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림습원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1초

강원도 지역 산림습원의 식물다양성 연구 (Plants Species Diversity and Flora of Wetlands in the Forest of Gangwon Province)

  • 손호준;김영설;김남영;이학봉;김세창;이희봉;박완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19-44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ndigenous habitat of Simjeok forest wetland, Mt. Jeombomg forest wetland, Mt. Sohwangbyung forest wetland, Jilmoi-neup, and Mt. Myeon forest wetlan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47 taxa; 92 families, 296 genera, 468 species, 4 subspecies, 67 varieties, 8 forms. The plants that are specially noteworthy are 17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3 taxa of Critical Endangered Species (CR), 4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8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17 taxa of Least Concemed Species (LC) in rare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Furthermore, V, IV, III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9 taxa, 14 taxa and 34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5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variety of plants observed in the wetlands of Gangwon Province.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대암산(大岩山) 고층습원(高層濕原) 주변(周邊)의 산림군집(森林群集) 분석(分析) (The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Raised Bog in Mt. Daeam)

  • 송호경;권기원;임경빈;정진철;장규관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5-152
    • /
    • 1993
  • 대암산(大岩山) 용늪 주변(周邊) 산림군집(森林群集)의 구조(構造) 및 종조성(種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과 DCCA를 사용(使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um, Betula costata, Acer mono 등(等)의 순(順)이다. 산림토양(森林土壤)의 pH는 용늪 주변(周邊)이 5.0-5.5이고 용늪 내에서 5.3-5.4로 차이가 없었다. 대암산(大岩山)의 산림군집(森林群集)은 Quercus mongolica-Acer mono, Quercus mongolica-Prunus sargentii, Quercus mongolica-Abies nephrolepis-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Quercus mongolica-Abies nephrolepis-Betula costata의 4 group으로 나누어지며, 또한 주요(主要) 군집(群集)들과 환경(環境) 요인(要因)들과의 관계(關係)로 보면 신갈나무-산벚나무 군락이 전질소(全窒素), cation exchange capacity, $Mg^{+{+}}$, $Ca^{+{+}}$ 등(等)의 양료(養料)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는 반면 신갈나무-분비나무-거제수나무 군락이 양료(養料)가 적은 곳에 분포(分布)하고 있다.

  • PDF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 정수영;박진선;박기쁨;김상준;안종빈;이아영;황희숙;윤호근;송진헌;정지영;김일권;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산림과 농업 개발로 인한 쿠시로습원 타호부호수의 최근 토사동태 (Status of Sediment Dynamics in Lake Takkobu of the Kushiro Mire, Japan, Associated with Forestry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Watershed)

  • 안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55-763
    • /
    • 2010
  • 농지 개발로 인한 다량의 세립토사 유입은 타호부호수의 생태계를 악화시키고 있다. 호수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 $^{137}Cs$, 과 화산재를 이용한 연대측정을 위해 호수 퇴적물 시료 15개를 채취하였다. 타호부호수에서 과거 300년간 토사퇴적속도를 조사한 결과, 유역에서 인위적 개발이 없는 1898년 이전 자연상태에서는 토사퇴적량이 0.1-1.1 mm $year^{-1}$였고, 인위적 개발이 시작된 1898년 이후에는 0.6-12.8 mm $year^{-1}$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즉, 산림벌채, 하천공사와 농지개발 이후 토사퇴적량은 자연상태보다 6-12배 증가하여 호수의 수심이 얕아지는 현상을 가속시켰다. 1898년부터 1963년 사이의 호수 토사퇴적속도는 개별 소유역으로부터 토사유입 영향에 따라 공간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1898년부터 1963년 사이의 호수 남쪽부분의 토사퇴적량은 산림벌채에 의한 숯 생산과 생산된 숯을 수송하기 위한 운하공사로 인해 호수 중앙과 북쪽부분보다 많았다. 하지만 1963년 이후 남쪽부분의 토사퇴적량이 감소하고 중앙과 북쪽부분에서 토사퇴적량이 증가하여 호수 안에서 토사퇴적의 공간적 변화는 없었다. 왜냐하면 호수 남쪽부분에서 많은 양의 토사퇴적은 호수 수심을 얕게 하여 토사를 침전시키는 능력을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하천 출구에 위치한 지점의 토사퇴적량은 자연상태에 비해 5-32배 높았다. 그리고 쿠시로강(평상시 타호부호수는 쿠시로강으로 배수)은 홍수시 탁수가 역류하여 호수로 유입하기 때문에 토사 유입 증가에 공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의도(인천시)의 습지 식생 (Vegetation of wetland in Mueuido(Incheon-city))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7-205
    • /
    • 2010
  • 인천시 무의도 습지 주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현황과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무의도 습지의 식생은 2개의 군락군과 6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습지 내에는 땅귀개-흰개수염 군락군으로 대표되며 2개의 군락(고양이수염군락과 갈대군락)이 분포하였고 습지 주변에는 오리나무 군락군으로 대표되며 4개의 군락(진퍼리새군락, 쇠보리군락, 졸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억새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관속식물의 종류조성은 30과 53속 50종 8변종, 총 58분류군이며, 그중 피자식물이 주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중 한국특산식물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땅귀개와 이삭귀개, 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아까시나무, 1분류군만이 관찰되었다. 환경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이 땅귀개와 이삭귀개 등 2분류군, II등급은 돌양지꽃, I등급은 굴참나무와 애기쉽싸리 등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소산식물의 생활형을 보면, 수생식물이 전체의 20.7%인 12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1년생식물은 1종류만이 관찰되었다. 무의도의 marsh형 습지는 다양한 습지식물이 분포하며, 식충식물인 땅귀개와 이삭귀개가 우점하고 물이끼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Bog(산성습원)형태로 진행 중인 습지로 판단된다. 습지의 주변은 인간간섭에 의한 훼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시급한 보전대책이 있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