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치유 환경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국내 산림치유 산업의 부각과 임업인의 경제적 전망

  • Kim, Ji-Hyeon
    • 산림경영
    • /
    • s.212
    • /
    • pp.26-31
    • /
    • 2014
  • 기후변화 대응 및 녹색성장을 위한 산림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에도 산림치유에 관한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다. 2007년부터 산림치유와 관련된 산림청 기획 연구과제가 수행됨에 따라 산림 치유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와 정책이 시작되었다. 산림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해 현대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산림치유(Forest healing)에 대한 국내외 연구사례와 언론보도 등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최근 10년 사이 그야말로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지방자치단체의 대부분이 직간접적으로 산림치유와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도 관련 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현 산림청장이 국립대학의 산림치유학과 교수였던 이력을 보더라도 산림치유에 대한 국가적인 기대도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최근 산림정과 녹색사업단이 공동 기획한 산림치유 전문지 'ECO HEALING (에코힐링)'의 창간 또한 이러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에 부흥하는 일이라 하겠다. 그간 치산녹화에 주력해 우리 산림을 급부상시킨 산림경영인들이 이제는 시대적 요구에 걸맞은 혜안을 가지고 국가 시책과 사회적 요구에 앞서 나가 또 다른 산림 산업의 주역으로서 역할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산림치유 산업이 급부상하게 된 이유와 산림의 이로움을 재조명하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의 산림치유 산업의 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ndicatorsto Create a Healing Environment in Disabled Residential (장애인거주시설 내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 Yeu, Hyun-Jung;Yang, Hee-Se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5
    • /
    • pp.343-358
    • /
    • 2022
  •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disabled population and welfare paradigm, the government is focusing on green welfare and environmental welfare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disabled, including the enactment of basic laws and convenience promotion laws. Accordingly, green environmental welfare for the disabled is supported in policy, but there are no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green welfare space and healing environment created.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healing environment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and conducted research using expert FGI to present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determine whether spatial roles and functions are appropriat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51 healing environment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from 26 physical aspects evaluation items, 14 psychological aspects evaluation items, and 11 social aspects evaluation items. Evaluation indicator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healing environment created in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healing environment to be created in the future.

An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Neighborhood Healing Gardens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 Huang, Zhirui;Lee, Ai-Ra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2
    • /
    • pp.81-90
    • /
    • 2022
  • This study is based on social needs for green healing spaces assumed to enhance mental health in a city. This study proposes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social recognition factors for neighborhood gardens. As a research method, web information data was collected using Textom among big data tools. Text Mining was conducted to extract elements and analyze their relationship through key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healing space and the healing environment were creating an eco-friendly healthy environment in a space close to the neighborhood within the city. Second, neighborhood gardens included projects and activities that involved government, local administration, and citizens by linking facilities as well as living culture and urban environments. These gardens have been reinforced through green welfare and service programs. In conclusion, friendly gardens in the neighborhood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which are beneficial to mental health, are green infrastructures as a healing environment that can produce positive effects.

치유농업시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주관적규범과 주도성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Lee, Eon-J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33-37
    • /
    • 2020
  • 최근 농업은 6차산업을 넘어 국민의 건강회복 및 유지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다양한 농업·농촌자원의 활용과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또 는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치유농업을 들 수 있다. 현 코로나19로 인한 고립과 단절, 앞날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길어지면서 우울감을 느끼는 '코로나 블루(Blue)'를 넘어 우울과 불안 감정이 분노로 폭발하는 '코로나 레드(Red)'를 호소하는 이들마저 있다고 한다. 최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전국 만 성인 남녀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상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0.7%가 코로나 블루를 "경험했다"고 답했는데 특히 여성(50.7%)의 경험 비율이 남성(34.2%)보다 높았다고 한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반려동물이나 반려식물을 키우는 이가 급증하고 노년층은 실버 텃밭 정원프로그램을 통해 우울증이 크게 감소됐다. 이와 같이 치유농업은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고, 도시민의 농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치유농업시설의 이용의도를 가진 자를 대상으로 치유농업시설 선택속성에 주관적규범과 주도성향이 치유농업시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유농업시설을 이용하는 데에 있어 선택속성의 요소들에 대하여 파악하고 주관적규범과 주도성향에 따른 영향도 확인하여 치유농업시설 선택속성을 제공하고자 할 때 우선시해야 할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Point of View (환경 스트레스 관점의 치유환경 디자인요소의 치유효과 연구)

  • Oh, Ji Young;Park, Hey Kyung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7 no.5
    • /
    • pp.215-226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healing effect of the design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stress, which is one of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By examining the objective healing effects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attempted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and systematic healing environmen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hases. Firstly, three environmental stress theories (Attention Recovery Theor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Environmental Stress Model) were examined to review the academic basis of which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has been derived and developed. Second, we analyzed 16 previous research on the design elements of healing environment and used them as an analysis framework of this study. Thirdly, 11 foreign studies that proved the healing effects of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rough objec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as an analysis framework, and the basis for applying design elements in constructing healing environment was prepar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healing environment was developed from Lazarus's psychological stress theory and Ulrich's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one of the noninvasive healing tools that affect stress reduction. Second,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could be divided into 15 factors and categorized a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mentioned and studied in the previous research in order of nature-friendly, aesthetic, and openness. Third,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healing effects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were related to natural affinity and aesthetics, and it was found that the visual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could affect the actual stress reduction.

A Exploratory Study of the Concept and Theories of the Healing Environment for Mental Health Enhancement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치유환경 개념 및 이론 탐색연구)

  • Lee, Hae Kyung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7 no.3
    • /
    • pp.109-123
    • /
    • 2018
  • This exploratory research examines a new approach to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changed health paradigm, and seeks to conceptualize the extended characteristics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context of mental health promotion. This study aims to, first, define the concepts of health, mental health, and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changed paradigm, and second, develop the healing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create indicator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performed a theoretical exploration that could support the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for mental health promotion by expanding its scope into not only architecture, psychology, and psychiatry but also philosophy of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psychology, which concern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considers related theories and attempts to establish a new concept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ing environment categoriz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research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include (a) physical protection promotion, (b) psychological comfort promotion, (c) social exchange promotion, and (d) personal self-esteem promoti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the healing environment for mental health promotion is important to implement the actual healing environment. Based on the concept, more specific design indicators and guidelines could be developed to conduct applied research.

해양휴양복지·해양치유 국민인식조사 결과 분석

  • Yun, In-Ju;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04-306
    • /
    • 2018
  • 이 연구는 해양휴양복지 해양치유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통해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뒷받침할 기초자료와 근거를 확보하고자 했다. 2018년 8월 2일부터 9일까지 1주일간 웹과 모바일을 통해 조사한 557명의 응답자 중 82.9%는 해양수산부의 해양휴양복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85.6%가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91.6%는 해양치유를 체험할 의향이 있으며 특히 바다 경관이 주는 스트레스 완화와 신체건강 증진 효과에 기대가 높았다. 응답자들은 해양휴양복지 서비스 대상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과 자살 중독방지, 지역주민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해양치유 공간과 시설, 이용 요금, 안전과 환경 등 해양치유 참여 시 실제적이고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하며, 접근성보다는 주변환경, 질병치료보다는 건강증진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양치유정책 추진방향 연구

  • Hong, Jang-Won;Yun, I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9-11
    • /
    • 2018
  • 이 연구는 국내외 환경 변화와 관광트렌드 변화에 따른 웰니스와 치유관광의 부상, 국내 치유 휴양관광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 해양치유정책의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기후변화와 고령화, 일과 삶의 균형 추구와 같은 환경 변화 및 융합관광, 슬로우트래블 등의 인기를 배경으로 치유와 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는 문체부 복지부 중심의 의료관광, 산림청이 주도하는 산림치유가 활성화되고 있다. 해양치유는 해양과 배후자원을 활용한 치유행위를 말하며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산업유성 및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다. 해양치유에 대한 낮은 인지도, 사회문화적 여건 미성숙, 법제도적 기반 미비, 해양공간의 특수성과 같은 제약 요인을 고려하여 향후 국내 해양치유정책은 법제도 기반 마련, 공간 및 인프라 구축, 자원 발굴 및 홍보를 중심으로 전개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치유농업프로그램의 유형이 체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능적이미지와 감정적이미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O, Sin-Yeong;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55-159
    • /
    • 2021
  • 현대인들은 학업, 취업, 업무, 장수 스트레스 등 연령대별로 다양한 환경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최근 코로나19와 관련한 걱정과 두려움, 불안, 우울을 느끼는 국민이 늘어나면서 자살시도도 증가세에 있다. 치유농업은 이러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농촌자원들을 활용하여 사람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고 기획된 프로그램을 통해 치유할 수 있어 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치유농업은 2020년 3월 치유농업 관련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활성화가 예상되고 있으나 치유농업에 대한 다양한 학술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유농업 체험자를 대상으로 치유농업프로그램의 유형이 체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기능적이미지와 감정적이미지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에 치유농업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유형인 원예치유, 동물매개치유, 음식치유, 숲치유 4가지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에 체험만족도를 선정하여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기능적이미지와 감정적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on Infant's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방과후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 Jang, Cheoul-Soon;Koo, Chang-Duc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6
    • /
    • pp.595-605
    • /
    • 201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s on the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young children using the attributes of forest and the forest healing factors. The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in ${\bigcirc}{\bigcirc}$ - dong, Cheongju city were divided into a test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and a contro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regular programs of the kindergarten but not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Each group consisted of 20 boys and girls aged 3 to 5 years.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10 April to 10 July in 2017 for a total of 12 sessions, and each session lasted one hour (60 minutes). The pro-sociality behavior and self-efficacy test of the children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forest healing program,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social behaviors that indicated the ability to execute the positive action and the self-efficacy that indicated the self-confid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improved their self-esteem through positive thoughts from being with their peer in nature. Moreover, they increased not only ecological knowledge but also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cooperative spirit. They also greatly improved the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otion and the ability to form the personal relationship which are the sub-factors of pro-sociality, the ability to adapt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the physical efficacy which is the sub-factor of self-efficacy. It was concluded that the after-school forest healing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