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부양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Healing Interior Design for Health of Everyone (건강한 삶을 위한 힐링 실내디자인)

  • Kim, S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13 no.2
    • /
    • pp.53-60
    • /
    • 2013
  • 세계 경제가 고도성장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를 갖게 되었고, 의학기술의 발달로 건강한 고령자의 증가가 나타나는 사회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65세 이상의 건강한 고령인구의 증가 추세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또 급속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하여 가족 내의 노인부양 기능이 약화되고 있으며, 건강한 노인 단독세대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관련 복지의 구체적인 정책 실천방향에 대한 요구와 신체적, 사회 심리적 특성에 따른 힐링 환경의 개발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류 건강증진 개념 및 고찰을 통해 힐링 환경의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건강한 주거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 있어서의 공간에 의한 인류 건강증진은 1. 건강과 질병은 하나의 스펙트럼 상에 놓여 있으며, 한편은 최상의 건강 상태이며 다른 한편은 질병에 의한 사망이라는 개념에 의미를 둔다. 2. 병, 의학 전문가 관점에서 건강을 증진시키는 과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새로운 치료적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패러다임을 주지하는 입장에서, 안녕(healing)을 양성하는 공간 특성을 도출 개념이다. 3.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건강개념에 그 근거를 두고, "건강은 단순히 무 질병의 개념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문화적 에다가 영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라는 개념을 적용한다. 4. 특히, 병, 의학 전문가 관점으로 인해 간과되었던 대상자의 공간으로부터 얻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요구들을 반영하는 안녕(healing) 개념의 힐링 철학의 개념을 갖는다.

The Effects of Symptoms of the Dementia Elderly on the Primary Caregivers' Care-Stress: The Expert Support and the Family Support as a Moderator (주부양자가 인지한 치매환자의 증상정도가 케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지지 및 가족지지의 보호효과 검증)

  • Kim, Jaeyop;Kwak, Juyeon;Choi, Yoonhee
    • 한국노년학
    • /
    • v.38 no.4
    • /
    • pp.1127-1148
    • /
    • 2018
  • Care-stress among the dementia caregiver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mentia elderly's symptoms on the primary caregivers'care -stress. In addition, the moderators, the expert support and the family support, were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care-stress. The data was obtained at 10 day-care facilities and services in Seoul, Gyeonggi and Busan province in South Korea. A total of 191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y were the spouses or the adult children of the dementia elderly who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within five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ymptoms that the dementia elderly show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imary caregivers' care-stress. Also, the interactive variable with the expert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 with the family support. This means that only the expert support from doctors, nurses or social workers decreased the caregivers' care-stre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1) the necessities of the education that covers the specific symptoms of the dementia patients', 2) the extension of the supportive policies for caregivers' care-stress, 3) the necessities of more allocation of the dementia specialists in the practical settings and cooperative systems among the dementia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and 4) the enhancement of the family function among families who have a dementia elderly as a family member.

한국 가족농 재생산체계의 위기

  • 권태환;장경섭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39
    • /
    • 1995
  • 한국의 농촌위기를 농업생산과 농민생활의 기초적 조직단위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문제의 핵심이 가족농의 재생산체계의 와해에 있음이 드러난다. 농촌가구의 재생산주기 단계별 분포를 볼 때, 이른바 축소기 및 해체기에 있는 가구의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형성기 및 확대기에 있는 가구의 비율은 급속히 감소함에 따라 한국의 가족농체제는 그 미시조직적 기반이 와해되어 가고 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가족 재생산 주기의 각 단계인 양육 및 교육, 농가경제 계승과 혼인, 노후 부양 등의 과정에서 동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혼돈과 단절이 농촌의 기초조직인 농가의 존속 자체를 어렵게 만듦으로써 정상적 농가 없는 농촌의 총체적 퇴행이 나타나고 있다. 종합적으로 말해 가족농 재생산체계가 그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심각한 위기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해 볼 때, 한국 농촌의 현실은 기초 생산,생활조직의 차원에서 급격한 해체는 진행되고 있으나 적절한 재구조화(restructuring)는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생산조직 차원에서의 농촌문제의 대처는 기존 농가 재생산 주기의 붕괴에 관한 다양하고 즉각적인 대증요법을 동원해 가족농 해체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보완적 조치로서 새로운 협업적 또는 기업적 경영체계의 확립에 관계된 사회적 필요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노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 Son, Myeong-Dong;Park, Ch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3-374
    • /
    • 2012
  • 치료레크리에이션은 사회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레크리에이션 서비스대상은 특수대상과 일반대상으로 구분된다. 한국치료레크리에이션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상에서 특수대상으로는 발달장애아동, 물질중독청소년, 가출청소년, 정신장애인, 뇌졸중노인, 치매노인, 장애노인 등이고 일반대상으로는 인터넷 중독성향 청소년, 직장인, 일반인가족, 갱년기 주부, 건강노인, 건강노인부부 등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가족과 사회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의존적 노인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보호의 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는 치매노인의 절대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현대화, 산업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가족의 노부모 부양기능은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의 의료 및 사회적 보호문제는 노인복지제도의 주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本) 고(稿)에서는 노인복지제도의 향상의 일환으로 노인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실제 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해보도록 하고자 한다.

  • PDF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 Yun, Hong-Si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469-492
    • /
    • 2005
  • 본 논문은 성 통합적 관점에서 가족정책의 재구조화에 대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는 가족정책의 관점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 섰을 때 일과 가족 양립의 문제가 특정성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 시민의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즉 허구적 믿음에 근거한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성별구분 없이)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통합시킬 때 공적가치인 정의의 문제와 사적가치인 보살핌의 대림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노동주체로서 남성과 여성의 통합성과 현실적 문제로써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근거한 '이해'의 상이함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틀은 가족 구성원이 노동하는 장소에 따라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가족정책의 틀에 따라 가족정책을 가족영역과 시장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가족정책의 내용은 가족구성원이 노동권과 부모권(모성권+부성권)을 실현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을 완화 제거하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정책의 방향은 여성과 남성이 생계부양과 보살핌의 책무를 함께 나누게 하는 것이다. 이는 노동하는 주체의 관점에서 허구적인 공 사적영역의 분리를 통합시켜 내는 것으로, 궁극적인 가족정책의 지향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편적 일과 가족 양립을 실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 PDF

The Meaning of Elder Abuse and Interventions for It : A Qualitative Study of Older People's Perceptions (노인학대의 의미와 사회적 개입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연구 : 질적 조사연구)

  • Woo, Kug-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0
    • /
    • pp.109-129
    • /
    • 2002
  • Studies of elder abuse are increasing in our country since the 1990s. But few studies have researched how older people may perceive and give meaning to the phenomenon of elder abuse. Old people have been alienated from their own problems. Elder abuse was constructed as a social problem by experts, not by older people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lder people's perceptions ell the meaning of elder abuse and interventions for it,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the elderly were as follows: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s been constructing the aged as independence, privacy, and carer, which conflicts the existing social construction of the aged. They also had their own definition of elder abuse. They perceived all the psycho-emotional sufferings as major elder abuse. So, they understood that elder abuse was the pervasive problem which everyone would experience. They proposed that desirable interventions for it was to guarantee and to sustain their existing independent living.

  • PDF

Effect of Thought s of Suicide of Elderly that Care for a Chronic Invalid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중증만성질환자 돌봄 노인을 중심으로-)

  • Choi, Sin-Ae;Ha, Kyu-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265-279
    • /
    • 2012
  • In this study, I tried to find out the ecosystem factors which influence suicide thoughts of elderly that care for a chronic invalid. Ecosystem factors are consist of personal system, familial system and social system, tried to analysis ecosystem factors with characteristics of social population that influence suicide thoughts. For the study, I collected 274 samples from people of 55 year-old care a chronic invalid adults who reside of in Gyeonggi-do. I use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regression, t-test, ANOVA with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icide thoughts had affe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duty of supporting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Second, familial system as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familial support had a strong influence on suicide thoughts by long-term care and deficient familial support. Third, the result of study,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apply as independent variable then every factors of social support are negative influence but participation of social activities are not influ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of Health and Family Support Center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on, Myeong-Dong;Park, Cheo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79-380
    • /
    • 2014
  •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 결혼 출산 양육 노인 부양 등 가정생활과 관련된 각종 사회현상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가족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건강한 가정생활 영위와 가족의 유지, 발전을 위해 건강가정 기본법이 2004년 2월 9일에 제정되었다. 이 법은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통한 가정문제 발생 예방 및 가정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 PDF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 Lee, Yongwoo
    • 한국사회정책
    • /
    • v.24 no.1
    • /
    • pp.97-115
    • /
    • 2017
  • Unlike the past several decades when over 90% of unwed mothers chose to adopt their children, the number of never-married mothers who determine to raise their children for themselve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However, many unwed mothers are still suffering from a diversity of problems including poverty, discrimination and biased stereotyp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olicy paradigm shift, and examine current social services for never-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occurred around the mid-2000's towards helping never-married mothers rear their children. However, social services for them have not kept pace with the paradigm change, which makes still very much hard for unwed mothers to raise their kids on their own. The study concludes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cial services for families headed by never-married mothers.

Labor Transition and Exclusion of Unprivileged Female Breadwinners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노동이행과 배제)

  • Kim, Jeung-Hyun
    •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
    • no.43
    • /
    • pp.61-8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labour transition of female householders is proceeded, and to identify mechanisms that cause them to be excluded from labor market. For this, thirteen lone mothers who have had labor experience in the market, while raising children were interviewed.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proceeded by way of participant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Finding shows, impoverished lone mothers were horizontally moving incessantly on second labor market. As poverty worsens by years, poor lone mothers tend to be more dependant on the government's support and to transit downward to work-poor labor market. The unprivileged women were excluded from multi-dimentions: market structure, social relations and gender norms. The sex-segmental and human capital-oriented market has excluded women who gave up their career for caring. Female breadwinners were frequently excluded from social relations and opportunities for labor due to their stigma. sometimes they were self-excluded from the market for they had to care for their children. In conclusion, suggestions are given to enhance qualities of lone mother's lives and help them exit from povert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sitive labor policy with labor flexibility and stability and to practice socialization of care as care support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ir jobs. Above all, social awareness of gender role must be chan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