 이상기후에 의한 국지적인 집중호우에 의해서 산사태가 발생하기 쉬운 자연조건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강우는 산사태를 유발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요소이다. 산사태 발생면적과 4개월간의 누적강우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면, 3개월간의 강우량이 1,100mm 이상이 되는 지역에서는 극심한 산사태 피해가 발생하게 되고 누적강우량이 많을수록 산사태의 규모도 커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산사태 취약지역에서 강우에 의해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함과 동시에 일정이상의 강우가 발생하면 취약성이 낮은 지역에서도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충분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유발인자들에 대한 GIS DB를 구축하고 산사태 취약성을 평가한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조건을 달리하면서 산사태 취약지의 분포 변화를 모의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강우량이200mm이상 발생하였을 때 산사태 발생가능성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강원 영서지역 산사태 및 강우특성 분석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at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 유남재;윤대희;엄재경;김동건;박병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9호
    • /
    • pp.75-82
    • /
    • 2012
  • 본 논문은 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빌리스의 영향으로 강원 영서지역에서 발생한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 원인과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강원 영서지역은 편마암, 화강암이 풍화된 화강풍화토가 주를 이루는 지역으로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및 토석류의 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특성 분석결과, 산사태 발생은 3일 이내의 누적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지역별 발생빈도의 차이는 최대시우량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영서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860개소에 대한 자료의 분석 결과, 파괴 형태는 전이형 슬라이드로 시작되어 유동성 슬라이드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사면 경사는 $20{\sim}30^{\circ}$ 사면 길이는 11~20m 범위, 사면 폭은 6~10m 범위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서지역의 산사태는 사면 폭이 좁은 소규모 형태로 편마암, 화강암 지대의 산사태 전형으로 분석되었다.

토석류 피해지 현장조사 및 LiDAR 자료의 활용 (Application of LiDAR Data and Site Surveys of Damaged Field by Debris Flow Disaster)

  • 오채연;전계원;전병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9-279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재재해가 발생하여 인근 도심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산지 토사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과거 강원도 인제군에서 발생한 산사태 및 토석류가 발생 현장을 조사하였고 발생유역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GIS기법을 이용하여 기후, 지질, 지형, 토양 등의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보다 정밀한 지형인자 추출을 위하여 지상 LiDAR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현장을 스캔하고 3D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추후 공간자료와 3D지형자료를 활용하여 토석류 발생량 추적이나 확산 범위등 정밀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PDF

Raster 모델을 이용한 재해위험지 예측기법 (The Prediction of Hazard Area Using Raster Model)

  • 강인준;최철웅;정창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3-53
    • /
    • 1994
  • GS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는 재해 위험지역 결정에 필요한 재해 위험지역 해석에 매우 유용하므로 지도나 항공사진상에서 자료를 디지타이징 혹은 스캐닝을 통하여 지형자료를 입력하고 조사된 재해인자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서 위험지역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동래구 일원을 대상으로 기존의 지도, 항공사진, 인공위성영상, 토양도를 GSIS기법과 RS기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레스터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산사태 발생의 원인분석, 원인규명 및 산사태의 인자확인을 하였으며, 레스터자료는 사분트리구조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벡터자료는 위상벡터 모델을 사용하여 두 모델의 자료를 중첩처리하여, 결과를 사분트리구조로 얻었다. 그 결과 정확한 중첩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통합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으며, 위험지역을 항공사진상에 표현하여 산사태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 PDF

점토광물의 분광반사율 및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사태 발생지역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locations using Spectral Reflectance of Clay Mineral and ASTER Satellite Image)

  • 남경훈;이홍진;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4권3호
    • /
    • pp.411-42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2011년 경기도 용인시에서 발생한 산사태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팽창성 점토광물 및 지형분석을 통한 산사태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XRD, XRF, 분광분석 및 아스터(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점토광물 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한 산사태 발생원인과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일라이트는 0.9와 $1.0{\mu}m$ 인근파장대역에서 $Fe^{2+}$$Fe^{3+}$의 흡수가 나타났으며 1.4와 $1.9{\mu}m$ 인근파장대역에서 OH와 $H_2O$의 강한 흡수 특성이 일어났다. 추가적으로 2.2, 2.3과 $2.4{\mu}m$ 인근파장대역에서 Al-hydroxyl이 나타났다. 흡수 특징은 아스터 위성영상의 밴드 5, 6, 7에서 일치하였고, $SWIR_{Illite}$ 밴드연산을 이용하여 일라이트 영상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팽창성 점토광물에 의한 산사태 해석에 아스터 위성영상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