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복지실천현장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사회복지실천 현장 내 기본 실천기술의 실증적 확인 및 분류 (Basic Social Work Practice Skills: Its Empirical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 Korean Practice Fields)

  • 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61-91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현장과 실천현장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이 실제 수행하고 있는 실천활동을 분석해 보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 한국의 다양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669명의 조사 대상자 중 361명이 응답)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천기술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실천현장에 뿌리를 두고 경험적으로 조사했다. 활용도가 높은 기술 132개의 목록을 제시했으며 그 기술들 안에 존재하는 주요 기술 축 7개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했다. 다음으로 이들 각 기술 축 안에 존재하는 하위 기술군들이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이들 하위 기술군을 대표하는 핵심기술지표 42개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천현장별로 각기 다른 실천기술 축을 확인해 분류하였다. 결과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사회복지사 훈련프로그램의 내용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종합사회복지관의 종사자 훈련에 대한 적용 (Exploring Practice Tasks and KSA of Korean Social Worker : Strategics for Developing Training Contents.)

  • 조성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115-142
    • /
    • 2007
  • 현직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 프로그램은 현장의 실천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복지사가 실제로 어떤 과업을 수행하고 동시에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역량(KSA)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이를 훈련에 반영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실천과업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전국의 사회복지사 중 340명을 표본추출하여 실천현장에서 활용되는 111개의 실천과업과 업무에 필요한 89개의 지식 기술 능력(KSA)을 가지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실천영역은 '직접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 '조직전략 및 인적자원관리', '간접서비스' 영역으로 분류되고, 각 영역별로 중요한 실천과업들이 선정되었다. 동시에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능력이 중요도, 필요도, 보유수준 등에 따라 우선순위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 훈련 프로그램 내용개발을 위한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어판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Practice Skills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I -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Skills Inventory I)

  • 김용석;김장배;이영숙;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5-32
    • /
    • 2010
  • 사회복지실천기술은 사회복지실천의 3대 요소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사용하는 실천기술이 어떤 것이고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Practice Skills Inventory(PSI)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목적을 갖고 수행되었다. 임상현장에서 활동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3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PSI를 평가한 결과 한국어판 PSI도 영어판 PSI와 마찬가지로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어판 PSI는 양호한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비록 PSI가 외국에서 개발된 척도이나 국내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 연구, 실천, 교육을 위한 함의가 제공되었다.

  • PDF

사회복지 행정영역에서 수퍼비젼과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pervision and ethical dilemma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이애라;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77-83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행정영역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이 겪고 있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 직면하여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전문직에 있어서 윤리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복지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한편, 사회복지학 전공 교과 과정에 '사회복지윤리와 철학'을 개설하여 윤리적 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어 왔다. 하지만 실천, 교육현장의 변화와 욕구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학계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관심은 매우 부족했다.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여러 가지의 윤리적 문제 중에서 사회복지사들에게 가장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윤리 문제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식을 전화하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을 고려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윤리적 방법과 절차를 모색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를 통해 슈퍼비전 과정에서 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이해와 슈퍼비전 전문가의 양성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예비적 개발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Social Work Skills Inventory)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57-8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을 기본 자료로 삼아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을 확인하고 선별하였으며 국내의 실천적 특성을 담아내기 위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근무하는 370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예비문항을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0개 문항이 제거되고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가 개발되었다.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세분화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회복지실천기술 척도의 요인구조는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다. '준비 및 사정 기술'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초기단계에 사용되는 기술, '변화촉진 기술' 척도는 개입단계에서 사용되는 실천기술로 주로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주는 기술, '종결 및 평가 기술' 척도는 전문적 관계를 종결하고 개입결과를 평가하는 기술, '자원연계 및 활용 기술' 척도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을 위해 지역 내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술, 그리고 '윤리적 실천기술' 척도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가치와 윤리에 부합하는 실천기술을 측정한다. 종합하면, 사회복지실천기술 활용 척도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종결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반적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필요한 실천기술, 윤리적 실천을 위해 필요한 실천기술, 환경 체계의 활용에 초점을 둔 실천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 PDF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과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Rethinking Knowledge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 홍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4호
    • /
    • pp.195-214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학문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고려한 인식의 틀 속에서 이론적 정체성과 학문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복지실천이론의 분석을 위한 구성적 특성과 이론적 속성을 살펴본다. 실천에 영향을 주는 구체성의 정도에 따라 패러다임, 시각, 이론, 모델, 실천 지혜 등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사회복지실천지식의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각기 다른 수준에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의 역할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식의 객관성과 주관성, 사회적 변화와 기능적 적응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인식론적 입장과 학문적 시각을 폭넓은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스펙트럼 내에서 분석한다. 실천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석은 사회복지실천의 존재론적 가치와 과학적 이론화 논쟁 속에서 각각의 유용성과 한계를 비교하며 사회복지실천에 적합한 공통적 지식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학문의 정체성과 전문화, 학문적 맥락과 실천현장의 적용성과 관련된 논의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와 통합된 이론체계의 구성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 실천학문의 특성을 반영하는 지식기반의 구성을 위한 탐색과정은 학문의 내적 일관성을 높일 뿐 아니라 외적으로 전문직의 역할과 전문화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로서 사회복지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 PDF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수준과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 (A Study of Social Worker's Reflective Thinking and the Usage of Practice Skills)

  • 유영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37-362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실천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가 실천기술의 활용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반성적 사고는 자신의 실천행위를 스스로 평가하고, 실천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되돌아보는 인식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반성적 사고수준은 Dewey, Mezirow, Kember 등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활용정도와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사고수준과 함께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료와 수퍼바이저와의 상호작용 등 사회복지 조직이 갖는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는 실천기술 활용정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 사고수준이 심층적으로 깊어질수록 실천기술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폭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 실천가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히고 사회복지 전문직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제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