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란을

Search Result 5,51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산란피크를 향상시키자 -산란피크를 좌우하는 20주동안의 사양관리-

  • 하낙순
    • KOREAN POULTRY JOURNAL
    • /
    • v.7 no.10 s.72
    • /
    • pp.63-66
    • /
    • 1975
  • 양계업의 성공 여부는 산란계 한 마리가 년간 몇 개의 알을 낳느냐에 의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산란지수가 많은 계군이 산란피크도 높으므로 더 많은 알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산란피크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농장에서 보다 빠른수입을 목적으로 또는 관리 부주의로 조산을 시키는 경향이 있다. 조산하게 되면 산란율이 정상적으로 오르지 못하므로 30$\~$33주령이 되어도 산란피크가 보잘 것 없게 되며 이때야 비로소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지만 이미 닭의 산란능력이 결정되었으므로 보다 좋은 성적은 기대하기 어렵다. 닭의 산란생리는 일단 산란피크에 도달한 다음 산란율이 일정한 비율로 서서히 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산란피크가 얼마나 올라가느냐는 장차 계군이 몇 개의 알을 생산할 수 있는가를 예측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 PDF

Facilitating Effects of Helpers on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of Bumblebee Queen, Bombus ignitus (산란촉진자를 이용한 호박벌(Bombus ignitus)의 산란성 및 봉세발달 개선효과)

  • 윤형주;김삼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1 no.4
    • /
    • pp.239-245
    • /
    • 2002
  • It was investigated whether or not such helpers as worker bee, bee-cocoon and egg-cup etc, have any effects on oviposition and colony foundation of the bumblebee queen, Bombus ignitus. Among the helpers tested, the callow workers of B. ignitus and B. terrestris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s on the oviposition rates to 92% and 88%, respectively. The live cocoon as a helper improved oviposition rate over 60%. A narcotized old worker 10-20 days-aged after emergence, showed similar effects to a callow worker on the colony development such as oviposition rate,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dried cocoon, callow honeybee worker or egg-cup did not show a positive effect as a helper. In the number of workers recruited to a foundation queen, two workers showed better effect than one worker on the colony development, with no difference between two and more.

Comparison of Energy Metabolisms between Laying and Non- laying Hen (산란계와 비산란계의 에너지대사 비교 시험)

  • 이영철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3 no.1
    • /
    • pp.31-40
    • /
    • 1986
  • The energy metabolism with the normal laying hen and progesterone injected non-laying hen are compared. 1. The FHP of 109.7Kcal for laying hen was 25.5 percent higher than the 87.4 Kcal found for non-laying hen. 2. The MEm's of laying hen and non-laying hen were 149, and 135Kcal/Kg$\^$0.75/day and NAME's of the diets were 77 and 83 percent, respectively. For the laying hen shown negative retention in body energy during the experiment, the 77 percent NAME was the value of supporting egg production. For the non-laying hen shown the positive retention in body energy and zero egg production, the 83 percent NAME was of growth. 3. A change in body weight of 1g was comparable to 3.54 Kcal for laying hen, and 5.0 Kcal for non-laying hen, when calculated on regression equations between body weight change and body energy retention(BE). The figures indicate that the tissue energy is used with an efficiency of 70 percent for egg production. 4. Plasma level of triiodothyronine(T3) for the laying hen i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non-laying hen, although the levels of thyroxine (T4) are equal both in laying and non-laying hen. 5. Activities of four hepatic enzymes(ATP citrate lyase, fructose diphosphate aldolase, isocitrate dehydrogenase and glutamte pyruvic transaminas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laying hen than in the non-laying hen.

  • PDF

산란계 봄철 사양관리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2 no.2 s.244
    • /
    • pp.88-91
    • /
    • 1990
  • 대한양계협회 닭경제능력검정소에서 실시한 산란계경제능력검정결과를 보면 최근의 산란계 능력은 72주까지 산란지수가 267개로 나타나고 있다. 10년전이 77년 산란계 72주까지의 산란지수 227개에 비하면 18$\%$가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성계생존율 또한 88.2$\%$에서 92.0$\%$로 약 4$\%$가 향상되었다. 대체적으로 10여년간에 걸쳐 산란계의 능력이 눈에 띌 만큼 향상되었다고 보는데 최근에 산란계 관리가 미흡하여 계군의 산란피크가 80$\%$를 넘기기 어려운 농장이 나타나고 있어 90년도를 향한 봄병아리의 입추시에는 보다 철저한 사양관리를 위한 준비해야 한다.

  • PDF

Microwave Forward Scattering From Earth Surfaces (지표면에서의 Forward 산란 계산)

  • Hong Jin-Young;Oh Yi-Sok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35-138
    • /
    • 2006
  • 본 논문은 지표면에 대한 forward 및 coherent 산란 계산으로 1차 radiative transfer 이론을 적용하여 맨땅 및 수풀층에서의 전자파 산란을 계산하였다. 원격탐사에서 전자파 후방산란계산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forward 산란계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표면에 대한 전자파의forward 및 coherent 산란을 계산함으로써 다양한 전자파산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의 계산결과 후방산란보다 forward 및 coherent 산란 계산에서 지표면의 수분함유량, 수풀 및 나무의 길이, 밀도, 크기 등과 같은 지표 환경의 변화에 산란계수가 더 민감하게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ton Scatter Distribution Function in Non-uniform Attenuation Media in SPECT (SPECT 영상에서 불균등 감약물질의 콤프톤 산란 분포함수)

  • Lee, Man-Koo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2
    • /
    • pp.45-53
    • /
    • 1991
  • SPECT 영상에서 콤프톤 산란 광자는 공간분해능의 감소와 그 양을 측정하는데 있어 정확성과 정밀성을 감소시킨다. 이와같은 콤프톤 산란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대부분의 보정방법은 선원의 위치로부터 거리의 단일지수함수로 대칭인 산란분포함수를 고려하게 된다. 본 연구는 균등 및 불균등 산란에 대한 산란분포함수를 얻기 위하여 보다 현실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였다. 산란 및 비산란광자의 공간분포와 에너지분포를 얻기 위하여 뼈, 폐, 물의 균등 및 불균등 분포로 된 원통형의 팬톰 속에 $^{99m}Tc$의 선선원 및 점선원을 놓고 Monte Carlo Simulation을 하였으며, 깊이의 함수, media의 접촉영역으로부터 선원거리 및 산란체의 밀도의 변화로 표현한 산란분포함수(SDF)를 얻었다. 산란분포함수는 균등한 뼈, 폐, 물에서는 선원위치로부터 거리의 단일지수함수(single exponential functions)로 대칭으로 나타났으며, 두 물체의 조합에서는 2중지수함수(dual exponential functions)로 비대칭으로 나타났다. 산란분율은 20% window photopeak에서 총 계수의 8%에서 53%까지 다양한 변화가 있었으며, 지수함수의 기울기는 $0.1{\sim}0.9\;cm^{-1}$의 범위로 나타났다. 불균등 산란체에서 얻은 산란분포함수는 SPECT 영상에 있어 콤프톤 산란의 감소에 대한 보다 정확한 보정방법의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Genetic Analyses of Egg Mass during Laying Period (산란종계의 산란량에 대한 유전분석)

  • 오봉국;최연호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3 no.2
    • /
    • pp.173-178
    • /
    • 1986
  • Data on egg production, egg weight and egg mass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the Synthetic White Leghorn population which was raised at Poultry Breeding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Egg mass was not measured directly, but was calculated from the egg numbers and the average egg weight for same period. Phenotypic means, components of variance and covariance,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were computed. Egg mass was estimated to be a lowly heritable trait (0.204-0.270). High heritability estimates were found for age at sexual maturity and egg weight. Genetic correlation estimates were high and positive between egg mass and egg number(combined estimates 0.711). Egg mass and egg weight were moderately correlated genetically (0.431). Genetic correlation estimates was -0.280 between egg number and age at sexual maturity, but was 0.524 between egg weight and age at sexual maturity. Results show that selection for total egg mass based on record from a single period will not be satisfactory unless the single period chosen is one in the latter part of the laying year.

  • PDF

TIS distribution of low loss mirrors (저손실 반사경의 TIS 산란분포 측정)

  • Im, Kyung-A;Cho, Hyun-Ju;Moon, Yong-Kwon;Shin, Myung-Jin;Jung, Kwon-Sang;Yoon, Sung-Jin;Moon, Gun;Lee, Jae-Chul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62-63
    • /
    • 2000
  • 다양한 분야의 요구에 따라 반사율이 99.995% 이상인 고반사 저손실 반사경의 제작이 가능해 지면서 반사경의 산란, 투과, 흡수 및 손실 등을 측정하는 여러 측정 방법들도 더불어 연구되어 왔다. 적용 분야에 따라 사용될 반사경의 특성이 결정되는데 그 중 중력파 측정 장치$^{(1)}$ , 광자 감쇠 분광기$^{(2)}$ 등의 분야에서는 투과, 산란 및 흡수가 모두 작은 저손실 반사경을 요구한다. 한편 링 레이저 자이로스코프의 경우 반사경의 산란이 곧 lock-in을 결정하여 성능을 제한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따라서 이 응용의 경우 반사경의 산란을 정확히 측정하는 일은 중요하며 위치에 따른 산란분포 정보를 알면 링 레이저 자이로스코프의 성능 예측과 개선이 더욱 쉬워진다. 산란을 측정하는 직접적인 방법에는 ARS(angle resolved scattering)과 TIS(total integrated scattering)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TIS 측정 장비를 반사경의 위치에 따른 산란분포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mapping 기능을 첨가하고 이온빔 스퍼터링에 의해 제작된 저산란 반사경을 측정하기 위해 높은 분해능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반사경의 응용분야의 필요에 의해 45$^{\circ}$ 산란을 측정하였다. (중략)

  • PDF

Comparison betwee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cattering Fatterns by Elastic Cylindrical Shells (탄성 원통 Shell 에서의 이론 및 측정 산란 형태 비교)

  • 노희설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85.10a
    • /
    • pp.13-15
    • /
    • 1985
  • R.D.Dolittle 각 H. berall에 의해 유도된 탄성 원통형 Shell에서의 산란 이론을 전산 프로그램화하여 이론적 산란 형태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철(Iron)을 재질로한 원통형 Shell의 산란 강도를 측정, 분석하여 이론치와 비교함으로써 산란 이론식이 탄성 원통 Shell에 대한 산란 형태예측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easonal growth curve estimation for continuous spawning fishes (연속 산란 어류의 온도함수 성장곡선 추정)

  • Choi, Il-Su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2 no.5
    • /
    • pp.903-910
    • /
    • 2011
  • The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VBGF) is the result of the antagonistic effects of anabolism and cataboliem. However VGBF has limitations for describing the growth of continuous spawning fishes. In the present work, a new equation is proposed where the growth parameter Kis substituted by a function related to the sea surface temperature of spawning period. Examples for natural population of Pacific Anchovy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