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참여활동

Search Result 1,39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H-T-P reaction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the juvenile delinquents groups classified by the family system type for Creative happy Education management (창의적 행복학교 교육경영을 위한 HTP 검사 반응 연구)

  • Park, Soon Marn;Choi, Chong Myoung;Kim, Jin Nyo;Byun, Sang H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8 no.3
    • /
    • pp.157-163
    • /
    • 2013
  • This study is to notify differences of H-T-P reactions between Juvenile delinquents groups classified by family system type. This study aims to know reaction of 'House' on each juvenile delinquents and apply to creative school education administration. The research was performed as below: First, Measuring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One hundred and twenty subjects who were youths disposed of Seoul nambu youth alternative education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in 2012. Then There were classified Two groups following subjects; 'parents family' and 'single parent family'. Second, Questionaries assessing demographic and H-T-P by Buck, N. Thir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SPSS for Window 18.0.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s and correlations between two group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reaction of 'House',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and Pearson Chi-Square. The results of this is significant personality types of juvenile delinquents are followings; The Juvenile delinquents living 'Single parent family' have frustrations for their past and current family. Also they have mental conflicts for their family better than another group.

  • PDF

Changes in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through STEAM R&E (STEAM R&E를 통한 고등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 변화)

  • Mun, Kongju;Mun, Jiyeong;Hwang, Yohan;Kim, S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5
    • /
    • pp.825-833
    • /
    • 2017
  •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emphasiz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th creative and convergent ability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Korean STEAM Education aims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and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ll as to develop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STEAM R&E project, students experience self-directed researc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In this study, we aim to find out whether the creative leader competency of high school students changed after they experienced the STEAM R&E project. The creative leader competency consisted of three domain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etal domain. We measured the creative leader competency using the questionnaire scale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12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6 STEAM R&E project. Pre- and post- test scores were collected, and we analyzed it. We compare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scores as well as the mean differences among science high school, gifted school, science core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From the result, we found that all student' creative leader competenc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EAM R&E project in all three domain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students' test scores of science high school and gifted school showed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hile student's scores of both science core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improved significantly. From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STEAM R&E activities could be an effective tool in cultivating creative leader competency, especially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core school students. We also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find how we could enhance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y.

Investigation into the Gugak Educational Programs by Museum of Gugak for Invigoration Measures (국악박물관 국악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고찰)

  • Moon, Joo-seok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36
    • /
    • pp.327-363
    • /
    • 2018
  • This paper tracks the present state of the Gugak educational programs run by Gugak-specialized museums including Museum of Gugak not only to set a directionality of Museum of Gugak to step forward for their main purposes, but also to find measures to invigorate its Gugak educational programs. There are 826 museums registered in 2016 nationwide, and ten of them are Gugak-specialized museums including Museum of Gugak.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by Museum of Gugak presents high achievements in concentrativene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levels. However, several issues such as difficulty level adjustment, education period arrangement, contents development, setting of a precise aim of education, and overcoming of regional limitations are to be solved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se special circumstances, the study suggests setting a directionality of Gugak education by following four conditions: Firtly, the Gugak education programs by Museum of Gugak should be user-orien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learning programs to suit users of various ages and generations. Thirdly, a solid education is required to enhance creativity deviating from uniform, unilateral, fragmentary education focused on materials and relics of museums as the users' experiences and learning levels vary. Fourthly, integrated education with relevant study in common use is required as the specialized environments of the museum could cause users psychological resistance and lessen their willingness to approach. Focusing on these four conditions several invigoration measures for the Gugak education programs are discussed: Firstly, a step-by-step approach, not a radical shift, is required in order to turn existing programs into the user-oriented. Secondly, customized learning programs should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life cycle of the users. Third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irtuous circulation reflecting activity-based contents as well as to provide the users experiences through five senses for solid Gugak education, in which various elements such as experiencing, learning, playing, viewing are reflected manifoldly. Fourthly, integrated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when the features of Gugak educational programs are internally structured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matures.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Yoo, Hyeon Gyeong;Kim, Sooj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7
    • /
    • pp.95-130
    • /
    • 2016
  • The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is of importance because it affects their work performance and re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rds managers'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cords manager's job satisfaction to find the way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Specific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2) Ar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different depending on record managers' personal characteristics? 3) What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job satisfaction? To do tha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ather data from 60 domestic records manager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records centers.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2 record manager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n factors affecting job dis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ir job satisfaction. Important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are moderately satisfied with their jobs (3.2 out of 5 point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years of career, years of employment, number of personnel the respondent is working with in the records center, and etc. The number of personnel the respondent is working with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co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motivation factors(satisfaction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than hygiene factors (dissatisfaction factors) on the respondents' job satisfaction, which confirms Herzberg's two factor theory. More specifically, 'work ethic,' one of motivator factors, has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rocedural impartiality', 'communication', 'job characteristic', 'distributive justice', and 'working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record managers' job satisfaction level. First,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increased.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job dissatisfaction is usually derived from a lack of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Therefore, every chief of organization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records managers themselves should try to raise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Especially, records managers should make stronger efforts to attract the office's attention. Second, records managers ought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 Also, they should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f the archival comm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individuals.

The Imagination of Post-humanism Appeared in Korean Fictions -Focused on Cho Ha-hyung's Chimera's Morning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 (한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의 상상력 -조하형의 『키메라의 아침』과 『조립식 보리수나무』를 중심으로)

  • Yi, Soh-Yon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5 no.4
    • /
    • pp.191-22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t-humanistic imagination that has emerged as a major academic thesis in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novel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Cho Ha-hyung's two novels Chimera's Morning(2004)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2008), published in the early 2000s, for intensive analysis. Post-humanism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post-modernism that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odernity and seek to establish a new world view. In particular, this thought pays attention to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s developed since the 20th century, has changed the view of humanity and human-centered civilization itself. At the concrete level, it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a new subject idea by reflecting and dismantling Western-, reason-, and male-centered power mechanisms that are the core of modern civilization. Cho attempts to discover and re-illuminate the surrounding figures, non-humans, and objects that were not noticed in the classic works written in the past. This ideological flow reflects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human beings, which had been dominated by the humanities in recent years, has been completely changed, and the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perspective is applied to the discourse field in various ways. From the point of view of post-humanism, objects that have not been classified as humans and objects that were considered inferior to humans should be included in human or comparable levels. These questions genera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asks by involving the large categories of philosophy, such as ontology, epistemology and empirical fields, as well as calling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entire literature, science and social sciences. Against the backdrop of a disaster-hit world, Chimera's Morning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 depict human beings as variants transformed by bio-technology, and creatures made ou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built by computer simulations. Post-humanistic ideas in Cho's novels provide a reflective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reconsider the world's shape and human identity reproduced in the text, and to re-explore boundary lines and hierarchy order that distinguish between human and non-human.

Satisfaction Survey on Video Lectures using the Metaversity App (메타버시티 앱을 이용한 동영상 강의 만족도 조사)

  • Jeongkyu Park;Byeongkyou Jeon;KyeongHwan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8 no.2
    • /
    • pp.101-108
    • /
    • 2024
  • Recently, Metaverse technolog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in various fields. Metaverse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in which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similar to the real world are possible. Among the 235 third-year students who applied the Metaversity app in the radiology department of this universit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3, 200 participated in a survey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student response and satisfaction when applying the Metaversity app. analyzed. First, the most satisfactory VOD viewing method was viewing through the Metaversity app, followed by viewing through the LMS. Second, 'I think online videos are appropriate for holiday reinforce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at 4.35±0.60, 'I want face-to-face classes and online classes to be held simultaneously.' was 4.25±0.87, and 'I think meta. 'I watched it well through the Metaversity app' was the lowest at 4.10±0.30, and 'VOD viewing through the Metaversity app was used appropriately in class' was the lowest at 3.99±0.75.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e to the teaching method (p>0.05). Third,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VOD viewing using the Metaversity app, 'Applying the Metaversity app was interesting and fun' ranked the highest at 4.24±0.88. The score was high, with 'Better improvement is needed to actively utilize the metaversity app' at 4.00±0.45, and 'I hope the metaversity app is implemented in other remote classes' at 3.77±0.88. appear. 'VOD classes through the Metaversity app are better than the existing LMS method.' was found to be 3.44±0.66.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lass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p>0.05). The correlation between response and satisfaction with the metaversity app is 0.601, which can be considered very significant (p>0.001).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although we surveyed students' satisfaction with using the Metaversity app, we were unable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who interact with students. In the future, we did not consider the instructor's satisfaction in classes using the Metaversity app. Research must be conducted, and universities must have institutional support and continued interest until metaversity apps are selected and used to prepare for distance learning.

과학자(科學者)의 정보생산(情報生産) 계속성(繼續性)과 정보유통(情報流通)(2)

  • Garvey, W.D.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5
    • /
    • pp.131-134
    • /
    • 1973
  • 본고(本稿)시리이즈의 제1보(第一報)에서 우리는 물리(物理), 사회과학(社會科學) 및 공학분야(工學分野)의 12,442명(名)의 과학자(科學者)와 기술자(技術者)에 대한 정보교환활동(情報交換活動)의 78례(例)에 있어서 일반과정(一般過程)과 몇 가지 결과(結果)를 기술(記述)한 바 있다. 4년반(年半) 이상(以上)의 기간(其間)($1966{\sim}1971$)에서 수행(遂行)된 이 연구(硏究)는 현재(現在)의 과학지식(科學知識)의 집성체(集成體)로 과학자(科學者)들이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한 때부터 기록상(記錄上)으로 연구결과(硏究結果)가 취합(聚合)될 때까지 각종(各種) 정형(定形), 비정형(非定形) 매체(媒體)를 통한 유통정보(流通情報)의 전파(傳播)와 동화(同化)에 대한 포괄적(包括的)인 도식(圖式)으로 표시(表示)할 수 있도록 설정(設定)하고 또 시행(施行)되었다. 2보(二報), 3보(三報), 4보(四報)에서는 데이터 뱅크에 수집(蒐集) 및 축적(蓄積)된 데이터의 일반적(一般的)인 기술(記述)을 적시(摘示)하였다. (1) 과학(科學)과 기술(技術)의 정보유통(情報流通)에 있어서 국가적(國家的) 회합(會合)의 역할(役割)(Garvey; 4보(報)) 국가적(國家的) 회합(會合)은 투고(投稿)와 이로 인한 잡지중(雜誌中) 게재간(揭載間)의 상대적(相對的)인 오랜 기간(期間)동안 이러한 연구(硏究)가 공개매체(公開媒體)로 인하여 일시적(一時的)이나마 게재여부(揭載如否)의 불명료성(不明瞭性)을 초래(招來)하기 전(前)에 과학연구(科學硏究)의 초기전파(初期傳播)를 위하여 먼저 행한 주요(主要) 사례(事例)와 마지막의 비정형매체(非定形媒體)의 양자(兩者)를 항상 조직화(組織化)하여 주는 전체적(全體的)인 유통과정(流通過程)에 있어서 명확(明確)하고도 중요(重要)한 기능(機能)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잡지(雜誌)에 게재(揭載)된 정보(情報)의 생산(生産)과 관련(關聯)되는 정보(情報)의 전파과정(傳播過程)(Garvey; 1보(報)). 이 연구(硏究)를 위해서 우리는 정보유통과정(情報流通過程)을 따라 많은 노력(努力)을 하였는데, 여기서 유통과정(流通過程)의 인상적(印象的)인 면목(面目)은 특별(特別)히 연구(硏究)로부터의 정보(情報)는 잡지(雜誌)에 게재(揭載)되기까지 진정으로는 공개적(公開的)이 못된다는 것과 이러한 사실(事實)은 선진연구(先進硏究)가 자주 시대(時代)에 뒤떨어지게 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험(經驗)이 많은 정보(情報)의 수요자(需要者)는 이러한 폐물화(廢物化)에 매우 민감(敏感)하며 자기(自己) 연구(硏究)에 당면한, 진행중(進行中)이거나 최근(最近) 완성(完成)된 연구(硏究)에 대하여 정보(情報)를 얻기 위한 모든 수단(手段)을 발견(發見)코자 하였다. 예를 들어, 이들은 잡지(雜誌)에 보문(報文)을 발표(發表)하기 전(前)에 발생(發生)하는 정보전파과정(情報傳播過程)을 통하여 유루(遺漏)될지도 모르는 정보(情報)를 얻기 위하여 한 잡지(雜誌)나 2차자료(二次資料) 또는 전형적(典型的)으로 이용(利用)되는 다른 잡지류중(雜誌類中)에서 당해정보(當該情報)가 발견(發見)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3) "정보생산 과학자(情報生産 科學者)"에 의한 정보전파(情報傳播)의 계속성(繼續性)(이 연구(硏究) 시리이즈의 결과(結果)는 본고(本稿)의 주내용(主內容)으로 되어 있다.) 1968/1969년(年)부터 1970/1971년(年)의 이년기간(二年期間)동안 보문(報文)을 낸 과학자(科學者)(1968/1969년(年) 잡지중(雜誌中)에 "질이 높은" 보문(報文)을 발표(發表)한)의 약 2/3는 1968/1969의 보문(報文)과 동일(同一)한 대상영역(對象領域)의 연구(硏究)를 계속(繼續) 수행(遂行)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본연구(本硏究)에 오른 대부분(大部分)의 저자(著者)가 정상적(正常的)인 과학(科學), 즉 연구수행중(硏究遂行中) 의문(疑問)에 대한 완전(完全)한 해답(解答)을 얻게 되는 가장 중요(重要)한 추구(追求)로서 Kuhn(제5보(第5報))에 의하여 기술(技術)된 방법(방법)으로 과학(연구)(科學(硏究))을 실행(實行)하였음을 알았다. 최근(最近)에 연구(硏究)를 마치고 그 결과(結果)를 보문(報文)으로서 발표(發表)한 이들 과학자(科學者)들은 다음 단계(段階)로 해야 할 사항(事項)에 대하여 선행(先行)된 동일견해(同一見解)를 가진 다른 연구자(硏究자)들의 연구(硏究)와 대상(對象)에 밀접(密接)하게 관련(關聯)되고 있다. 이 계속성(繼續性)의 효과(效果)에 대한 지표(指標)는 보문(報文)과 동일(同一)한 영역(領域)에서 연구(硏究)를 계속(繼續)한 저자(著者)들의 약 3/4은 선행(先行) 보문(報文)에 기술(技術)된 연구결과(硏究結果)에서 직접적(直接的)으로 새로운 연구(硏究)가 유도(誘導)되었음을 보고(報告)한 사항(事項)에 반영(反映)되어 있다. 그렇지만 우리들의 데이터는 다음 영역(領域)으로 기대(期待)하지 않은 전환(轉換)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同一) 대상(對象)에서 연구(硏究)를 속행(續行)하였던 저자(著者)들의 1/5 이상(以上)은 뒤에 새로운 영역(領域)으로 연구(硏究)를 전환(轉換)하였고 또한 이 영역(領域)에서 연구(硏究)를 계속(繼續)하였다. 연구영역(硏究領域)의 이러한 변화(變化)는 연구자(硏究者)의 일반(一般) 정보유통(情報流通) 패턴에 크게 변화(變化)를 보이지는 않는다. 즉 새로운 지적(知的) 문제(問題)에 대한 변화(變化)에서 야기(惹起)되는 패턴에 있어서 저자(著者)들은 오래된 문제(問題)의 방법(方法)과 기술(技術)을 새로운 문제(問題)로 맞추려 한다. 과학사(科學史)의 최근(最近) 해석(解釋)(Hanson: 6보(報))에서 예기(豫期)되었던 바와 같이 정상적(正常的)인 과학(科學)의 계속성(繼續性)은 항상 절대적(絶對的)이 아니며 "과학지식(科學知識)"의 첫발자욱은 예전 연구영역(硏究領域)의 대상(對象)에 관계(關係)없이 나타나는 다른 영역(領域)으로 내딛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들의 연구(硏究)에서 저자(著者)의 1/3은 동일(同一) 영역(領域)의 대상(對象)에서 속계적(續繼的)인 연구(硏究)를 수행(遂行)치 않고 새로운 영역(領域)으로 옮아갔다. 우리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a) 저자(著者)가 각개과학자(各個科學者)의 활동(活動)을 통하여 집중적(集中的)인 과학적(科學的) 노력(努力)을 시험(試驗)할 때 각자(各自)의 연구(硏究)에 대한 많은 양(量)의 계속성(繼續性)이 어떤 진보중(進步中)의 과학분야(科學分野)에서도 나타난다는 것과 (b) 이 계속성(繼續性)은 과학(科學)에 대한 집중적(集中的) 진보(進步)의 필요적(必要的) 특질(特質)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우리는 이 계속성(繼續性)과 관련(關聯)되는 유통문제(流通問題)라는 새로운 대상영역(對象領域)으로 전환(轉換)할 때 연구(硏究)의 각단계(各段階)의 진보(進步)와 새로운 목적(目的)으로 전환시(轉換時) 양자(兩者)가 다 필요(必要)로 하는 각개(各個) 과학자(科學者)의 정보수요(情報需要)를 위한 시간(時間) 소비(消費)라는 것을 탐지(探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觀察)은 정보(情報)의 선택제공(選擇提供)시스팀이 현재(現在) 필요(必要)로 하는 정보(情報)의 만족(滿足)을 위하여는 효과적(效果的)으로 매우 융통성(融通性)을 띠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暗示)하는 것이다. 본고(本稿)의 시리이즈에 기술(記述)된 전정보유통(全情報流通) 과정(過程)의 재검토(再檢討) 결과(結果)는 과학자(科學者)들이 항상 그들의 요구(要求)를 조화(調和)시키는 신축성(伸縮性)있는 유통체제(流通體制)를 발전(發展)시켜 왔다는 것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 이 시스팀은 정보전파(情報傳播) 사항(事項)을 중심(中心)으로 이루어 지며 또한 이 사항(事項)의 대부분(大部分)의 참여자(參與者)는 자기자신(自己自身)이 과학정보(科學情報) 전파자(傳播者)라는 기본적(基本的)인 정보전파체제(情報傳播體制)인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過程)의 유통행위(流通行爲)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대부분(大部分)의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가 역시 정보(情報)의 동화자(同化者)-다시 말해서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생산자(生産者)는 정보(情報)의 이용자(利用者)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硏究)에서 전형적(典型的)인 과학자((科學者)는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생산(生産)이나 전파(傳播)의 양자(兩者)에 연속적(連續的)으로 관계(關係)하고 있음을 보았다. 만일(萬一) 연구자(硏究者)가 한 편(編)의 연구(硏究)를 완료(完了)한다면 이 연구자(硏究者)는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이냐 하는 관념(觀念)을 갖게 되고 따라서 "완료(完了)된" 연구(硏究)에 관한 정보(情報)를 이용(利用)하여 동시(同時)에 새로운 일을 시작(始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과학자(科學者)가 동일(同一) 영역(領域)의 다른 동료연구자(同僚硏究者)에게 완전(完全)하며 이의(異議)에 방어(防禦)할 수 있는 보고서(報告書)를 제공(提供)할 수 있는 단계(段階)에 도달(到達)하였다면 우리는 이 과학자(科學者)가 정보유통과정(情報流通過程)에서 많은 역할(役割)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즉 이 과학자(科學者)는 다른 과학자(科學者)들에게 최신(最新)의 과학적(科學的) 결과(結果)를 제공(提供)할 때 하나의 과학정보(科學情報) 전파자(傳播者)가 되며, 이 연구(硏究)의 의의(意義)와 타당성(妥當性)에 관한 논평(論評)이나 비평(批評)을 동료(同僚)로부터 구(求)하는 관점(觀點)에서 보면 이 과학자(科學者)는 하나의 정보탐색자(情報探索者)가 된다. 또한 장래(將來)의 이용(利用)을 위하여 증정(贈呈)이나 동화(同化)한 이 정보(情報)로부터 피이드백을 받아 드렸을 때의 범주(範疇)에서 보면 (잡지(雜誌)에 투고(投稿)하기 위하여 원고(原稿)를 작성(作成)하는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과학자(科學者)는 하나의 정보이용자(情報利用者)가 되고 이러한 모든 가능성(可能性)에서 정보생산자(情報生産者)는 다음 정보생산(情報生産)에 이미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다(저자(著者)들의 2/3는 보문(報文)이 게재(揭載)되기 전(前)에 이미 새로운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하였다). 과학자(科學者)가 자기연구(自己硏究)를 마치고 예비보고서(豫備報告書)를 만든 후(後) 자기연구(自己硏究)에 관한 정보(情報)의 전파(傳播)를 계속하게 되는데 이와 관계(關係)되는 일반적(一般的)인 패턴을 보면 소수(少數)의 동료(同僚)그룹에 출석(出席)하는 경우 (예로 지역집담회)(地域集談會))와 대중(大衆) 앞에서 행(行)하는 경우(예로 국가적 회합(國家的 會合)) 등이 있다. 그러는 동안에 다양성(多樣性) 있는 성문보고서(成文報告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학자(科學者)들이 자기연구(自己硏究)를 위한 주정보전파목표(主情報傳播目標)는 과학잡지중(科學雜誌中)에 게재(揭載)되는 보문(報文)이라는 것이 명확(明確)한 사실(事實)인 것이다. 이러한 목표(目標)에 도달(到達)할 때까지의 각(各) 정보전파단계(情報傳播段階)에서 과학자(科學者)들은 목표달성(目標達成)을 위하여 청중(聽衆), 자기동화(自己同化)된 정보(情報) 및 이미 이용(利用)된 정보(情報)로부터 피이드백을 탐색(探索)하게 된다. 우리가 본고(本稿)의 시리이즈중(中)에 표현(表現)하려 했던 바와 같이 이러한 활동(活動)은 조사수임자(調査受任者)의 의견(意見)이 원고(原稿)에 반영(反映)되고 또 그 원고(原稿)가 잡지게재(雜誌揭載)를 위해 수리(受理)될 때까지 계속적(繼續的)으로 정보(情報)를 탐색(探索)하는 과학자(科學者)나 기타(其他)사람들에게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원고(原稿)가 수리(受理)되면 그 원고(原稿)의 저자(著者)들은 그 보문(報文)의 주내용(主內容)에 대하여 적극적(積極的)인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을 종종 중지(中止)하는 일이 있는데 이때에는 저자(著者)들의 역할(役割)이 변화(變化)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이 저자(著者)들은 일시적(一時的)이긴 하나 새로운 일을 착수(着手)하기 위하여 정보(情報)의 동화자(同化者)를 찾게 된다. 또한 전(前)에 행한 일에 대한 의견(意見)이나 비평(批評)이 새로운 일에 영향(影響)을 끼치게 된다. 동시(同時)에 새로운 과학정보생산(科學情報生産) 과정(過程)에 들어가게 되고 현재(現在) 진행중(進行中)이거나 최근(最近) 완료(完了)한 연구(硏究)에 대한 정보(情報)를 항상 찾게 된다. 활발(活潑)한 연구(硏究)를 하는 과학자(科學者)들에게는, 동화자(同化者)로서의 역할(役割)과 전파자(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을 분리(分離)시킨다는 것은 실제적(實際的)은 못된다. 즉 후자(後者)를 완성(完成)하기 위해서는 전자(前者)를 이용(利用)하게 된다는 것이다. 과학자(科學者)들은 한 단계(段階)에서 한 전파자(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이 뚜렷하나 다른 단계(段階)에서는 정보교환(情報交換)이 기본적(基本的)으로 정보동화(情報同化)에 직결(直結)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와 정보동화자간(情報同化者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또는 정보생산자(情報生産者)와 정보이용자간(情報利用者間))는 과학(科學)에 있어서 하나의 필수양상(必修樣相)이다. 과학(科學)의 유통구조(流通構造)가 전파자(傳播者)(이용자(利用者)로서의 역할(役割)보다는)의 필요성(必要性)에서 볼 때 복잡(複雜)하고 다이나믹한 시스팀으로 구성(構成)된다는 사실(事實)은 과학(科學)의 발전과정(發展過程)에서 필연적(必然的)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사실(事實)은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전파요원(傳播要員)이 국가적 회합(國家的 會合)에서 자기연구(自己硏究)에 대한 정보(情報)의 전파기회(傳播機會)를 거절(拒絶)하고 따라서 전파정보(電波情報)를 판단(判斷)하고 선별(選別)하는 것을 감소(減少)시키며 결과적(結果的)으로 잡지(雜誌)나 단행본(單行本)에서 비평(批評)을 하고 추고(推敲)하는 것이 배제(排除)될 때는 유형적(有形的) 과학(科學)은 급속(急速)히 비과학성(非科學性)을 띠게 된다는 것을 Lysenko의 생애(生涯)에 대한 Medvedev의 기술중(記述中)[7]에 지적(指摘)한 것과 관계(關係)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