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개념

Search Result 3,05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Work Professional to Consumerism in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장애인복지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관적 개념화 분석)

  • Park, Kyung-Su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8 no.4
    • /
    • pp.169-196
    • /
    • 2006
  • As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is still centered in provider's perspective in Korea, this study started with concerns for consumerism that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Consumerism is rooted in organization proces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and considered as an ideology that protects actively the rights and influence of consumers. However, consumerism is not operating as an accomplished ideology yet, but as a type of the practical discourse. Consumerism is interpreted in multiaxial meanings and the conscituents of consumerism is used ambiguously in practice. This is because theoretical reviews on the conceptual thinking of consumerism are scant and empirical inquiries into conceptual cognition of social workers who uses this concept as a professional are scarce. After analyzing the data using Q methodology, the result shows that social workers' major cognitive types on consumerism perspective consists of four types; Empowerment type, Market-mechanism type, Multi-opening type and Traditional-value type. These types are classified by the dimension of 'specific/extended', 'traditional/reformative' and 'instrumental/autotelic'. This result will attribute to develop consumer-intimate policy, practice program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and to give facilities for lucid communication among policy, practice field, theory and movement in social welfare for disabled as it materializes the explicit conception of consumerism that is understood ambiguously in Korea.

  • PDF

A Study on Concept Mapping of the Citizen-initiative (주민주도성에 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 Jang, Yeon Jin;Ha, Eun Sol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1
    • /
    • pp.163-190
    • /
    • 2018
  • The citizen-initiativ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community building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by Seoul City. The citizen-initiative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direction of community welfare efforts. However, this concept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in social welfar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practitioners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recognize the concept of citizen-initiative. In this study,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to generate 59 statements about the citizeninitiative in 10 social workers in Seoul.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re used to do mapping and grouping the 59 stat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otal of 6 categories were derived. The six categories are named "Inducement of Participation", "Practice", "Procedure", "Awareness and Interest extension", "Expression of Opinion", "Attitude and Emotion". "Practice" category was revealed as a core category in the concept of citizen-initia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irst step to discuss "what is the citizen-initiative?" and to make consensus in social welfare academic area and practice field.

The enhanced definition of terrorism and disaster for better Counter-terrorism strategies in the future (대테러 대비 전략을 위한 테러와 재난정의 이해)

  • Oh, Hangil;Kim, D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99-301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테러는 국제적으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더 이상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 테러의 인식에 따른 시각은 다소 편협하여 성별, 나이, 직위, 장소등 많은 부분에서 갈등을 갖으며, 또한 한반도는 남북한의 갈등으로 인한 특수성은 게릴라 전을 테러라고 인식하는 시각이 있다. 국내 특수성으로 인해 테러를 전쟁의 영역으로 보고 테러대응 전략은 국가 안보로 많이 치우쳐져 있다. 역사와 정치적으로 또한 테러는 이념대립으로 인한 전쟁으로 치우쳐 전쟁의 전략에 한 부분으로 인식 되어 왔다는 것이 사실이다.(Rumyana G., 2014) 이는 전쟁의 시각에서 테러를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테러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의 안보의 개념뿐 아니라 재난의 개념에서도 찾을 수 있다. "불평등한 사회에 대한 민중의 분노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스위스 진보적 사회학자 장 징글러(Jean Ziegler) 는 말하며 무고한 사람들을 타겟으로 한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비합법적 무력 사용으로 보았다. 즉, 비합법적 무력사용으로 무고한 다중(Innocent people)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젠킨스와 라쿼르의 정의를 살펴보면 "테러리즘이란 폭력 혹은 폭력의 위협이다"라고 정하였다.(Jenkins 2004) 폭력이란 형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한다. 철학, 정치학 등의 학문에서는 다른 사람 또는 국가나 세력을 제압하는 힘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힘자랑이나 힘겨루기가 이에 속한다. 무력의 사용으로 사회에 심리적인 영향을 끼치며 사회적 파괴를 일으키는 것을 보편적 테러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테러는 국가 통치 질서와 사회질서 안정에 큰 위협과 혼란을 초래하는 파괴행위의 무력행사로 국가의 재난 상황을 유발하는 인류가 만든 재난으로 볼 수 있다. 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사회현상으로 발생하는 폭력적 파괴행위에 대한 피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의 현상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첨단기술을 이용한 폭력행위와 파괴의 두려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두려움의 전파 속도도 빨라 질 것이다. 따라서 테러행위의 극복을 위해서는 테러를 인적재난(Man-made Disaster)로 보고 재난의 범주로 포함하여 미래의 테러를 위한 대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학계의 학자들과 기관 및 민간 의 전문기관들에 따른 테러의 정의를 분석하고 재난정의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대테러 대비 전략의 방향에 기틀을 마련하고자 테러정의를 도출하였습니다.

  • PDF

Multiculturalism and Glocal Citizenship: In Reference to Japanese Concept of 'Multicultural Coexistence' (다문화사회와 지구.지방적 시민성: 일본의 다문화공생 개념과 관련하여)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2
    • /
    • pp.181-203
    • /
    • 2011
  • Transforma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discussion on new concepts of citizenship which would overcome some limits of national citizenship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nation-state. Citizenship can be defined as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y, and conceptualized in a relation with identity. Citizenship also includes its spatial elements such as site and movement, place and public/private space, boundary and territory, flow and network, level and scale, etc. and in particular implies a multi-scalability of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A new discussion on citizenship has emerged in Japan in shift to multicultural society, especially focusing 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grassroots social movements to support and ensure welfare services to and human rights of foreign immigrants in local communities, hence develops a concept of local citizenship. This concept seems to be highly significant for both foreign immigrants and Japanese dwellers for multicultural coexistence, but raises serious problems of separating local citizenship from formal national citizenship and from universal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 new multiscalar concept of glocal citizenship which links interrelationally local,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The concept of glocal citizenship is suggested to lead academically a new version of cosmopolitanism which embraces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in a dialectic manner, and to give strategically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y and discourse and local citizenship discussion in Japan.

  • PDF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oncept Mapping in the Planning of Network Outcomes Measurement (네트워크 성과측정 기획을 위한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적용가능성)

  • Kim, Ji-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9 no.3
    • /
    • pp.281-30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concept mapp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of network outcomes in social welfare. Planning and evaluation of network outcomes involve many stakeholders. Recognizing the value and range of individuals' perspectives in the creation of a common framework is one of the biggest methodological challenges for planning of network outcomes. Concept mapping is a kind of methodology that creates a stakeholder-authored visual geography of ideas from a group. It uses bot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including brainstorming, structuring the statement, specific analysis and data interpretation methods to produce maps that can then be used to guide planning and evaluation efforts on the issues that matter to the group. 13 network managers who work in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are core participants. The 50 statements on network outcomes from brainstorming session fell into six distinct clusters. After the interpretation session these clusters were rated according to the seven rating scales. This paper explores applicability of concept mapp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of network outcomes in social welfare. Concept mapping helps stakeholders with different value and ideas about network outcomes to consensus on common conceptual framework. In addition, a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of network outcomes was made. It will assist in designing future outcomes evaluation and guide the evaluators through a selection of key activities and outcomes.

  • PD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Generations (세대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 박재홍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4 no.2
    • /
    • pp.47-78
    • /
    • 2001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tudy of generations. The issues include: 1) the concept of generation: 2) the basis of generational formation: 3) internal differentiation of generations: 4) the boundary problems of generations: 4) the boundary problems of generations: and 5)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generational conflict.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se issues, two conclusions are drawn. Firstly, Mannheim's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frameworks are very useful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social movements and sociocultural changes. Secondly, however, further elabor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several concepts and frameworks are needed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generations in general which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social movements. Several points are suggested to elaborate Mannheim's frameworks, which include the reconceptualization of generation, and introducing the concepts of “generation sects” and “manifest-latent generational conflicts”.

  • PDF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ociology of generations - an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the generation concept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 전상진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5 no.2
    • /
    • pp.193-230
    • /
    • 2002
  • Issues regarding "generation" are facing a renaissance during recent years. One of prevailing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is the crisis of collective identities due to diverse contemporary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often criticized that the sociological examination of this topic is rather in a obscure stage resulting from the inherent confusion and ambiguities mainly caused by the mixed usage of the concep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nswering these critics and refining the systemic usage for the sociology of generation in the realm of social changes and social innovations. For this purpose,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the concept based on various contextual typology are attempted.attempted.

AUTISTIC DISORDER - AN OVERVIEW OF THE NATURE AND THE CHANGING CONCEPTS IN COMMEMORATION OF KANNER'S ORIGINAL PUBLICATION - (자폐장애 - 자폐장애의 본질과 개념변천에 관한 고찰 -)

  • Hong, Kang-E.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4 no.1
    • /
    • pp.3-26
    • /
    • 1993
  • Leo Kanner (1943)의 자폐증에 관한 획기적 논문발표 50주년을 맞아, 자폐증의 개념변천, 분류, 의학, 원인설 및 자폐증의 본질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 보았다. 초기에 자폐증을 정신병의 아형으로 보다가 1980년 (DMS-III)을 기점으로 전반적 발달장애로의 개념 변천이 일어났다 원인설도, 초기의 심리${\cdot}$환경설은 지지 받지 못하고 1960년대에는 신경${\cdot}$생물학적 이상이 자폐병리의 기저를 이룸이 분명해 졌고 1970년대에는 지각과 운동, 감각과 인지 통합의 결함, 심각한 언어, 인지의 장해가 일차적인 결함으로 생각 되었다 최근 1980년 후반기 부터 상징적${\cdot}$표상적 인지의 결함, 타인의 감정과 생각의 이해 결함, 사회적${\cdot}$정감적 표현의 결함등 사회${\cdot}$정서발달의 이상이 자폐의 근본적 결함이라는 비교 관찰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자폐증의 근본적이고 일차적인 결함이 정감적 접촉의 선천적 장애라는 Kanner의 놀라운 임상적 통찰을 증명해 주고 있다. 저자는 이상의 광범위한 문헌 고찰을 통해 자폐장애를 일차성 애착장애로 개념화하고 앞으로 치료, 교육의 방향도 일차적으로 사회${\cdot}$정서발달에 촛점을 두어야 하며, 특히 어머니와의 애착증진 치료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 PDF

Concepts and Legal Problems Related to the Health-vulnerable Class, and Measures to Ensure Health (건강취약계층의 개념과 법적 문제점, 그리고 건강보장을 위한 방안)

  • Kim, JESUN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2 no.3
    • /
    • pp.125-14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legal improvement plan for health protection of the health-vulnerable class in our society in the 'COVID-19'. The contents of the first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existing (social) vulnerable class, and then critically considered the health-vulnerable class as an expanded concept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risk of health. The term "vulnerable class" tends to have both meaning as the traditionally marginalized class such as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women, as well as the condition of having no ability to live due to low income, such as the low-income class. The concept of the health-vulnerable class is meaningful in that it appears as a recently expanded concept as it is linked to the concept of the vulnerable class and social risks such as health threats. The content of the second study looked at the problems that appeared when the health-vulnerable class was used together with the health care-vulnerable class in laws. Due to the laws used in both term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ocial security system related to health and health care could create blind spots. The contents of the third study suggested legal improvement directions for social security measures for health for the underprivileged.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 - 사회복지학회 자유발표 논문 초안 -

  • Jung, Jae-Hun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77-38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여성복지정책 개념이 갖는 지향성에 따라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과 김대중 정부 여성복지정책을 비교함으로써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의 성격 규명을 시도하였다. 부녀복지정책에서 여성복지정책으로 개념이 진일보한 1990년대 이후 여성복지정책은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정책이라는 막연한 이미지 전달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여성복지정책 개념은 여성복지정책이 추구하는 사회적 기능의 회복, 인간다운 삶 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추상적인 나열을 하는 데 그침으로써 성차별 문제를 희석시키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김대중 정부 이후 대중적 차원에서 자리매김을 확고히해 가고 있는 여성복지정책의 성격이 좁은 의미에서 복지 문제와 넓은 의미에서 성차별 문제 중 어느쪽에 비중을 두면서 변화해 가고 있는지 혹은 변화해 가야 하는지 등에 대만 분석과 전망을 제대로 제시할 수 없는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정책의 한 영역으로서 '여성복지'를 보는 여성복지정책과 '여성정책'의 한 영역으로서 '여성복지'를 보는 여성복지정책의 차원에서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여성복지정책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여성복지정책과 여성복지정책 중 어떤 차원으로의 변화가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나? 김대중 정부 여성복지정책 기조가 노무현 정부에서 계승되는 양상은 어떠한가?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 기조는 여성복지정책과 여성복지정책 중 어느 것이 될 것인가?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일어난 변화는 여성복지정책이 전통적인 부녀복지정책 개념에서 탈피하는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소득 수준 향상 등 여성복지정책적 측면에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복지정책적 성격을 드러낼 만큼 여성복지정책이 성차별 문제 해소에 중점을 두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공공부조에서는 성차별 문제나 복지 문제 중 어느 것에 초점을 둔 정책 방향의 일관성을 발견하기 힘들다. 대통령 공약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은 사회보험 대상자 확대라는 측면에서 여성복지정책적 차원의 단초를 보이고 있으니, 정색 기조는 김대중 정부의 여성복지정책 흐름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관찰할 수 있는 정색 환경의 변화로서 여성부 기능 강화와 급격한 인구학적 변동을 고려할 때 정책 추진 주체 변화를 전제로 한 여성복지정책 강화를 예측해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