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복도로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Capacity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역량강화 사업의 개선 -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의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

  • Jang, Kwon Hyun;Oh, Kwang-Sue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3-134
    • /
    • 2017
  • 본 연구는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의 1~4차 년도 사업지의 거점시설을 사용하는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자료와 분석의 틀을 통해 주민역량강화사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주민역량강화사업에도 불구하고 거점시설들의 운영은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남은 기간 사업들의 실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주민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사업기간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배분하여야 한다.

  • PDF

Acquisition Strategy for Constructing Local Archives: The Case of Busan Sanbokdoro Archives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Hwa-K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2 no.2
    • /
    • pp.143-161
    • /
    • 2012
  • In this study, the local archives suggested th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creating your strategy to the corridors of the local archives to Busan Sanbokdoro to build a acquisition of strategies to establish. First, the role of the local archives and organize the vision and goals of the Sanbokdoro archives. The residents of the region from the Sanbokdoro archives depending on the vision of the life orientation commands queue for archiving documentation strategies and acquisition plans were introduced. Sanbokdoro archives for specific topics, events, places, and so on, gather for a specific acquisition strategy and operating program through acquisition activities after the opening of the archives is to establish measures to acquisition the General acquisition.

Spatial Estimation of Satellite-based Landcover Classification in Han River Watershed (인공위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한강 유역 토지 피복의 공간 분포 산정)

  • Choi, Minha;Han, Seungjae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0-170
    • /
    • 2011
  • 토지피복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태 및 사용 용도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정보로 농업, 환경, 재해, 수자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식생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증산과 토양에서 일어나는 증발을 증발산이라 통칭하며, 이의 정확한 산정은 수리, 수문학적 유역 분석에 중요하다. 정확한 증발산의 산정을 위해서는 기압, 온도 등 기상 인자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토지피복 특성 역시 증발산에 큰 영향을 주므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이므로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취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 5 TM(Thematic Mapper) 영상을 기반으로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여 ISODATA Training과 Masking기법을 사용하여 한강 유역의 토지피복도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의 영상을 사용하였고, 토지의 분류는 수역, 시가, 나지, 습지, 초지, 산림, 농지의 7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대다수를 이루는 수역, 시가, 산림, 농지에 대한 높은 정확도를 갖는 토지피복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군사경계 외부의 지역도 포함된 결과이다. 단, 나지와 습지, 초지 부분의 정확도는 비교적 떨어지나, 우리나라의 토지특성상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신뢰할 만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결과와 외부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향상된 토지피복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군사지역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토지피복 현황을 파악하여 정확한 증발산 산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order to Predict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토지피복 분류)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2-322
    • /
    • 2011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로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난 수십 년간 산림개간과 도시화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초래하여 토지피복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불투수층을 증가시켰고, 산림개간으로 산림이 농장으로 변하여 침투율을 감소시켜 유출률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토지피복의 변화는 토양수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분류를 위해 구름의 영향이 적은 Landsat TM 영상을 사용하여 청미천 유역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청미천 유역은 현재 국제수문관측사업(IHP)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수문관측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으로, 추후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를 비교할 수 있는 유역이다. Landsat TM 영상은 2009년 5월 23일에 관측된 115-34(path row) 영상으로 구름이 거의 없는 날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중 스펙트럴 위성영상인 Landsat TM 영상은 30m 공간해상도로써 토지피복분류와 식생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천 유역의 위성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무감독분류와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토지피복도는 국토해양부에서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AMIS) 을 통하여 제공되는 토지피복도와 비교하였다.

  • PDF

Aesthetic Factors of Color Combinations in Hillside Renaissance Villages - An Analysis based on Color Harmony Theory - (색채 조화이론을 통해 본 산복도로 르네상스마을 조형성 분석)

  • Kim, Min-Sung;Chung, J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6 no.3
    • /
    • pp.77-8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esthetic factors in color combinations of house exteriors in hillside villages, Busan. The so-called 'Hillside renaissance' is a representa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Busan. The towns in hillside area in Busan have developed colorful sceneries. But all the colorful sceneries are not the same. Each town has own color characters and different aesthetic color effects.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unique aesthetic components in color combination of Gamcheon and Daecheo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traditional color harmony theories. The analysis focuses, inter alia, on Moon-Spencer's 'Aesthetic Measure'. A house exterior color has relations with two neighboring colors in array. And those three colors with next two houses have again each three hue, value and chroma relations. This analysis is first to determine whether each sample color combination is harmonized, and if harmonized, next step to list which aesthetic factor is dominantly contributing to color harmony. And at last, to study the subcategorized sectors of each color components of the hue, value and chroma.

Improvement of the GRM model for Continuous Runoff Simulation (연속형 유출모의를 위한 GRM 모형의 개선)

  • Yun Seok Choi;Si Jung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2-382
    • /
    • 2023
  • 기존의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에서는 강우-유출 사상에 대한 유출 모의를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RM 모형에서 연속형 모의가 가능하도록 차단, 증발산, 융설을 모의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차단은 LAI의 연최댓값과 해당월의 값의 비율을 이용해서 계산하며, 증발산은 Blaney-Criddle, Hamon, Hargreaves, Priestly-Taylor 방법을 적용하였다. 융설은 Anderson에 의해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속형 모의를 위한 모델 매개변수 설정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였으며, 기온, 일사량, 일조시간 등의 기상자료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계산된 각 수문성분을 출력할 수 있도록 GRM 모형의 입력과 출력 모듈을 개선하였다.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개선된 모형을 적용하였다. 공간자료의 해상도는 500m × 500m로 구축하였으며, 수문학적 지형정보와 토양도, 토지피복도를 구축하였다. 기상자료를 강수량, 일최고 기온, 일최저 기온, 일조시간, 일사량을 적용하였다. 증발산은 Hargreaves 방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기간은 2001년 ~ 2018년이며, 이 중 2004년까지의 4년은 모델 warming up 기간으로 하고, 적합도 평가는 2005년 ~ 2018년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였다. 충주댐 유입량 모의결과를 관측값과 비교하였을 때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NSE) 0.84, 상관계수 0.92, 총용적 오차는 0.26%를 나타내어 관측유입량을 잘 재현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차단, 증발산, 융설 모의 기법은 적절히 구현된 것으로 판단되며, GRM을 이용한 연속형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유역에 대해 GRM을 이용한 연속형 유출모의 결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Local-based Community Business in the Early Stages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도시재생정책 초기의 지역밀착형 커뮤니티 비즈니스 특성에 관한 연구)

  • Han, Seoung-Uk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7 no.3
    • /
    • pp.47-58
    • /
    • 2021
  • In 2010, Busan Metropolitan City established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urban regeneration. The Sanbok Road Renaissance Project and Hope Village Project are representa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usan Metropolitan City is a leading local government that has expanded community business through urban policie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community businesses bas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e early stages of urban regeneration policy.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community-based community business is 'community empowerment'. However, the project effects such as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to help each other' and 'residents'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were low. In order to operate a community business, it is important to secure sufficient business capital and secure necessary human resources. In order to revitalize community-based community businesses through urban regeneration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vert support into functional organization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ather than expanding subsidie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business participation.

Resource Plants of Mt. Midong in Chungcheongbuk-do, Korea (충청복도 미동산의 자원식물상)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조흥원;김덕식;이철희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7 no.2
    • /
    • pp.122-13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source plants of Mt. Midong. The resource plant of Mt. Midong was surveyed from March, 2002 to October, 2003. In the result of survey,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Mt. Midong were summarized as 400 taxa; 85 families, 266 genera, 349 species, 48 varieties and 3 forms. And in the results of survey on resource plants among 400 taxa, we confirmed 162 taxa of ornamental plants(40.5%), 250 taxa of edible plants(62.5 %), 257 taxa of medicinal plants(64.3%) and 167 taxa of the others(41.8 %). The six taxa were recorded in the surveyed sites as the Korean endemic plants; Hytomecon hylomeconoides, Filipendula palmata var. glabra, Ajuga spectabilis, Weigela subsessilis, Cirsium setidens and Saussurea seoulensis.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ry Service were two taxa; Hylomecon hylomeconoides and Polygonatum stenophyl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