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Position of the Subject of Creation and Filmic Narrative - Focusing on A Quiet Dream by Zhang Lu -

창작 주체의 문화적 위치와 영화 서사와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 장뤼(張律)의 <춘몽>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8.02.10
  • Accepted : 2018.03.01
  • Published : 2018.03.30

Abstract

This study, which works to develop a method of focusing on A Quiet Dream by Zhang Lu, explored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films and the changes in Zhang Lu's aim and perspective as noted in films, by a review to grasp his internal changes in texts and contextual factors. In A Quiet Dream, Zhang Lu made a filmic attempt that had never been made in the world of films prior to that date. He tried an aesthetic experiment on how films could reorganize the world, by using the effect of obscur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dream in films and generating a new narrative regarding filmic reality, actual reality, and the life and artistic truth of the Diaspora. Generally speaking, the changes in the narrative in A Quiet Dream seem to be his resistance against himself and the Diaspora. Thus, in the discussion about A Quiet Dream, relying on the external factors interve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f creation and films is not a useful endeavor at this time. Consequently, it is noted that after settling down in Korea, Zhang Lu could directly approach the changes in the cultural position of films in multilayered ways, where films were the most dynamic part of his life. Due to the changes in the Diaspora, he could obscure the boundary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of films and experiment with how films could escape develop an interesting perspective that deviated from reality, and made a new goal to show new ideas regarding the individual's awareness of the world.

이 글은 장뤼가 한국에 정착한 뒤 만든 영화 <춘몽>을 중심으로 영화 창작 주체의 사회 문화적 위치 변화가 텍스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이에 창작 주체를 둘러싼 컨텍스트적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것들이 장뤼 영화 미학의 변화를 견인하는 양상과 이로 인해 영화 서사에 궁극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낳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영화 <춘몽>에서 장뤼는 영화적 실험을 단행한다. 그는 영화라는 매체가 어떠한 형식을 운용하여 현실 세계와 관련한 담론을 구축하는지에 대한 미학적 실험을 하였다. 이에 영화 속의 현실과 꿈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표현함으로써 영화적 현실과 실제 현실 사이, 나아가 인간과 사회를 향한 예술적 진실은 무엇인지에 대한 새로운 층위의 서사를 주조해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춘몽>의 서사와 장뤼의 영화 작법의 변화는 일견 장뤼 자신과 자신의 영화에 대해 주로 이방인, 주변인 혹은 디아스포라라는 키워드들과 관련지어 논해온 행위들에 대한 저항으로 보이기도 한다. 장뤼는 한국에 정착한 뒤 얻은 문화적 신분 변화에 의해 영화라는 예술에 대해 보다 본질적, 다층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장뤼는 그의 초기 영화 세계에서 벗어나 문화권과 문화권 사이, 예술적 진실과 예술적 규범 사이,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 사이의 경계들을 무화시키는 작업을 벌일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영화가 어떻게 사회적 현실과 문화 제도로부터 탈주하여 의미 있는 담론들을 생성할 수 있는가에 대해 자유롭게 논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