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불 감시 시스템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Wireless Sensor Network for Wildfire Monitoring (산불 감시를 위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 Sohn, Jung-Man;Seok, Chang-Ho;Park, Whang-Jong;Chang, Yu-Sik;Kim, Jin-Ch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4
    • /
    • pp.846-851
    • /
    • 2007
  • The wireless sensor network is one of the most practical and cost-effective solutions for monitoring systems covering wild and wide area such as wildfire monitoring. However, the RF distance between sensor nodes is very short due to the need of low power consumption of the sensor node, so the number of sensor nodes to be deployed in the target area is more than tens of thousand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analyze the deployment issues as well as re-deployment problem occurred when the battery is exhausted. We also propose the needs and solutions for coverage problem in dynamic deployment. By the experimental evaluations, we analyze the packet success ratio between sensor nodes under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obstacles and variable distan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Forest Fire Monitoring and Situational Response Platform Using UAV with Multi-Sensor (무인기 탑재 다중 센서 기반 국지 산불 감시 및 상황 대응 플랫폼 설계 및 구현)

  • Shin, Won-Jae;Lee, Yong-Ta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0 no.6
    • /
    • pp.626-632
    • /
    • 2017
  • Since natural disaster occurs increasingly and becomes complicated, it causes deaths, disappearances, and damage to property.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ICT-based natural disaster response technology which can minimize economic and social losses. In this letter, we introduce the main functions of the forest fire management platform by using images from an UAV. In addition, we propose a disaster image analysis technology based on the deep learning which is a key element technology for disaster detection. The proposed deep learning based disaster image analysis learns repeatedly generated images from the past, the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isaster situation of forest-fire similar to a perso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isaster image analysis technique.

A Design of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nmaned Copter and Sensor Network (무인헬기 및 센서네트워크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설계)

  • Yun, Dong-Yeol;Kim,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83-38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고 정확한 산불감지를 위해 센서 네트워크 기술 및 무인 항공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화재 감지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범위한 영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 노드들과 이 영역위에서 자유로이 비행하면서 실시간으로 센서 노드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헬리콥터 및 헬리콥터에 장착되어 화재발생지점의 화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원격의 서버로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산불 감지용 테스트베드를 제작하여 설계 제작된 시스템의 실제 적용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Mountain 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System for Forest Fire Prevention (산불 방지를 위한 산악기상관측시스템 구축방안)

  • Lee, Si-Young;Chung, Il-Ung;Kim, Sang-Kook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8 no.1
    • /
    • pp.36-44
    • /
    • 2006
  •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forest fire danger map in the Yeongdong area of Gangwon-do and Northeastern area of Gyeongsangbuk-do using a forest fire rating mode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e investigated the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 and a comprehensive network solution (a system including measurement, communication and data process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ptimum mountain 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system (MMONS). Also, we suggested a possible plan for combining the MMONS with unmanned monitoring camera systems and wireless relay tower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Korea Forest Service for prevention of forest fire.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Disaster Drone System Using Deep Learning-Based Object Recognition and Optimal Path Planning (딥러닝 기반 객체 인식과 최적 경로 탐색을 통한 멀티 재난 드론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 Kim, Jin-Hyeok;Lee, Tae-Hui;Han, Yamin;Byun, Heejung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10 no.4
    • /
    • pp.117-122
    • /
    • 2021
  • In recent years, human damage and loss of money due to various disasters such as typhoons, earthquakes, forest fires, landslides, and wars are steadily occurring, and a lot of manpower and funds are required to prevent and recover them.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 disaster drone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der to monitor these various disaster situations in advance and to quickly recognize and respond to disaster occurrence. In this study, multiple disaster drones are used in areas where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monitor, and each drone performs an efficient search with an optimal path by applying a deep learning-based optimal path algorithm.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battery capacity,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of drones, the optimal route of each drone is determined using Ant Colony Optimization (ACO) technology. In order to implement the proposed system, it was applied to a forest fire situation among various disaster situations, and a forest fire map was created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and a forest fire map was visually shown to the fire fighters dispatched by a drone equipped with a beam projector. In the proposed system, multiple drones can detect a disaster situation in a short time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optimal path search and object recogni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can be used to build disaster drone infrastructure, search for victims (sea, mountain, jungle), self-extinguishing fire using drones, and security drones.

Wildfire Risk Index Using NWP and Satellite Data: I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2019 Kangwon Wildfires (기상예보모델자료와 위성자료를 이용한 산불위험지수 개발 및 2019년 4월 강원 산불 사례에의 적용)

  • Kim, Yeong-Ho;Kong, In-Hak;Chung, Chu-Yong;Shin, Inchul;Cheong, Seonghoon;Jung, Won-Chan;Mo, Hee-Sook;Kim, Sang-Il;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2
    • /
    • pp.337-342
    • /
    • 2019
  • This lett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WRI (Wildfire Risk Index) using GDAPS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and satellite data, and its application to the Goseong-Sokcho and Gangneung-Donghae wildfires in April 4, 2019. We made sure that the proposed WRI represented the change of wildfire risk of around March 19 and April 4 very well. Our approach can be a viable option for wildfire risk monitoring, and future works will be necessary for the utilization of GK-2A products and the coupling with the wildfire prediction model of the Korea Forest Service.

Trends in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지능형 영상보안 기술현황 및 동향)

  • Yu, Jang-Hui;Mun, Gi-Yeong;Jo, Hyeon-Su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4
    • /
    • pp.80-88
    • /
    • 2008
  • 9.11 사태 이후, 세계 각국은 개인 및 공공의 안전을 위한 국토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한층 더 실감하고 이에 대한 노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지능형 영상보안 기술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아날로그 CCTV에서 디지털 저장장치, IP 기반기술과의 결합과 지능형 영상인식에 이르기까지 영상보안 기술은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시설물과 출입자에 대한 수동적인 녹화 및 감시에서 실시간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자율대응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공항, 군사, 항만, 도로, 교량 등 주요 국가시설, 지하철, 버스, 사무실, 카지노에서 산불감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분야로 그 응용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영상 보안 기술의 현황과 시장동향, 지능형 영상보안 및 Human ID 기술, 최근 이슈와 발전 방향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Detecting and Tracking Gaseous Objects in Video Data (화상 데이터에서 기체의 감지 및 추적)

  • 김원하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11d
    • /
    • pp.21-24
    • /
    • 2000
  • 기체에 대한 영상처리 기술은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넓고, 그에 따른 산업적 · 경제적 중요성도 증가되게된다 한 예로서 자동으로 공장오염 감시나 산불감시등에 사용되는 영상기기에 곧바로 기체에 대한 영상처리 기술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체는 고체와는 다른 다음과 같은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고체의 경우 물체의 경계선이 비교적 분명하지만, 기체의 경우 하나의 기체 내에서도 밀도 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그 경계선에서도 밀도가 불규칙하여서 기체의 경계선을 정확히 정의하기 힘들다. 둘째, 기체 분석을 위한 영상들은 대체로 잡음이 많고, 기체의 크기에 비하여 해상도가 낮다. 따라서 기체 영상은 픽셀(Pixel) 단위로 분석 처리하기가 어렵다. 위와 같은 기체가 가지는 특성 때문에 고체에 대한 영상 처리 기술을 기체에 직접적으로 적용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 데이터에서 기체를 감지하여 추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Japanese Disaster Relevant Regulations and NHK (일본의 재난방송 관련 법규와 NHK에 관한 연구)

  • Le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212-215
    • /
    • 2019
  • 지난 4월4일 고성 산불로 사망자 2명과 부상자 1명, 가옥 500여 채, 삼림 1757ha가 불에 탔다. 강원 산불에 이어 영덕지진 등에서 늑장대응을 보여준 재난방송시스템에는 많은 국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인 KBS는 물론, MBC, SBS의 경우도 재난방송시스템에 관련 된 측면에서 본다면 아직 이웃나라 인 일본에 비해서는 매우 열악한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점 대형화, 다발화 하는 재난발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차세대 재난정보 전달체계인 IPAWS(Integrated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를 개발해 지상파뿐만 아니라, 케이블TV,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난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고 있다. 일본도 이와 유사한 재난경보전달시스템인 J-Alert를 개발해 2020년까지는 '재난 약자 제로(Zero)시대'를 목표로 구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아현동 KT 화재사건에서도 경험했듯이 통신이 먹통이 되는 통신블랙아웃도 경험했다. 따라서 대형재난발생 시는 신속한 재난경보전달시스템이 재난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생명줄이 될 수 있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는 재난방송전달시스템을 관련법령으로 제도화 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는 재난에 관한 모법이라고 할 수 있는 (1)"재해대책기본법"이 있는데, 이는 재해로부터 국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기본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 밖에도 (2)방송법 (3)대규모지진대책특별 조치법 (4)국민보호법 (5)소방조직법 (6)수해방지법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과거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 대형 산불이 잦았으나 요즘은 소형 산불만 발생하는 추세다. 이는 NHK가 보유한 700여 대의 로봇카메라와 전 국토를 샅샅이 감시하는 CCTV 덕택이다. 또한, NHK 보도국의 '기상 재해센터'는 재난에 대비해 40여 명의 전문 인력이 24시간 대응체제를 갖추고 있다. 나아가 NHK는 전국 12개의 거점지역에 헬리콥터 15대를 배치하여 신속하게 취재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46개의 지역방송국을 7개의 거점방송국으로 분할하여, 거점방송국마다 40여명의 카메라맨을 상주시켜 언제든지 재난을 취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송 주파수는 공공재(公共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으로부터 주파수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에 관한 사용 권한은 각국의 국민 모두에게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주파수 활용을 전제로 정부가 일정한 자격을 갖춘 방송사업자에게 일시적으로 주파수 사용권을 위임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 정부도 국가적인 위기나 대형 재난발생으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고 있을 때에는 공공재인 주파수를 즉시 재난방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해대책기본법 제6조>와 방송법 제108조에 규정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