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과 염기

Search Result 1,23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cid-base Reaction (산-염기 반응)

  • Lee, Man-Seung
    • Resources Recycling
    • /
    • v.27 no.5
    • /
    • pp.3-8
    • /
    • 2018
  • Acid-base reaction together with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s an important reaction occurring in the aqueous phase. The definition by Lewis on the acid and base is more comprehensive than several definitions. HSAB theory has been introduced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reactivity among the acids/bases. In this paper, several acid-base reaction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definition of acid and base. Moreover,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HSAB and its application was explained.

Nucleotide Sequences and Expression of cDNA Clones Encoding Uricase II in Canavalia lineata (해녀콩 Uricase II의 cDNA 염기서열과 발현)

  • 김호방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36 no.4
    • /
    • pp.415-423
    • /
    • 1993
  • 대두의 uricase II cDNA를 탐침으로 plaque 혼성화 방법에 의해 해녀콩의 뿌리를 cDNA library로부터의 두 개의 phage 클론(λCINUO-01, λCINUO-02)을 선별하였다. 두 phage 클론은 약 1.6 kb와 1.0 kb의 insert를 갖고 있었으며 이들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기 위하여 pUC19과 pBSKS vector에 subcloing(pcCLNUO-01, pcCLNUO-02)하였다. Sanger법에 의해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두 클론은 각각 1,611 bp와 1,024 bp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pcCINUO-01은 308개의 아미노산, pcCINUO-02는 301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open reading frame(ORF)을 갖고 있었다. 두 클론의 ORF의 염기서열은 대두의 uricase II와 각각 88.9%, 89.3%의 상동성을 보여주었으며, 아미노산 서열은 84.1%, 85.4%의 상동성을 보여주었다. pcCINUO-01의 경우, 종결코돈으로부터 313 NT 하류쪽에 진핵생물의 poly(A) 첨가신호인 AATAAA 서열이 존재하였으며 이로부터 21 NT 하류쪽에 17 잔기의 poly(A)가 존재하였다. 두 클론의 염기서열에서 추정된 아미노산 서열의 카르복시 말단에는 세포질에서 합성된 몇몇 단백질들이 peroxisome으로 수송되는데 필요한 신호서열인 Ser-Lys-Leu-COOH 서열이 존재하고 있었다. 두 클론의 염기서열을 토대로 아미노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염기성 아미노산(Arg, His, Lys)과 산성 아미노산(Asp, Glu)이 각각 46 대 35, 47 대 35의 비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uricase II 단백질의 염기성 성질을 보여주는 결과로 추정된다. Northern 혼성화 결과 해녀콩에서 uricase II는 뿌리혹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고 게놈 혼성화 반응 결과는 uricase II 유전자가 해녀콩 게놈상에 유전자 가족으로는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산/염기와 투과증발막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유기 수용액의 탈수분리

  • 오부근;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2.10a
    • /
    • pp.55-5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산/염기 수용액의 탈수분리에 이미 complex site를 가진 막을 투과증발에 응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액으로 사용되는 산/염기와 complex를 형성할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막을 그들 수용액의 탈수분리에 응용함으로써 형성된 complex site로 분리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또한, 분리대상물내의 한성분이 couter ion으로 작용하는 점을 이용하여 long-term stability의 문제도 해결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Cognition Levels related to Acid-Base Models in High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고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산-염기 모델의 인지 수준 분석)

  • Ryu, Eun-Ju;Paik, Seoung-Hey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5 no.1
    • /
    • pp.37-47
    • /
    • 2021
  • In this study, the model cognition level of high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about the two types of acid-base models taught in secondary schools was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the model cognition level of students, 12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cid-base reaction and the dissociation reaction of acids and ba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5 students of two science-gifted school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model cognition levels were analyzed 6 levels in the context of consistency, inconsistency, and unexplainable scope of the two models. In the acid-base reaction item, the largest percentage of students cognized only understanding of the two models. In the acid-base dissociation reaction item, they understood the two models and perceived the 'Known Ignorance' that cognizes the limitations of one model. However, there was only one student who perceived the limitations of both models and all of the 'Unknown Ignorance' that the model could not explain. Through this, we argued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efforts to raise the model cognition level of science-gifted students.

돼지와 사람의 설사유발 칼리시 바이러서의 염기서열 비교

  • 김현진;조경오;조호성;강성귀;박남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Path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40-140
    • /
    • 2002
  • 돼지 설사유발 칼리시 바이러스 (Porcine enteric calicivirus: PECV)는 자돈에서 설사를 일으키지만, 사람에서도 위장염을 일으키는 원인체인 Sapporo-like calicivirus와 형태학적으로나 유전학적으로 유사하다고 이미 알려졌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PECV의 RNA dependent RNA polymerase (RDRP) 부위와 capsid 부위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을 기존에 보고되었던 것과 비교하여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분리주는 기존의 PECV RDRP 부위 (염기서열: 90%, 아미노산: 97%) 와 유사성이 아주 높았으며 capsid 부위(염기서열: 83%, 아미노산: 81%)는 다소 낮았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모든 칼리시 바이러스의 RDRP 부위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GLPSG와 YGDD 아미노산 배열이 존재하였으며 capsid 부위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PECV 에서만 "TAA" 염기서열이 삽입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 발생한 PECV는 porcine sapporo-like calicivirus와 유사하며 그 외 caliciviridae과인 Norwalk-like virus, Vesivirus, Lagovirus와는 상이하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 PDF

Probing Understanding of Acid and Base Concepts of the 3r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산 · 염기 개념 이해조사)

  • Kang, Soon Hee;Cho, Sung Ah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3 no.6
    • /
    • pp.707-719
    • /
    • 1999
  • This article studies the understanding of acid and base concepts of the 3r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improving their acid and base concepts was designed by considering students' prior knowledge using Lawson's learning cycle method. The control group was adapted by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which isn't considering students' prior knowledge. After the class, understanding of acid and base concepts of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trong acid, weak acid strong base and the strength of acid in aqueous solution was low even after the class of two groups. This indicates indirectly that the microscopic views of acid and base concepts in aqueous solution are not easy to learn for these students. For the four categories of acid and base concepts, students' responses were reviewed carefully and classified into scientific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of acid and base concepts.

  • PDF

The Complete Chloroplast DNA Sequences of Viola selkirkii (뫼제비꽃(Viola selkirkii)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 분석)

  • Ah-Reum Go;Yun-Sun Lee;Kyung-Ah Kim;Kyeong-Sik Cheon;Ki-Oug Yo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5-55
    • /
    • 2020
  • 뫼제비꽃(Viola selkirkii)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을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료는 강원도 화천군 일산과 제주도 한라산의 2개체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염기서열의 길이는 일산의 뫼제비꽃이 156,774 bp (GC content: 36.30%), 한라산의 뫼제비꽃이 157,451 bp(GC content: 36.30%)로 한라산 개체가 길게 분석되었다. 구간별로 LSC(Large single copy)지역은 한라산 개체(85,950 bp)가 일산 개체(85,930 bp)보다 20 bp 길었으며, SSC(Small single copy)지역은 한라산 개체(17,261 bp)보다 일산 개체가 17,982 bp로 길게 분석되었다. IR(Inverted repeat)지역은 한라산 개체가 27,120 bp로 일산 개체(26,431 bp)보다 길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염기서열 길이의 차이는 종내 개체 간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IGS와 intron 구간에서 확인 된 단순반복서열의 일부 누락과 IR지역 내의 수축과 확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뫼제비꽃 2개체의 엽록체 게놈을 구성하는 유전자 수는 총 111개로 동일하였으며, protein coding gene 77개, tRNA(transfer RNA) gene 30개, 그리고 rRNA (ribosomal RNA) gene 4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기 발표된 엽록체 DNA 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진 제비꽃속 (Viola) 종류들과 동일한 결과이다.

  • PDF

ITS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미나리아재비속 미나리아재비절의 분류학적 검토

  • Yeo, Seong-Hui;Lee, Chang-Suk;Lee, Nam-Su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4 no.2
    • /
    • pp.173-183
    • /
    • 2004
  • 한국산 미나리아재비속 미나리아재비(Acris Schur)절에 속하는 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와 근연종인 산미나리아재비(R. acris var. nipponicus) 및 바위미나리아재비(R. crucilobus)의 실체와 분류학적 한계를 파악하기위해 속, 종간 규명에 많이 이용하고 있는 핵리보좀(ribosomal) DNA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구간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군외군을 포함하여 총 18개의 DNA 재료(accessions)의 정열된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bootsrap을 포함한 maximum parsimony와 maximum likelihood 분석법에 의한 계통수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Acris절에 속하는 미나리아재비, 산미나리아재비 및 바위미나리아재비는 단계통군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나리아재비(R. japonicus)와 산미나리아재비(R. acris var. nipponicus)는 같은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이와 달리 바위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와 산미나리아재비에서 분지된 결과를 보여, 한라산 해발 1500m이상의 높은 지역에 분포하는 바위미나리아재비는 미나리아재비의 아종(R. japonicus Thunb. subsp. chrysotrichus (Nakai) Y. N. Lee, comb. nud.)으로 처리하기보다는, 독립된 고유종인 R. crucilobus H. L$\acute{e}$v.으로의 처리를 지지하였다.

Modeling of Acid/Base Buffer Capacity of soils (토양의 산/염기 완충능의 모델링)

  • 김건하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3
    • /
    • pp.3-10
    • /
    • 1998
  • Acid/Base buffer capacity of soil is very important in prediction of contaminant transport for its direct impact on pH change of the system composed of soil-contaminant-water, In this research, diffuse double layer theory as well as two layer electrostatic adsorption model are applied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of buffer capacity of soil. Model application procedures are presented as well. Buffer capacity of Georgia kaolinite and Milwhite kaolinite was measured by acid-base titration. Model predic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from Korea, China and Russia Based on the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ITS 염기서열분석에 의한 한국산, 중국산 및 러시아산 가시오갈피의 유연관계 분석)

  • Han Hyo-Shim;Kim Doo-Young;Lee Kab-Yeon;Park Wan-Geun;Cho In-Kyung;Jung Jae-S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1
    • /
    • pp.54-58
    • /
    • 2006
  • The genetic analys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from Korea, China and Russia, were made by compar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The ITS region of A. senticosus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the universal primers and then directly sequenced. The length of the ITS region including 162 bp 5.85 rRNA gene ranged from 608 bp (for Korean and Chinese) to 611 bp (for Russian). The G+C content of ITS region were 60.20% for Korean and Chinese plants and 60.06% for Russian plants. Sequence comparisons indicated that ITS regions of A. senticosus from Korea and China were identical, whereas the ITS sequence of A. senticosus from Russia showed 99.2% homology with the plants from Korea. Variation in sequences were attributable to 5 bp substitution such as transversion or insertion ev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senticosus Harms from Korea and China were closely related in phylogenetic relationship compared to Russian. In addition, A. senticosus Harms were more similar to Kalopanax pictus than A. sessiliflorus in their ITS sequ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