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위험도

Search Result 2,0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화재안전 및 보험상식 - 다중이용업소 위험관리 및 보험

  • Jang, Tae-Ho
    • 방재와보험
    • /
    • s.142
    • /
    • pp.54-55
    • /
    • 2011
  • 다중이용업소는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날 뿐만 아니라 그 피해가 대부분이 사회적 약자에게 발생한다. 아래 표는 2010년 다중이용업소에서 발생한 화재건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기적인 요인과 부주의에 따른 화재가 대부분이다. 다중이용업소의 보험가입 현황은 2009년 기준으로 다중이용업소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의 50.1%만이 화재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번 호에는 다종이용업소의 위험분석과 이에 대한 보험상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Local Social Vulnerability in Facing Merapi Volcanic Hazard (메라피 화산재해에 대한 지역단위의 사회적 취약성 평가)

  • Lee, Sungsu;Maharani, Yohana Noradika;Yi, Waon-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7 no.6
    • /
    • pp.485-492
    • /
    • 2014
  • In regards to natural disasters, vulnerability analysis is a component of the disaster risk analysis with one of its objectives as a basis for planning priority setting activities. The volcano eruption raises many casualties and property in the surrounding area, especially when the volcano located in densely populated areas. Volcanic eruptions cannot be prevented, but the risk and vulnerability can be reduced which involve careful planning and preparations that anticipate a future crisis. The social vulnerability as social inequalities with those social factors can influence the susceptibility of various groups to harm and govern their ability to respo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methods of Social Vulnerability Index (SoVI) to measure the socially created vulnerability of the people living in Merapi proximal hamlets in Central Java, Indonesia that refers to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that affect the resilience of communities in order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social burdens of risk. Social vulnerability captured here, using a qualitative survey based-data such as interviews to local people with random ages and background to capture the answer vary, also interviews to stakeholders to help define social vulnerability variables. The paper concludes that by constructing the vulnerability index for the hamlets, the study reveals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and causes of social vulnerability. The analysis using SoVI confirms that this method works well in ensuring that positive values indicating high social vulnerability and vice versa.

The Risk Evaluation on Water Supply Networks using PROMETHEE (PROMETHEE를 이용한 상수도관망시스템의 위험도 평가)

  • Hong Sungjun;Kim Sheung-Kown;Kim Joo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07-1311
    • /
    • 2005
  • 최근들어 Water Security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진행되지 않았고 상수도관망시스템의 오염예방 및 위험관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 상수도관망시스템의 위험성 및 취약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수도관망시스템의 위험도와 관련된 여러 위험요소들은 인명의 피해, 재산상의 피해, 환경적 피해, 시스템의 피해 그리고 사회적 불안등 여러 기준을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이 문제는 다기준의사결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문제로서 평가기준들(criteria) 간의 상충관계(trade-off)로 인하여 판단이 모호한 대안들을 PROMETH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Enrichment Evaluations)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ROMETHEE는 선호의 유출량(leaving flow)과 유입량(entering flow)의 개념을 이용하여 여러 대안들의 순위선호(outranking)를 산정하는 기법으로, 의사결정자(decision matter)가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기존의 AHP$\cdot$ANP와는 달리 명확한 판단이 어려운 대안들에 대해서는 비교불가능한(incomparable) 대안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위험도 평가결과는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할 의사결정시스템 구축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flood risk evaluation standards by Local Authorities (행정구역 홍수위험 판단기준 설정 방안 연구)

  • CHoi, Cheon Kyu;Kim, Kyung Tak;Choi, 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3-103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의해 국지적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로 인해지역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사전에 홍수로 인한 피해에 대비하고자 기상청에서는 호우특보를 발령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하천을 중심으로 홍수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그러나 호우특보는 전국을 동일한 판단기준을 활용하고 있으며, 홍수특보는 하천 중심으로 홍수에 대한 위험을 예보를 제공하여 사전에 행정구역에서 홍수에 대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거 홍수피해 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위험을 평가하고, 이를 활용하여 재난인자인 강우량과 홍수량에 대한 판단 기준을 행정구역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홍수위험 판단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과거 홍수피해 사상별 강우량, 홍수피해액, 홍수피해 현상 등을 조사하였으며, 홍수피해 현상은 각종 기사 및 뉴스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강우량 기준은 행정구역 내 존재하는 강우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홍수량 기준 적용 지점은 담당 공무원의 의견과 과거 홍수피해 이력이 있는 지역에 대해 설정하였다. 각 홍수위험 판단기준은 위험정도에 따라 4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홍수위험 판단기준은 사전에 홍수위험을 인지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응단계 설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Risk Issues and Policy for Future Society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정책적 대응 방향: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 Koo, Bonji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0 no.1
    • /
    • pp.1-20
    • /
    • 2022
  • Digital transformation refers to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digitisation and digitalisation. Although digital transformation acts as a useful tool for economic/social development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life, it can have negative effects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ethical problems, deepening social gaps, etc.). The government is actively establishing policies to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hegemony, however,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related risk issues and implementing policies to prevent them are relatively slow. Thus,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risk issues of the future society that can be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media articles big data through the Embedded Topic Modeling method. Specifically, first, detailed issues of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major countries were identified. Then detailed issues of negativ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jor countries and Korea were identified. Further, by synthesizing the results, futur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for responding the negative effects was propose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does not only affect technological fields but also affect the overall society, such as national security, social issues, and fairness issue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promote the positive func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but also prepare policies to counter the negative func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the detailed issues of future social risks of digital transformatio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contexts, so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policy to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and social context.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et a major direction for responding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minimize confusion among stakeholders, and prepare effective policy measures.

Applicability of frequency based flood risk map for flood risk assessment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빈도별 홍수위험지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Yujin Kang;Won-joon Wang;Seongcheol Shin;Daegun Han;Soojun Kim;Hung S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05-105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구조적 대책뿐만 아니라 치수사업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들이 대두되고 있다. 비구조적 대책으로는 재해예방사업 등에서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다차원법, 홍수취약성지수 등과 같은 정량적, 정성적 홍수위험도 평가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기존 시군구별 홍수위험도 평가는 빈도별 홍수위험지도의 침수면적을 반영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빈도별(50, 80, 100 및 200년) 설계홍수량에 따른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고 IBA(Indicator Based Assessment) 방법을 활용한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홍수위험지수는 4가지 항목(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및 Capacity)과 8개의 세부지표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송파구와 성동구는 100년 빈도, 용산구와 강남구는 80년 빈도와 100년 빈도에서 홍수위험지수의 순위 변동이 관측되었다. 순위 변동이 발생한 주요 원인으로는 홍수위험도 평가에 반영된 Exposure 및 Vulnerability 항목에 포함된 세부지표별 지수가 시군구 내 빈도별 침수면적이 변화함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했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빈도별 침수면적 변화에 따른 시군구별 홍수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예방책 또한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간분석을 통해 도출된 통계지도를 활용하여 홍수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건물 및 인구 밀집지역을 파악하고,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치수사업을 전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the Safety Management in Refinery Process through Analysis of Accident Data (석유정제공업의 공정별 사고사례분석을 통한 안전대책 연구)

  • 윤동현;이원근;서현곤;김창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41-148
    • /
    • 1999
  • 우리 사회가 경제적으로 급속히 발전됨에 따라 공업화, 도시의 밀집화, 생활양식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각종 위험물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잠재위험성도 함께 증가되어 각종 위험물 취급 부주위에 따른 폭발화재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한 건의 사고가 인적$\cdot$사회적$\cdot$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와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것을 과거 재해사례에서 명백하게 경험할 수 있었다. (중략)

  • PDF

Design of an AR-based Accessibility Improvement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R기반 청각장애인 접근성 향상 시스템 설계)

  • Hyun-Jun Jeong;Sang-Hoo Park;Tae-Hong Kim;Su-Bin J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20-1021
    • /
    • 2023
  • 장애인의 사회활동 증대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의 다양성과 포용성 증진에 중요하다. 특히 청각장애인은 환경적, 신체적 장애로 인해 사회적 접근성에 제한을 받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R 글래스 기반의 NEAR를 개발하였다. NEAR는 음성자막 변환 및 위험 알람 기능을 제공하여 청각장애인의 사회활동 제약을 해소한다. STT 기능은 입력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며, MFCC 기능은 다양한 상황의 소리를 감지하여 위험 알림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사회적 참여 향상 및 사회의 포용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Estimation of risks for social exclusion in per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 a comparison between per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and thos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위험 추정 : 타 장애집단과의 비교)

  • Park, Ji Hye;Lee, Sun Ha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7 no.4
    • /
    • pp.361-388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cope and level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per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The Wave 6 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exclusion in life areas including income, education, work, housing, health,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N=4,161).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s were executed, with the psychosocial disability(PD) group being the reference; the reverse odds rations of different disability groups were compared against the PD reference group (OR=1).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all others, the PD group was about 2 to 11 times more likely to have risks in income, work, and housing; and that compared to other groups except for the autism/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they were about 6 to 10 times more likely to have risks in social network,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In conclusion, the authors urged the need for legal mandates to have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services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more available to the PD groups and the necessity to eliminate various discriminatory legislations that are violating human and social rights of the persons with PDs.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Nurses' COVID-19 Prevention Behaviors (대학병원 간호사의 COVID-19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Jeon, Sang-Won;Han, Suk-J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2
    • /
    • pp.583-594
    • /
    • 2021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ospital nurses' COVID-19 risk perception, media dependence, government trust, resilience, and Socio-psychological stress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9.8 years old, the hospital experience was 6.6 years, and the prevention of COVID-19 was high with 4.3 points. COVID-19 prevention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OVID-19 risk perception, resilience, and media depend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o-psychological stress.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on behavior were COVID-19 risk perception, resilience, socio-psychological stress, and media dependence. To ensure that hospital nurses' COVID-19 prevention behaviors can be continued,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manage COVID-19 risk perception and media dependence, and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program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reduce socio-psychological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