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란종계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4초

케이지 내 사육밀도가 산란종계의 생산성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Egg-type Breeder Laying Hens in Cages)

  • 우상원;신승철;김성권;김은집;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3-90
    • /
    • 2003
  • 본 연구는 산란종계를 케이지 내 사육밀도 수준이 다르게 배치하였을 때 생산성 및 생리적인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총 264수의 Hy-Line Brown 산란종계를 4처리 3반복 반복당 22수 (♀20, ♂2)로 나누어 사육밀도를 수당 980 $\textrm{cm}^2$, 735 $\textrm{cm}^2$, 640 $\textrm{cm}^2$ 및 560 $\textrm{cm}^2$ 수준으로 설험사료를 12주간 급여하여 산란종계의 생산성, 난질 및 난각질, 수정율과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사양실험 종료시 생체중 측정치의 평균에 해당하는 개체를 처리구별로 9수씩 선발하여 우모 상태를 측정하였고, 처리구별로 6수씩 선발하여 혈청 내 ND 및 IB 항체역가를 측정하였다 .생산성, 난각강도, Haungh unit, 수정율 및 부화율에는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고, 난각두께는 실험 7∼12 주에서 있어서 640 $\textrm{cm}^2$/bird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P<0.05)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전체적인 실험기간으로 볼 때 처리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ND 항체역가는 처리간의 차이가 없었고 ,IB항체역가는 사육밀도가 가장 낮은 980 $\textrm{cm}^2$/bird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P<0.05)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우모상태는 사육 밀도가 가장 높은 560 $\textrm{cm}^2$/bird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P<0.01)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한 사육밀도 수준이 증가할수록 우모 상태는 유의하게 (P<0.01) 감소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 케이지 내 사육밀도의 적절한 증가는 산란종계의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육밀도의 증가는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개체들에게 더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폐사율을 높일 수 있는 열악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토종닭 종계 9개 조합의 체중 및 산란능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Body Weight and Egg Production Ability across Nine Combinations of Korean Indigenous Chicken Breeds)

  • 김기곤;박병호;전익수;추효준;차재범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61-168
    • /
    • 2021
  • 본 연구는 토종닭 종계의 산란능력 검증을 위해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의 토종닭 순계로 생산한 종계 9개 조합의 생산능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6주 체중은 CY조합이 1,604.9 g으로 가장 높았고 DK 조합이 1,424.4 g으로 가장 낮았다. 종계 9개 조합의 시산일령은 118.6일로 나타났고 YD 조합이 111.6일로 가장 빠르고 DK 조합이 126일로 가장 느린 시산을 보였다. 일계 산란율은 CF, CK 및 DK 조합이 74%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DK 조합은 시산일령이 느려 일계산란수가 114.4개로 낮았으나 높은 일계 산란율을 보여 다른 조합에 비해 산란지속성이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난중은 DK 조합이 20주령 43.9 g, 36주령 58.1 g으로 모든 주령에서 월등히 무겁게 나타났다. 난질에서 난각색은 F와 K가 사용된 조합이 밝은 난각색을 보였고, 계란무게 형질은 DK와 CF 조합이 무겁게 나타났다.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는 DK 조합이 각각 3.8 kg/cm2, 0.38 mm로 우수하였다. 종합하면, CF와 DK 조합이 산란능력 및 계란품질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부계로 Y 계통을 사용한 YC, YD 및 YK 조합은 대부분 형질의 성적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한국토종닭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부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eed, Laying Age and Egg Storage Period on the Hatchability of Korean Native Chickens)

  • 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7-245
    • /
    • 2020
  • 본 연구는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부화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 한 것으로 한국토종닭인 재래황갈종, 토착레그혼종 및 토착로드종이 산란한 종란을 대상으로 산란 초기인 27~29주령 때 수집한 종란과 산란 후기인 50~52주령에 산란한 종란을 각각 3일, 7일 및 14일 보관 후 부화를 진행하였다. 조사 항목으로는 수정률, 부화율 및 배자발육중지율을 조사하고, 각 요인별 부화 성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계의 품종, 산란 연령 및 종란의 보관 기간이 독립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부화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계의 품종에 따른 비교에서 토착로드종의 부화 성적이 가장 저조하였는데, 특히 이들이 산란 초기에 생산한 종란에서 초기 배자 사망률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산란 연령에 따른 부화 성적은 산란 초기에 생산한 종란의 부화율이 산란 후기에 생산한 종란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초기 배자 사망률은 산란 초기의 종란에서, 후기 배자 사망률 및 사롱란의 비율은 산란 후기의 종란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종란의 보관 기간에 따른 부화 성적은 거의 대부분의 조사 항목에서 종란의 보관 기간이 길어질수록 부화 성적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우수한 부화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품종에 따른 각기 다른 부화 관리가 필요하며, 산란 후기에 생산된 종란의 이용은 피하고 종란의 보관 기간은 7일 이내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수성 편친한성(片親限性) 가을누에 품종 (Breeding of)

  • 강필돈;손봉희;이상욱;김미자;정이연;김용순;김영대;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4-57
    • /
    • 2004
  • 다수성 품종으로 육성된 부흥잠은 새로운 가을누에 품종으로서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종계 원종 잠149와 도입 육성한 무늬 품종이며, 중국종계 원종 잠150은 도입 육성한 강건다수성 한성무늬 누에품종이다. 2. 부흥잠의 일본종계 원종인 잠149은 조사된 주요 양적형질 중 화용비율, 견층비율 및 견사장에서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고, 중국종계 잠150은 견층비율 및 견 사장에서 GCA가 높게 나타났다. 3. 2003년 추잠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부흥잠이 다수견, 다사량의 특성을 지닌 대성 잠에 비해 전견중이 무거워 고치수량이 6% 증수되었다. 4. 조사성적에서는, 견사장은 1,274 m로 대조대비 지수로 3%가 떨어지나, 섬도가 굵고 견사량이 많아 1만두 생사량이 3.68 kg/만두로 대조 대비 지수로 7%높아 다사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잠종생산능력에 있어서는 일본종계 원종 잠149의 산란수는 525개로 대성잠의 일본종계 원종인 잠125과 같은 수준이었고 중국종계 원종 잠150의 산란수는 510개로 대성잠의 잠126보다 다소 적었으나 산란성은 우수한 편이었다.

산란계에 있어서의 주요질병과 방역대책

  • 이영옥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84
    • /
    • 1988
  • 종계나 채란계의 사육목적은 전산란기간중 더 많은 수의 달걀과 더욱 품질이 좋은 달걀을 얻는데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장시간 사육될 뿐만 아니라 발육단계별로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나 질병에 의한 후유증이 다르기 때문에 질병관리는 그만큼 더 어려워진다, 왜냐하면 육추기때의 추백리나 전염성기관지염 또는 감보로병 등의 감염은 즉각적인 피해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 후유증은 산란기에 이르러서야 관찰되기 때문이다. (중략)

  • PDF

닭의 산란능력을 저해하는 각종질병

  • 이영옥
    • 월간양계
    • /
    • 제18권7호통권201호
    • /
    • pp.91-96
    • /
    • 1986
  • 닭의 산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괄하였으며 특히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전염성질병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므로 질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방법들이 사전에 강구되어야만 한다. 최근들어 전염성기관염이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채란계농가나 종계농가의 피해가 날로 높아가리라 사료되며, 우리 모두의 지혜를 모아 어려움을 슬기롭게 풀어가야 하리라 믿는다

  • PDF

육계농장의 질병 해결과 생산성 향상

  • 김종택
    • 월간양계
    • /
    • 제25권11호통권289호
    • /
    • pp.136-141
    • /
    • 1993
  • 산란계나 종계의 육추, 육성, 성계기에 있어 체중이 낮은 병아리는 계군 전체의 평균체중을 끌어내릴 뿐 아니라 체력이 약하여 육성율, 생존율, 산란율을 저하시키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육계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육계 농장에서의 질병과 관리 및 이에 따른 경제성 개선에 관한 내용을 실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 PDF

산란종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 (Genetic Analyses of Egg Mass during Laying Period)

  • 오봉국;최연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78
    • /
    • 1986
  • 산란종계의 능력개량을 위해 산란수와 란중의 종합개념의 형질인 산란량을 계산하고 이를 선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산란기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보였다. 1. 계통의 능력 평균치를 조사한 바, 초산일령은 143.24일이었으며, 초산일령부터 60주령 까지의 산란수는 222.44개, 같은 기간중의 평균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54.31g과 12.065.19g으로 나타났다. 2. 부, 모, 전자매 분산성분을 이용한 유전력 추정치에서 초산일령은 0.404-0.570으로 나타났고 60주령까지의 산란수는 0.132-0.346, 란중과 산란량은 각각 0.378-0.413과 0.204-0.27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유전력 추정치는 란중보다는 산란수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3. 초산일령과 유전상관에 있어서 산란수는 -0.280, 란중은 0.524로 나타나 산란수와 란중간의 부의 상관에 의한 이들 형질의 동시개량의 어려움을 보여 주었으나 산란량과는 0.130으로 나타나 산란량의 육종에의 이용 가능성을 추측케 하였다. 또한 산란량과 산란수와는 0.711, 란중과는 0.431의 상관계수가 나타나 산란수에 더 큰 영향을 받는 형질임을 보여 주었다. 4. 단기선발면을 고려하여 각 산란기간과 전체기간과의 유전상관을 분석한 결과 산란량의 경우 산란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 산란수의 단기검정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