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림복원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7초

산지습지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수문학적 기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hydrologic func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at forested wetland)

  • 정유경;강원석;이헌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7-111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restoration work to improve the discharge in forested wetlands where there is a concern of damage and observed changes in the discharge and groundwater level. The monthly changes showed that during the wet season, the amount of discharge decreased after restoration and GWL increased. It showed that during the dry season, the GWL and discharge increased. The increased discharge after restoration seems to be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days with no rainfall duration. The change in discharge for each unit of rainfall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baseflow and decrease the direct discharge after restoration. The recharge ratio of GWL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as rainfall was higher. After restoration, it showed a higher tendency under rainfall with less than 20mm.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storation implemented by the study caused such an effect as the increased baseflow and increased GWL. It would be an effective restoration method to maintain water resources in forested wetlands. In the initial rainfall, it demonstrated a certain level of effect, bu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storation technology that can decreas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after the end of rainfall or during the period of no rainfall to protect and maintain the forested wetlands. Streamflow should be identified by each type of terrain of wetlands and a proper restoration countermeasure should be devised for the site where the discharge frequently occurs.

토성과 광조건이 벌개미취의 발아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T he Effects of Soil T exture and Light Conditions on the Germination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Aster koraiensis Nakai)

  • 김동학;김영은;조형복;허미영;김상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56
    • /
    • 2022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는 국화과에 속하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항비만 및 고지혈증 예방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이용 가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주로 조경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태복원을 위한 소재식물로 벌개미취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DMZ 남방한계선 철책 주변에는 군의 경계작전을 위해 반복적으로 식생을 제거한 지역(불모지)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생태복원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종 선정 방법은 자생종 또는 인접 지역종을 이용하는 것이다. 벌개미취는 DMZ 일원에 자생할 뿐만 아니라, 건조한 환경은 물론 습윤한 지역에서도 생육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성에 따른 벌개미취의 발아 특성과 광조건에 따른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여 DMZ 불모지와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육이 건전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벌개미취의 기내발아 검정(15℃, 12/12h)과 토성(마사토, 상토, 혼합토)에 따른 종자 발아율을 비교하였고, 차광(0, 50, 75 및 95%)처리에 따른 엽면적당 건중량, 엽록소 함량, 광-광합성 반응을 조사하였다. 벌개미취의 발아율은 기내(79%), 마사토(74%), 상토(82%) 그리고 혼합토(77%)로 나타나 각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벌개미취의 엽면적당 건중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엽록소 a와 b 함량은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나 a/b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광-광합성 반응을 통해 산출한 벌개미취의 광포화점과 광합성 최대속도는 차광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순양자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벌개미취는 전천광보다 낮은 광도에서 생장 시 광합성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이 제한되지 않는 불모지 환경에서 생육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산지습지의 친환경복원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o-friendly restoration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forested bog)

  • 정유경;이헌호;강원석;박기형;권세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3-47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co-friendly restoration in forested bog on the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from the surveyed sites were composed of 1,071 individuals, 60 species, 40 families, 13 orders, 6 classes and 5 phyla. At the control and Site 3(small dam),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larger than that of other sites, and EPT group ratio was same as well. Considered by index, the dominance index (DI) was found the highest at the biotope area. The diversity index (H') and richness index (RI) were the highest at the control and Site 3. In addition, the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ESB) showed the highest at site 3, while the lowest at biotope area. The stability and recovery of benthic macrointebrates showed different according to restoration types at forested bog. After restoration project,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observed to get recovery at Site 3, and to have the highest communities stability at control and Site 3. At biotope areas (Site 4, Site 5 and Site 6) communities stability were the lowest, but showed different community stability valu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water. It is confirmed that the eco-friendly restoration projects indeed provided the better environment for the inhabit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he change of community index depending on the restoration projects suggests that the eco-friendly restoration can provide a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ecosystem that prefers the stream environment.

산불피해지 복원방법에 따른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 차이 (Differences in Density and Body Weight of Rodents in Different Restored Forest Areas after Forest Fire)

  • 이은재;이우신;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65-369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일대의 침엽수림 지역에서 2000년 발생한 산불피해 후 복원방법에 따라 각각 산림환경이 다른 조림지역과 자연복원지역, 미피해지역에서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4년 7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산불 미피해지역과 자연복원지역 간 설치류의 개체군 밀도는 차이가 없는 반면, 조림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체중 역시 조림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자연복원지역이 조림지역에 비해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이 높게 나타난 것은 지면의 수목잔존물(CWD, coarse woody debris)과 하층식생이 커버(cover)로써 설치류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 이후 자연복원과 인공복원 방법에 따른 식생회복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Natural and Artificial Restoration Methods After Forest Fire Damage Using Satellite Imagery)

  • 황영인;강원석;박기형;이경철;한상균;권형근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3호
    • /
    • pp.33-43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vegetation recovery in the areas damaged by the forest fires on the east coast that occurred in April 2000. The study site was a forest fire-damaged area in Samcheok-si, Gangwon-do, and 21 monitoring areas (12 natural restoration sites, 9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vegetation recovery trend since 1998. The vegetation recovery trend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values according to the year using th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dNBR)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based on satellite images (Landsat TM/ETM+ and Sentinel-2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ll 21 sites, vegetation was recovered, and both groups showed the greatest recovery in summer. In the case of the dNBR, the artificial restored site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natural restored sites, and in the case of the NDVI, the natural restored sites were higher than the artificially restored sites in summer and autumn.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natural and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direction of forest restoration after forest fire damage can be effectively restored if properly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restoration of the target site.

산불 훼손 복원지 내 토양개량제 처리가 Wood stakes의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영향 (Carbon and Nitrogen Dynamics of Wood Stakes as Affected by Soil Amendment Treatments in a Post-Fire Restoration Area)

  • 박성완;백경원;변희섭;김용석;김춘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7-365
    • /
    • 2018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봉대산 산불 훼손 복원지를 대상으로 토양개량제 처리가 토양층에 매설된 wood stakes의 분해율과 유기 탄소 및 질소 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산불 훼손 복원지에 식재된 튤립나무, 상수리나무, 왕벚나무, 곰솔 조림지와 미복원지를 대상으로 2015년 3월 토양 0~15cm 깊이에 wood stakes를 매설한 후, 2년 동안 각 1회씩 토양개량제(CLB: 복합비료 + 석회 + 목탄 처리구; LB: 석회 + 목탄 처리구)를 처리하고, 2015년 10월, 2016년 3월, 2016년 10월 채취하여 분해율과 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Wood stakes 분해율의 경우 토양개량제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유기 탄소 잔존율의 경우 대조구(43.7%), CLB처리구(71.3%), LB처리구(71.6%) 순으로 토양개량제 처리구의 탄소 무기화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Wood stakes 내 질소 잔존율의 경우도 대조구가 29.7%로 LB처리구 52.6%에 비해 낮아 탄소 무기화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불 훼손 복원지에 토양개량제 처리는 wood stakes의 탄소 및 질소 무기화를 지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산 희귀 특산식물 버들개회나무 남한에서 자생지 발견

  • 정재민
    • 산림경영
    • /
    • 통권189호
    • /
    • pp.20-21
    • /
    • 2008
  • 국립수목원(원장 박종서) 보전 복원 연구팀은 그 동안 금강산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버들개회나무(물푸레나무 과(科))의 자생지를 강원도 남부지방에서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현재 버들개회나무의 생태학적 및 유전적 도태 가능성에 대비하여 현지내 외 보존을 위한 대책 마련을 추진중에 있다.

  • PDF

태백지역 석탄 폐석지의 식생 복원을 위한 향토 수종 선발 (Selection of Indigenous Tree Species for the Revegetation of the Abandoned Coal Mine Lands in Taeback Area)

  • 이재천;한심희;장석성;이정환;김판기;허재선;염규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6-9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지의 환경 친화적인 식생 복원에 이용할 향토 수종 및 내성 수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탄광 폐석지에 나타난 자연 이입종과 주변 산림 식생과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있다. 강원도 태백에 위치한 폐광지 주변 산림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 소도동의 교목층에서는 9종류, 아교목층에서는 13종류, 관목 층에서는 23종류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23종류가 출현 하였다. 싸리재의 경우, 교목층에서는 6종류, 아교목층에서는 15종류, 관목층에서는 31종류 그리고 초본층에서는 25종류가 출현하였다. 1차 천이적인 단계에 있는 폐석지에서 출현한 종을 조사한 결과, 소도동에서는 31종류가 자연 이입종으로 나타났으며, 싸리재에서는 30종류가 출현하였다. 폐석지에서 출현한 종은 대조구인 소도동의 45종, 싸리재의 54종보다 훨씬 적었다. 탄광 폐석지와 주변 산림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수종은 소도동의 경우 박달나무 등 6종, 싸리재의 경우 거제수나무 등 4종이었다. 즉 탄광 폐석지는 주변 산림의 상층림을 형성하고 있는 수종에서 종자가 이입되어 생존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싸리재의 거제수나무는 주변 산림과 폐석지 경계부터 군집을 형성하고 있어 식생의 주변 효과를 나타냈으며, 소도동에서는 박달나무 등의 종자가 이입되어 자연적인 식생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교란된 지역에서의 식생 복원은 주변 산림 구 성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