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문화적 변화

검색결과 1,520건 처리시간 0.043초

박물관의 개념적 변화와 건축적 대응(2)

  • 김용승
    • 건축사
    • /
    • 5호통권397호
    • /
    • pp.102-109
    • /
    • 2002
  • 사회적 변화에 따른 대중에게 열린 문화 공간이라는 현대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개념은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다원화, 대중의 열린 교육 공간,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 등 대중을 위한 지적ㆍ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일상과 연계된 열린 공간으로의 변화가 세계적인 추세인 것이다. 하지만 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할 국내의 대규모 국ㆍ공립 박물관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지고 있는 공공박물관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이를 수용하는 건축적 대응이 선진 외국박물관들에 비해 많은 면에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현대 박물관들이 관람객과 지역주민들을 위해 마련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유형과 그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대응하는 공공서비스영역의 건축적 고려에 대한 사항을 분석하여 공공박물관(Public Museum)개념의 적용에 있어 도움이 되는 방법을 제안해본다.

  • PDF

여대생의 헤어스타일 분석: 1980년~2003년까지의 졸업앨범사진을 중심으로

  • 박수진;박길순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04
  • 시대의 거울이라 불리우는 복식은 사회문화적 변화를 보여주는 물질문화이며 그 중 헤어스타일은 의복보다는 변화가 쉽고 다양한 자기 연출이 가능하여 그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여성의 헤어스타일의 변천 양상을 고찰하고 헤어스타일을 형성하는 요인에 따라 헤어스타일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중략)

  • PDF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TV광고 내러티브의 의미작용 연구 - 장수브랜드 '박카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of TV advertisement narrative for enhancing brand image - Based on long-run brand 'Bacchus' -)

  • 김은주;김종혁;김건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53-69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장수브랜드인 박카스의 TV광고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TV광고에서 박카스의 내러티브의 유형과 그에 따른 의미작용의 중요성에 천착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TV광고에서의 박카스 내용과 형식에 대한 흐름과 변화 그리고 그에 따른 스타일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TV 광고를 통해 박카스 브랜드 전략의 변천과정과 시대별 비주얼 내러티브의 특수성과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는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6가지 커뮤니케이션 기능모델에 근거하여, 박카스 브랜드의 TV광고 내러티브에 대한 메시지의 기능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박카스의 TV광고 내러티브를 통한 장수브랜드의 차별적 의미와 가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문화적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된 소비자의 소구변화에 따른 내러티브를 구성한다. 둘째, 지속적인 브랜드의 이미지 관리와 누적효과에 따른 아이덴티티를 형성한다. 셋째, 사회·문화적 상황과 소비자 간의 함의적이며 유대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로서 기능한다.

문화적 실천으로서 사회운동의 변화: 두리반 운동을 중심으로 (New Social Movement in the Form of Cultural Practices: A Case Study of Dooriban Movement)

  • 옥은실;김영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3권
    • /
    • pp.53-75
    • /
    • 2013
  • 한국 사회운동에 관련한 논의는 주로 1980년대 정치변동이 일어나며 대립되는 양 진영 간의 갈등이 발생하는 지점으로부터 시작한다. 1961년부터 26년 간 지속된 군부 통치 체제에 반대했던 세력을 중심으로 1987년 6월 항쟁이 발생한 이후, 한국 사회운동에서는 줄곧 민주화 운동과 맞물린 문제제기가 이뤄져 왔다. 이와 더불어 산업화가 활발하게 진행되며 나타난 노동자의 인권문제 또한 사회운동 영역의 중요한 화두였다. 그러나 민주화, 산업화 등의 다양한 사회 변동으로 사회운동의 주제 또한 복잡해지고 다원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서구 사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여성인권운동 및 환경운동을 포함해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띤 이주자, 농어촌, 외국인 노동자, 재개발 문제 등으로 한국 사회운동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두리반 운동 또한 다양한 사회운동의 한 갈래에 포함된다. 강제 철거에 저항했던 이 운동은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운동 참여자인 각 주체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운동을 주도하는 새로운 사회운동 방식을 제시하는 단초 역할을 했다. 두리반 운동은 사회운동을 통한 문화생산이 가능하다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 운동이 갖는 사회적/문화적 의미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미미한 상태이다. 특히 기존 사회운동 연구에서는 운동의 주제에 치중한 나머지 운동 참여자의 역할을 면밀히 다루지 못한 한계를 드러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두리반 운동 참여자들의 사회운동으로서 문화적 실천 행위를 분석해 그 사회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두리반 운동 당시 행해진 문화행사들의 주최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는 한편, 연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해 참여 관찰한 내용을 기반으로 운동 중 나타났던 문화적 실천들이 갖고 있는 의미와 이를 통해 지향하고자 했던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가전제품의 디지털화에 따른 디자인 기준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network), 제어(control), 정보(information)를 중심으로

  • 전관중;윤내한;정지홍;김철수;김철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7
    • /
    • 2000
  • 정보혁명의 원동력인 디지털 기술(디지타이징,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은 기술적인 측면을 넘어 사회 문화적으로 다양한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정보, 컴퓨터, 커뮤니케이션 혁명으로 불리는 디지털 기술은 탈중심화, 세계화, 분권화, 정보공유의 가속화, 문화적 반작용 등,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여러 분야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중략)

  • PDF

창작 주체의 문화적 위치와 영화 서사와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 장뤼(張律)의 <춘몽>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Position of the Subject of Creation and Filmic Narrative - Focusing on A Quiet Dream by Zhang Lu -)

  • 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50권
    • /
    • pp.173-196
    • /
    • 2018
  • 이 글은 장뤼가 한국에 정착한 뒤 만든 영화 <춘몽>을 중심으로 영화 창작 주체의 사회 문화적 위치 변화가 텍스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에 창작 주체를 둘러싼 컨텍스트적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것들이 장뤼 영화 미학의 변화를 견인하는 양상과 이로 인해 영화 서사에 궁극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낳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영화 <춘몽>에서 장뤼는 영화적 실험을 단행한다. 그는 영화라는 매체가 어떠한 형식을 운용하여 현실 세계와 관련한 담론을 구축하는지에 대한 미학적 실험을 하였다. 이에 영화 속의 현실과 꿈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표현함으로써 영화적 현실과 실제 현실 사이, 나아가 인간과 사회를 향한 예술적 진실은 무엇인지에 대한 새로운 층위의 서사를 주조해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춘몽>의 서사와 장뤼의 영화 작법의 변화는 일견 장뤼 자신과 자신의 영화에 대해 주로 이방인, 주변인 혹은 디아스포라라는 키워드들과 관련지어 논해온 행위들에 대한 저항으로 보이기도 한다. 장뤼는 한국에 정착한 뒤 얻은 문화적 신분 변화에 의해 영화라는 예술에 대해 보다 본질적, 다층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뤼는 그의 초기 영화 세계에서 벗어나 문화권과 문화권 사이, 예술적 진실과 예술적 규범 사이,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 사이의 경계들을 무화시키는 작업을 벌일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영화가 어떻게 사회적 현실과 문화 제도로부터 탈주하여 의미 있는 담론들을 생성할 수 있는가에 대해 자유롭게 논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 그 문화적 상상력과 사회적 시스템 (Artificial Intelligence: Cultural Imagination and Social System)

  • 송영현;이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5-203
    • /
    • 2019
  • 이 글은 인공지능과 인간이 함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가는 작업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생활과 연관된 문화와 제도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와 관련된 현상들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주목하는 접근 방법은 이 연구의 기초를 이룬다. 이에 "AI 현상"을 사회 문화의 일부로 수렴하면서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다양한 문헌 자료를 활용, 윤리나 기술평등 같은 가치를 연계시켜 AI의 사회 제도적 면을 짚어 보고자 하였다. 사회의 구성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AI와 접목된 기술 문화를 추론하는 일도 기능적인 면에서의 기술적 이해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 연구가 문화적 상상력과 사회적 시스템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새로운 문화, 즉 "인공지능 문화"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기에 이 글은 하나의 시론적인 성격도 더불어 갖는다.

유구석부 재검토 (A Review on The Korean Grooved Adze)

  • 노혁진
    • 고문화
    • /
    • 57호
    • /
    • pp.3-24
    • /
    • 2001
  • 유구석부는 크게 '장방형 또는 제형의 부신횡단면 - 사인 - 제형구'와 ‘말각삼각형 또는 터널형의 부신횡단면 - 직인 - 호형구'를 특색으로 하는 두 형식으로 구분되며 약간의 변형과 아종이 나타나고 있다. 전자는 소위 송국리형 문화, 후자는 점토대토기 문화에서 사용되었으며. 전자에서 후자가 형식변화된 것으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양 문화의 출현배경, 확산범위, 전파의 향방과 이주의 속도, 유적의 지리적 위치와 취락의 지형적 입지, 단일취락내 주거지의 숫자와 개별 주거지의 크기 등을 비교할 때, 두 문화는 사회성격과 생계경제방식이 분명히 다른 것으로 판명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 문화적 토양을 고려할 때, 유구석부가 1식에서 2식으로 형식변화되었다고 피상적이고 단순하게 이해하는 것보다는 각형식이 소속한 문화의 독자적인 필요에 의하여 발생하였다고 이해하는 독자발생의 시각이 두 형식의 출현과 상호관계에 대한 타당한 설명을 제공한다. 필자는 이러한 유구석부 1, 2식의 출현배경과 형식의 독자성을 고려하여 각각 제구석부와 호구석부로 명명하였다. 유구석부의 용도에 대하여는 지금까지 제구석부와 호구석부 모두 목공전용구로 알려져 왔으나, 소속문화의 사회성격과 생계경제방식 및 마제석기 조합상을 비교할 때, 제구석부는 목공전용구로 사용되었으나, 호구석부는 그 외에 굴지구와 무기 등의 기능을 포함한 다목적 타격도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구석부는 지금까지 밝혀진 송국리형 문화의 정착농경문화의 생활방식이 필요로 하는 전형적인 목공전용구로 사용된 것이 분명해 보이지만, 호구석부는 앞으로 그것이 속한 점토대토기 문화의 사회성격과 생계경제방식이 밝혀져 감에 따라서 그 용도가 더욱 구체적으로 판명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업정보화와 조직.인력변화

  • 노순규
    • 정보화사회
    • /
    • 통권101호
    • /
    • pp.20-24
    • /
    • 1996
  • 20세기말 우리 사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바로 컴퓨터이다. 그래서 컴퓨터가 미래를 열어준다는 말까지 생겨났다. 진공관을 이용한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ANIAC)의 탄생 이후 멀티미디어로서의 수단 뿐만 아니라 광통신이나 인공위성을 이용한 초고속정보의 교류가 일반화되는 경지까지 이르게 한 컴퓨터는 인간의 삶을 보조해주는 가장 강력한 매체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문화적, 정신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파악된다. 컴퓨터와 전기통신이라는 정보사회의 두 가지 사회적 기술은 C & C(Computer & Communication) 또는 컴퓨티케이션이라는 말로 일컬어지는 통신기술의 디지틀화 및 결합으로 인하여 더욱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처리, 축적, 검색기능이 결합된 정보통신기술은 보다 고도화되고 다양화됨으로써 정보획득과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약하게 해주어 기업경쟁력 및 개인의 다양한 정보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 PDF

U-City에 있어서 U-Service의 콘텍스트 기반 역사문화 온톨로지 설계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of Ontologies-Driven Design of Context-based Historical-Cultural of U-Service in U-City)

  • 권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79-387
    • /
    • 2011
  • 역사문화 콘텐츠는 사회적 변화 또는 발전에 대한 기록 또는 근거 자료들을 디지털화한 것을 말한다. 사회적 변화 또는 발전은 사회와 자연의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관찰자의 시공간적 위치에 따라서도 내용이 달라진다. 따라서 역사문화 콘텐츠는 저장과 보존, 정보의 교환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된 개념의 상호운용성과 사용자의 요구 또는 상황에 따라 연관된 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화된 서비스가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건 또는 스토리의 콘텍스트에 기반으로 사람, 공간을 포함하는 객체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온톨로지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성서 콘텐츠에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