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공포증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sychometric Charateristics of Occupational Low Back Pain Patients (일부 재해성 요부손상 환자의 심리적 특성)

  • Ha, Mi-Na;Cho, Soo-Hun;Kweon, Ho-Jang;Han, Sang-Hwan;Joo, Young-Soo;Pack, Nam-J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8 no.3 s.51
    • /
    • pp.715-725
    • /
    • 1995
  • This study was done for identifying the factors which affect psychologic symptoms of low back(LBP) patients. The study subjects were 43 work-related low back pain patients, 28 work-related non-low back pain patients and 47 general low back injury patients. The study materialis SCL 90-R for checking psychologic symptoms and questionnaire for obtain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by model of analysis of covariance adjusted by sever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and then compared the least square means of symptom score between group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 symptom, duration of suspension, return to work and interaction factor of these two variables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model and we calcuate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se variables. As a result, work-related LBP patients showed higher score of symptoms in somatization, depression and psychosis than work-related non-LBP and non-work-related LBP. Duration of suspension and return to work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for psychologic symptom score of work-related LBP. Then, we may conclude that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grame for work-related LBP should cover the strategy of early return to work.

  • PDF

Development of Emotional Expression Assessment System and a Clinical Pilot Test (감정표현 평가 시스템 개발 및 실험적 적용)

  • Han, Ki-Wan;Kim, Kwang-Uk;Ku, Jeong-Hun;Jang, Hee-Jeong;Park, Jun-Young;Kim, In-Young;Kim, Jae-Jin;Kim, Chan-Hyung;Kim, Sun-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99-1106
    • /
    • 2006
  • 정신질환자들은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의 결손을 보인다. 이러한 자기 감정표현기술은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Social Skill Training) 과정 중 하나로서 정상적인 사회생활로의 복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자기감정표현 훈련 및 평가 방법은 치료자 능력의 차이에 따른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가상현실 (Virtual Reality)은 컴퓨터를 이용한 최신의 방법으로, 최근 자폐증이나 공포증 등의 정신질환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VR 을 사용하면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과 자극을 제시할 수 있으며, 3 차원 랜더링을 통해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파라미터들을 바탕으로 객관적 판단을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적은 환경 내에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감정표현기술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개발하고 정신분열증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상현실은 크게 긍정적 상황과 부정적 상황으로 이루어 지는데 집, 카페, 빵집, 길거리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가족, 친구, 직장동료 등의 아바타가 실험 참가자에게 말을 건네고 참가자는 적절한 시기에 자신의 감정표현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실험을 하면서 정서 (긍정적 상황 Vs. 부정적 상황)에 따른 자기감정표현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아바타가 말하는 동안 참가자가 아바타의 말에 주목을 하는 정도 (아바타가 말하는 동안 참가자가 아바타의 얼굴을 쳐다보는 시간)와 자기감정을 표현을 하는 시간 (아바타의 말이 끝난 후 감정표현을 시작하는 시간과 감정표현시간)과 상대방 아바타를 주목하는 정도 (참가자가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중 아바타를 쳐다보는 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정상인이 정신분열병 환자에 비해 아바타를 주목하는 시간이나 자기감정표현을 하는 시간이 더 긴 경향이 있었다. 또한 부정적 상황에서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인 모두가 긍정적 상황에 비해 말하는 아바타에 더 잘 주목하였고,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시간도 더 긴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파라미터는 실험 참가자의 자기감정표현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기 감정표현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Effect of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Chronic Pain of Workers.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만성통증에 미치는 효과)

  • Susie Kim ;Sang-sub Ah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5 no.3
    • /
    • pp.359-375
    • /
    • 2009
  •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hat integrated MBSR-K and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fo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by studying 40 chronic pain patients. This program used nature of mind, body scanning meditation, breath meditation, mindfulness meditation, Hatha yoga and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to ease chronic pain. Whenever negative feelings and emotions such as fear, anxiety, and pain occurred, the program focused on those emotions and observed the outcome. This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was composed of eight cours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tation group that was composed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d significant decrease of physical sympto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o confirm the outstanding features of the participating patients with chronic pain that brought change in the effect of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clients were analysed. Third, the program factor that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ss was evident when the training was performed twice a week rather than having once a week of training and second week for homework.

  • PDF

Effects of One-to-one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Decrease in Falls of Adults with Stroke (뇌졸중 성인의 낙상 감소를 위한 1대 1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

  • Kim, Hee;Jung, Min-Y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5
    • /
    • pp.426-435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one-to-one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the falls and fall factors of adults who have had a stroke. 17 adults who have had a stroke were recruited and a total of four sessions of weekly one-to-one fall prevention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stroke population's cognitive abilities. Each sessions were composed of different fall-related subjects of introduction of fall, fall prevention exercise, fall prevention assistive device, and fall prevention environment modifica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fall and fall danger in the recent month, balance ability, fear of falls,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After four sessions of one-to-one fall prevention education,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all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the balance ability(p<.05). An one-to-one fall prevention education to adults with stroke could decrease the number of fall and fall danger, fear of falls, depressive symptoms and fall efficacy. In order for the stroke adults to remain safely in their community and hospital, an one-to-one fall preventive education considering their cognitive level is needed.

Environmental Economic Inducement Policies Affecting the Impact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Enterprises (기업의 환경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경제 유인정책)

  • Kim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324-326
    • /
    • 2004
  • 20세기 말까지만 해도 경제발전은 자원고갈과 자연환경파괴를 통한 대량생산 및 대량소비를 전제로 하여 이루어 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세계의 자연환경은 급속히 훼손되었으며, 환경오염은 이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 같은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난 1980년대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경영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무엇보다도 자연환경 의 보존을 요구하는 사회적 압력은 기업으로 하여금 환경경영 의 필요성을 깨닫게 하였다. 환경 경영이란 기업들이 새로운 비교 우위를 창출하기 위하여 경 영 방식의 혁신에 있어서 자연환경을 초점으로 삼는 것이다. 환경경영이란 환경보전을 요구하는 이해 관계자들로부터의 요구에 기업이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한경보호와 경영성과를 동시에 달성하는 종합적인 경영을 의미한다. 환경경영은 이업의 전 활동에 걸친 전사적인 전략적 차원의 활동으로 기업경영이 어느 한 기능분야에 국한된 개념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환경보호와 성장의 조화라는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해 기업의 생산, 재무, 인사조직, 마케팅, 회계정보시스템등의 활동이 모두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 (김종대, 이의훈:2003) 최근 들어 환경경영이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 기업의 가치가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 기업의 가치가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주가에 반영되고 있어 우리기업들이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환경경영과 기업가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수한 환경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의 주식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펀드의 수익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환경경영의 중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우선적으로 기업의 환경경영에 기본이 되는 중요한 환경경제 유인정 책과 규제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학적 합성이 아주 까다로운 약제물질 등을 천연상태에서 합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식물은 lipoxygenase 효소계가 있어서 마치 천연물 석유제조공장과 같은 제조공정 capacity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식물/식품 GMO는 안전한 것인가? 아니, KBS의 한 사회자가 말했듯이, 그리고 많은 소비자들이 믿는 것처럼 GMO는 위험한가? GMO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공포감은 Green Peace 당원들뿐만 아니라 일부 과학자들에 의해서도 조장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GMO에 의한 제2 녹색혁명은 Africa 대륙에서의 제1 녹색혁명이 지금도 지연되는 것과 같다고도 볼 수 있다. GMO의 환경에 대한 악영향은 과대 선전되어있는 것이 아닌가? 마치 GMO가 화학비료, 농약제보다 더 위험하다고 믿는 사람들도 많다. 나는 이러한 GMO 공포증이 과학적으로 그리고 "Risk Assessment"의 견지에서 볼 때 그 근거가 희박하다고 보여주는 몇 몇 실험 및 경험 사실들을 인용하려 한다. 그리고 올바른 Risk Assessment야 말로 한국의 21세기 BT 산업을 경쟁력 있게 하고 국민 년 소득 2만불 달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은 농토가 적고 천연자원이 빈약하다. GMO는 21세기의 생존 경쟁 산업이다. 제2의 녹색혁명은 얼마든지 가능하며, 한국은 부족한 농토와 빈약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능력 있는 인적자원이 풍부하여 GMO 개발 연구에 국제적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 그러나 GMO에 대한 논쟁만 하고 있으면 이미 때가 늦는다. 미국은 이미 GMO-BT 시장을 거의 완전 독점했으며, 타국에서의 논쟁과 불합리적으로 엄격한 GMO 관련 규정을 조장하고 환영한다.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 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

  • PDF

A SURVEY OF THE PSYCHOSIS AMONG SCHOOL VIOLENCE VICTIMS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 조사)

  • Kwon, Seok-Woo;Shin, Min-Sup;Cho, Soo-Churl;Shin, Sung-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1 no.1
    • /
    • pp.124-143
    • /
    • 2000
  • Objectives: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pathology of the victims of school violence in terms of early psychosis. By doing this, the early detection of psychosis among the victims is possible, and early detection may lead to early intervention. Methods:Two-thousand and nine-hundred seventy two students from 16 middle schools in Seoul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 comprised of popularity and intellectual and school status of Piers-Harris Children's Self Concept Inventory, Symptom Check List-90-Revised, and Ostracism Scale. The subjects whose scores upon Ostracism Scale were higher than average by two standard deviation were labeled as ‘Repelled and Isolated group', and subjects whose scores on popularit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average and whose scores on psychoticism of SCL-90-R were higher than average were defined as 'tentative early psychosis group'. Odds ratios were calculated from the numbers of subjects with and without high psychoticism scores and high ostracism scores. On the subjects of 'tentative early psychotic group', we examined every clinical characteristic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risk factors and to construct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the psychoticism scores.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otal 157(5.3%) subjects were rated significantly higher on ostracism scale, and among them, 47 subjects(29.9%) were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average on psychoticism scale, while only 50 subjects among 2,135 students who were rated within normal rang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psychoticism scale. Odds ratio for psychotic group of isolated group were 17.82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2) Forty-seven subjects(31 boys, 16 girls) who were rated as they were unpopular and rejected from peers had significantly higher psychoticism scores.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imply high psychoticism subjects in anxiety, social anhedonia scale, magical thinking,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phobic anxiety, psychoticism, somatization, but showed higher ostracism scores and paranoid tendencies. Among school violence victims, who rated themselves unpopular and showed higher psychoticism scores, the psychoticism scores were mainly explained by anxiety, depression, hostility,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paranoid tendency, somatization scales($r^2=0.93$). Conclusion: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ubjects with higher ostracism score have the substantially high risk for psychosis development. By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school violence victims with anxiety, depression, hostility,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paranoid tendency, somatization should be tested individually considering school adjustment, attentional deficit, concept formation problems.

  • PDF

A Study on a Prevention of Long-term Care self-reliance Support for the Elderly in Home: Proposal of an Prevention and Support for Self-reliance Support Model (재가노인의 장기요양예방과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예방·자립지원 모형설계 방안제언)

  • Kim, Hyun-Sil;Hwang, Sung-Ja
    • 한국노년학
    • /
    • v.30 no.4
    • /
    • pp.1359-1375
    • /
    • 2010
  • Expecting the expans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under long-term home care with the coming of the aged society, this study purposed to propose a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model and to get practical implications for minimizing dependency on care benefits an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Research method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first, reviewing theoretical literature for clarifying the concept of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in providing long-term care benefits for the elderly; second, identifying factors hindering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through analyzing standard long-term care use plans and documents related to long-term care benefits at elderly welfare centers to which the research subjects belonged; and third, surveying care benefit users on factors hindering their use of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and their needs in the use of care benefi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hree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we proposed directions for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modeling and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For this study, we collected documentary material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ith the consents and cooperation of managers and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and elderly welfare centers in D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suggested that long-term care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a way of 'strengthening user-centered support systems,' which support elderly long-term care beneficiaries' right to lead a life as the subject of their own life. Document analysis found the absence of benefits related to health and medicine and lack of social support systems for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and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suggested the necessity to strengthen services related to elderly long-term care beneficiaries' prevention and self-reliance, and the keen needs of the long-term care elders for prevention and self-reliance included: ① loneliness, anxiety, fear; ② missing for and worry about children and people; ③ moving, outing; ④ health and medical services, rehabilitation programs; ⑤ desire to use day care; ⑥ inconvenience of house structure; ⑦desire for meal menus; and ⑧ the occurrence of disuse syndrom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base of prevention and self-reliance support modeling with three axes: ① strengthening user-centered support systems; ② strengthening support systems connected to health and medicine; and ③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systems.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방사선치료 중인 암 환자의 심리와 삶의 질)

  • Yang Jong-Chul;Chung Woong-Ki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2 no.4
    • /
    • pp.271-279
    • /
    • 2004
  •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psychology,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rapeutic approach to cancer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36 pat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nd 20 normal people.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were investigated,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Rosenberg Self-esteem Scale for self esteem,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for quality of life were administered to subjects. And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among these. Result : The tendency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in cance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group. Self 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omparison of psychology, self esteem and qualify on lif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mong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ce of metastasis in cancer patients, the scores of anxiety, phobia and paranoid ideation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pain, the score of somatization was higher And in case of weight loss, the score of somatization was higher. The higher score of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self-esteem. And higher score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quality of life. Conclusio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and pain control are necessary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on radiation therapy.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