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지지

검색결과 2,518건 처리시간 0.032초

중등교사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종철;이동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1호
    • /
    • pp.65-8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의 성인애착, 사회적 지지,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나아가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3개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중등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주요변인들(성인애착, 사회적 지지, 우울)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성인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의 하위차원인 의존애착, 불안애착, 친밀애착이 각각 우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상급자 지지를 제외한 나머지 사회적 지지 하위차원들과 우울간, 그리고 의존애착과 상급자 지지를 제외한 나머지 성인애착 하위차원들과 사회적 지지 하위차원들간 유의한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했으며, 의존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인 동료 지지 및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의존애착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인 상급자 지지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사회복지 논문분석 -주효과, 완충효과 모델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배지연;김은이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45-26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회복지악계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지난 10여년간의 연구를 정리하고 집중적인 내용분석을 아는데 있다. 분석대상논문은 1990년대 이후부터 2002년까지 노인관련 학술지와 사회복지학술지에 게재된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들이며, 총 30여편이었다. 연구결과는 사회적지지에 관한 연구들은 90년 중반부터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의 연구대상은 노인이 많았다. 사회적지지에 대한 개념 측정은 기능적 특성을 측정한 연구가 많았고, 측정도구의 사용이 불분명해서 측정도구의 타당성 문제와 표준화된 척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효과성 검증결과에서는 주효과모델보다 완충효과 모델의 연구가 적어, 향후 완충효과모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Urban Elderly People)

  • 함석필;김범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67-377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파악 하고자 2019년 5월 1일부터 6월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D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들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지지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점수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총점 및 하위영역(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애정적지지, 및 긍정적 사회 상호작용)이 매우 높은 군(Q4)보다 낮은 군(Q1)에서 주관적 행복감이 낮아질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들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지의 구체적인 실행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자 희망에 미치는 영향 (Hope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 장효진;임장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광주광역시의 4개 학교에 재학중인 중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개인 배경변인과 사회적 지지 및 희망에 대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사회적 지지제공자 중 부모의 지지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고 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 순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희망 영역 중 자신의 삶과 가치에 대한 믿음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고 목표도달 가능성 평가를 가장 낮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이 부모, 교사 친구로부터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희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종교유무 및 사회적 지지는 청소년의 희망에 영향을 미쳤다. 즉 남자청소년들이 여자청소년들보다, 종교가 있는 청소년들이 종교가 없는 청소년들보다 희망수준이 높았고, 사회적 지지 중 부모의 정보적 지지와 친구의 평가적 지지는 청소년의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 PDF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길경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7-164
    • /
    • 2006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사회적 지지 검사, 정서지지능 검사를 설문지 조사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개방-폐쇄형, 자율-타율형의 순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정서지능은 정서인식, 감정이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양육태도는 성별에 대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지능에서는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에서는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는 서로 약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는 아동에게 매우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지지와 학교에서의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 신준섭;이영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241-269
    • /
    • 1999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갖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서 사회적 지지이론에 대한 경험적 분석과 실직자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략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충청북도, 충주시 및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369명의 실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상태에 미치는 주효과(main effect)가설과 스트레스 완충효과(stress buffering effect)가설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가설과 스트레스 완충효과가설의 부분적인 검증을 시사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에 대한 검증에서는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표본 실직자들에게 가장 유용한 사회적 지지의 출처였고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완충효과가설이 검증이 된 경우에도 완충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의 이론 검증을 위한 추후연구방향이 제시되었고 실직자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개발전략에 대한 시사점이 제기되었다.

  • PDF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1-166
    • /
    • 2003
  •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재아의 개념정의와 판별도구 개발, 영재발굴, 선발 및 그들의 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영재아들의 적응, 자기지각, 또래관계등 사회정서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및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영재아의 사회적 성취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개인적응, 사회적응, 부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수준은 어떠한가\ulcorn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100명의 아동이며, 이들은 교사추천 및 전북대학교 과학영재연구소의 과학과 수학시험을 통해 선발된 과학 영재아동이다. 설문결과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39명(남아 59명, 여아 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아동의 적응능력검사도구는 한국교육평가센터(KETC)에서 1998년 개발하여 표준화과정을 마친 종합적응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응영역(자아개념 12문항, 성취동기 10문항, 자기기획 15문항), 사회적응영역(사교성 15문항, 애착 9문항, 사회적 긍정성 10문항), 부적응영역(스트레스 20문항, 욕구좌절 10문항, 편견 12문항) 총 1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자기지각검사도구는 Harter(1985)의 Self-Perception Profile이며, 학업역량, 사회적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기가치감 각각 6문항씩 총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검사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 친한 친구지지 각각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Networks on Child Abuse)

  • 여진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2호
    • /
    • pp.99-127
    • /
    • 2010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아동보호대책 마련을 위하여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빈곤과 부부불화, 그리고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검증하였다. 그런 후 빈곤과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빈곤과 부부불화는 아동학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져,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는 아동학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빈곤,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 지지 모두 빈곤, 부부불화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나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통한 아동보호대책에 관해 논의하였다.

장애인서비스 제공자의 인권 인식, 사회적 지지, 사회통합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Human Rights Awareness,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in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 김진연;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20-63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제공자의 인권 인식,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인권 인식이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사회통합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권 인식은 사회적 지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둘째, 인권 인식 또한 사회통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인권 인식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지지가 사회통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권 인식은 사회통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는 인권 인식과 사회통합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애인서비스 제공자가 인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사회적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사회통합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삶의 의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Differential Effects of Giving and Receiving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in the Elderly: The Focus on the Mediation effects of Meaning in Life)

  • 이현서;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505-528
    • /
    • 2021
  • 본 연구는 인간관계가 중요한 노년기에 가족이나 친구/이웃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과 그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는 것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삶의 의미를 매개로 노인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부산 및 경남에 거주 중인 60세 이상 310명을 대상으로 가족 또는 비 가족과의 사회적 지지제공 및 지지받기 정도, 삶의 의미, 자기존중감을 측정하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제공은 삶의 의미를 매개로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삶의 의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사회적 지지받기는 삶의 의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양상은 가족과 비 가족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제공이 삶의 의미를 통해 노년기 자기가치감을 증진한다는 결과는 인생 쇠퇴 시기인 노년기 행복의 원천으로서 친밀한 타인과의 사회적 교류의 중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