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포닌 분획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추출 및 분획조건에 따른 인삼 조사포닌 중 ginsenoside 조성 차이 (The Difference of Ginsenoside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Crude Ginseng Saponins)

  • 신지영;최언호;위재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2-287
    • /
    • 2001
  • 인삼 조사포닌을 기존의 고온 MeOH 추출/n-BuOH 분획법 및 고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과 새로이 시도된 고온 MeOH 추출/cation AG 50W흡착/$H_2O$ 용출/n-BuOH 추출법(AG 50W법), 상온 MeOH 추출/Diaion HP-20 흡착/MeOH 용출법(상온추출법)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으로 분리한 다음 기존의 HPLC/RI 방법으로 ginsenoside조성을 비교한 결과 EtOAc/n-BuOH 직접 추출법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리능과 감도가 우수한 HPLC/ELSD방법을 사용한 결과, ginsenoside $Rb_2$, Rf, $Rg_1$$Rh_1$ 등을 뚜렷이 식별할 수 있었고 추출 및 분획방법에 따라 조사포닌간 ginsenoside의 현저한 조성차이를 볼 수 있었다. 특히 AG 50W법에 의해 분리된 조사포닌에서 뚜렷한 prosapogenin 피크를 볼 수 있었으며 LC/MS의 결과, ginsenoside $Rb_1$, $Rb_2$ 등의 7종의 주종 사포닌 이외에도 5종의 prosapogenin과 1종의 chikusetsusaponin을 포함한 총 13종의 ginsenoside를 동정하였다. 새로이 정립한 HPLC 분석조건, 즉 $NH_2$ 대신에 $C_{18}$ column을 사용하고 $KH_2PO_4/CH_3CN$ gradient로 상온추출법으로 분리한 조사포닌을 분석한 결과, malonyl ginsenoside 피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두박 식용사포닌의 항산화 및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Exhibited by Edible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 박경욱;김재용;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54-758
    • /
    • 2009
  • 본 연구는 폐기되고 있는 대두박을 기능성 식품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대두박 70%에탄올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흡착수지를 이용하여 조사포닌을 분리 한 후 이들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Diaion HP-20 흡착 수지를 이용하여 분획한 물, 20% 및 100% 주정 분획물을 TLC상 확인한 결과 100% 주정분획물에서 조사포닌들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두박 조사포닌은 $1,000\;{\mu}g/mL$ 고농도에서 60% 이상의 수소 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두박 조사포닌이 $1,000\;{\mu}g/mL$의 농도로 처리된 흰쥐의 간 균질물에서 MDA의 생성량이 대조군의 $3700\;{\mu}mol\;MDA/g$ liver에 비하여 $1200\;{\mu}mol\;MDA/g$ liver로 낮게 나타내어 대두박 조사포닌은 고농도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두박 조사포닌은 인체 대장암(SW480)세포의 성장을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대두박 조사포닌 $1,000\;{\mu}g/mL$의 농도로 처리군에서는 G1 phase의 비율은 감소한 반면 G2/M phase의 비율은 증가하여 G2/M phase를 억제하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압출성형 백삼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 Extruded White Ginseng)

  • 손현정;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46-950
    • /
    • 2009
  • 본 연구는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인삼 시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을 20%로 고정시키고, 배럴온도는 100, $140^{\ciirc}C$로 변화시켜 압출성형백삼을 제조하였다. 백삼, 홍삼, 압출성형백삼의 일반성분 실험에서는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성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산성다당체 함량은 홍삼이 62.94 mg/mL로 높게 측정되었고 총 폴리페놀함량과 DPPH 측정에서는 $140^{\circ}C$ 압출성형백삼이 각각 14.99 mg/g, 80.21%로 높게 측정되어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항산화 물질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140^{\circ}C$ 압출성형백삼의 조성 분석을 위하여 BuOH 분획을 실시한 결과 총페놀성 화합물과 산성다당체 측정 결과가 각각 27.2 mg/g, 217.6 mg/mL로 측정되었으며 HPLC를 통해 알아본 사포닌 조성은 $140^{\circ}C$ 압출성형백삼에서 모든 성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홍삼의 특유성분인 Rg3s, Rg3r의 증가로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백삼의 홍삼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길경 사포닌 고함유 분획물의 인지기능 개선 효능 (Cognitive Enhancing Effect of Saponin Rich Fraction from the Roots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 Mice)

  • 차미란;최춘환;유대석;최연희;박병근;김은주;김영섭;강종성;김영호;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31
    • /
    • 2011
  • The ameliorating effect of the saponin rich fraction (SRF) prepared from the roots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Campanulaceae) on the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dysfunction in mice were investigated by way of Moris water maze task. The mice with repeated oral administration of the SRF for four weeks showed markedly reduced the swimming time and swimming distance to reach the platform as well as the increase of number of crossing the platform on the Moris water maze task performed after scopolamine intoxic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RF obtained from the roots extract of P. grandiflorum exert a cognitive enhancing effect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홍삼의 배당체 (RED-GINSENG OF GLYCOSIDES)

  • Matsuura Hiromichi;Kasai Ryoji;Morita Toshinobu;Saruwatari Yuhichiro;Kunihiro Kazuo;Fuwa Tohru;Tanaka Osamu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53-158
    • /
    • 1984
  • 홍삼의 물추출물을 먼저 다공성의 polymer로 분획을 나누고 다음에 Silica gel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로 분리하여 2개의 새로운 형태의 배당체인 A($C_{12}H_{16}O_(8)$)와 B($C_{9}H_{16}O_{7}$)를 분리하였으며, 이때 이때 수율은 각각 $0.04{\%}$$0.16{\%}$였다. A와 B의 구조는 NMR과 MS에 의햇 밝혀졌다. 백삼의 추출물에서는 이들 배당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한편 증삼과정중에 A와 B의 형성기 전이 논의될 것이다. 또한 홍삼의 뇌두로부터 사포닌의 분리 및 확인이 역시 보고될 것이다.

  • PDF

인삼사포닌 분획이 에탄올을 투여한 쥐의 뇌에서 분리한 신경세포와 Astrocyte의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i Saponin Fraction of Panax Ginsen C.A. Meyer on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n Neurons and Astrocytes Isolated from Ethanol Administered Rat Brain)

  • 이명돈;황우섭;서해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3-60
    • /
    • 1997
  • The changes in aldehyde dehydrogenase(ALDH, E.C. 1.2.1.3.) activity in neurons and astrocytes isolated from rat brains were investigated after administration of ethanol and Korean red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saponln. The cerebral ALDH activity with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was higher in the white matter than in the gray matter. However, using indole-3-a-cetaldehyde and 3,4-dihydroxyphenylacetaldehyde as substra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between two regions in cerebrum. In ethanol treated group, ALDH activity with all the substrates in the gray and white matter was lower than in normal group. In ethanol-saponin treated group, the enzyme activity in the white matter remarkably Increased. The ALDH activity in neurons isolated from cerebral cortex in ethanol-treated group was lower than in normal group. In ethanol-saponin treated group, neuronal ALDH activity with propionaldehyd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ut not with Indole-3-acetaldehyde. In astrocytes, although the ALDH activity with propionaldehyde in the ethanol-treated group was not changed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considerable increase in activity was found in ethanol-saponin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red ginseng saponin may protect the neuronal functions from the toxic effects of acetaldehyde derived from ethanol by stimulation of ALDH activity in astrocytes surrounding nerve cells.

  • PDF

팔손이 용매별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 탐색 (Screening of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by the Extracts of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 김대호;김정화;유진현;김철희;권민철;이학주;황백;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7-92
    • /
    • 2005
  • 국내에서 자생하는 팔손이 나무의 각 부위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물 용매를 이용하여 각각 $65^{\circ}C$$65^{\circ}C$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부위에 따른 항암 및 면역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부위에 따른 항암 활성 증진 효과 실험 중 근피와 에탄올 용매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결과에서는 근피 부위가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어 다른 부위에 비해 $40{\sim}60%$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릅나무과 수종들의 특징인 근피의 특이 활성을 나타내는 예인데 이에 반해 목부의 활성을 살펴보면 농도의 증가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저농도의 시료에서는 100% 미만의 활성도를 나타냄으로서 면역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의 활성과 관련하여 Cytokine의 분비량과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면역세포의 생육활성이 가장 높은 때에 IL-6와 $TNF-{\alpha}$의 Cytokine의 분비량이 최대치인 $110{\sim}120$ $pg/m{\ell}$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앞선 결과들에 따라 팔손이 나무의 부위별 항암 및 면역 활성 실험에서 다른 두릅나무들과 수종들과 같이 근피의 높은 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장 활성이 좋은 근피는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목부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최대 40% 이상의 높은 활성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서 근피의 추출물이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두릅나무과 수종들의 대표적인 특징 성분인 사포닌이 다른 부위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이는 후에 분획 및 물질 분석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어져야 할 사항으로 사료되어진다.

인삼사포닌 분획이 Escherichia coli K-12의 성장과 Siderophore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Growth and Siderophore Formation in Eseherichia coli K-12)

  • 조영동;이용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02-107
    • /
    • 1983
  • The effects of saponin, one of major components (Panax ginseng C.A. Meyer), on the growth of E. coli K-12 and the formation of siderphore was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hen E. coli was grown on medium containing 1${\times}$10-5%-11${\times}$10-1% of the saponin, the rate of growth was stimulated at 10-1% of the saponin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control. 2. When E. coli K-12 was grown on medium containing 1${\times}$10-1% of the saponin, the amount of siderphore was two times as much as the control. 3. The growth of E. coli was observed to b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iderophore when siderophore was added to medium. 4. The effect of saponin on the formation of siderophore in vitro was observed to reach maximum at 1${\times}$10-3% of the saponin.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rate of E. coli K-12 could be enhanced by ginseng saponin fraction through stimulation of siderphore formation. We have described the fast growth of E. coli, K-12 and B. subtilis, rapid uptake of 14C-glucose, and high level of other metabolites such as lipids and proteins of E. coli, and B. subtilis in medium containing saponing fraction compared to that of microorganisms without saponin fraction.1∼3Such differences were claimed to be due to rapid uptake of 14C-glucose by widened periplasmic region throught unknown mechanism in the prescence of saponin fraction in medium3 and have raised a question whether there is another possible factor, siderophore4(Greek for iron bears), since microorganisms must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iron for normal growth. These are known to be synthesized by the cells under iron-deficient condition and in most case, excreted into the medium5, where they can complex and solubilize any iron present ther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se complexes are then taken into the cells presumably by specific transport systems, thus providing iron for cell metabolism. Within the group of enteric bacteria, only three species (E. coli, S. typhimurium, and A. aerogense) have, so far, been studied in a ny detail. The main iron-binding compound produced by these species is enterochelin, and its role in iron transport is now well established. And biosynthesis of enterochelin from 2, 3- dihydroxybenzoate and serine in the prescence of magnesium ions and ATP was reported6. 2, 3-dihydroxybenzoate was also shown to involve isochorismate and 2, 3-dihydro-2, 3-dihydroxybenzoate as intermediate.7∼11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growth, the level of enterochelin formation in vivo and the conversion of 2, 3-dihydroxybenzoate and serine into entrochelin in vitro, and entrochelin obtained on the growth in relation to possible explanation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rapid growth of E. coli, K-12.

  • PDF

고속액체(高速液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依)한 인삼(人蔘) 및 인삼제품중(人蔘製品中)의 유리당(遊離糖)의 정량(定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Ginseng and Its Products)

  • 최진호;장진규;박길동;박명한;오성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7-113
    • /
    • 1981
  • 인삼(人蔘)과 인삼제품중(人蔘製品中)에 들어있는 유리당(遊離糖)의 조성(組成)을 측정(測定)함에 있어서 비색법(比色法)은 인삼(人蔘) 및 인삼제품자체(人蔘製品自體) 갈색색소(褐色色素)로 인(因)하여 심(甚)한 오차(誤差)가 예상(預想)되기 때문에 HPLC에 의한 정량법(定量法)을 검토(檢討)하였으며 그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삼시료중(人蔘試料中)의 유리당(遊離糖)을 분획(分劃)하기 위하여 지방성분(脂肪成分)은 벤젠으로, 사포닌성분(成分)은 수포화(水飽和)부탄올로, 단백질(蛋白質), 전분(澱粉 등 고분자물질(高分子物質)은 80%-에탄올로 추출(抽出), 제거(除去)함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HPLC의 조건(條件)은 carbohydrate analysis column과 이동상(移動相)으로서 아세토니트릴-물 system (84 : 16, v/v)을 사용하고 유속(流速)을 2.0 ml/min으로 했을때 분리능(分離能)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3) Glucose와 sucrose의 표준용액(標準溶液)(5 mg/ml)을 시료용액(試料溶液)에 첨가(添加)하여 회수률(回收率)을 나타냈으며,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glucose는 96%, sucrose는 95%이상의 회수률(回收率)을 나타였으며, 재현성(再現性)도 양호(良好)하였다. (4) 인삼류(人蔘類)의 유리당(遊離糖) 유출시간(油出時間)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80%-에탄올로 $80^{\circ}C$에서 추출(抽出)하여 본 결과(結果), 2시간(時間) 추출(抽出) 에서 glucose는 99.51% sucrose는 99.49%까지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하였다. (5) 수삼(水蔘), 백삼(白蔘) 및 홍삼(紅蔘)에서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동정(同定)되었고 홍삼(紅蔘)에서는 수삼(水蔘)과 백삼(白蔘)에 없는 rhamnose가 동정(同定)되었다. 또 수삼(水蔘)과 백삼(白蔘)에서는 sucrose가 가장 많았고 홍삼(紅蔘)에서는 sucrose와maltose가 거의 같았다. (6) 인삼정(人蔘精)의 유리당(遊離糖) 조성(組成)은 추출용매(抽出溶媒)에 따라 많은 차이(差異)가 있는데 백삼정(白蔘精)은 sucrose가 가장 많은 반면(反面) 홍삼정(紅蔘精)은 sucrose가 거의 없었다. 또 인삼제품(人蔘製品)의 유리당(遊離糖) 조성(組成)도 원료(原料)인 홍삼(紅蔘)과 홍삼정(紅蔘精)의 유리당(遊離糖)의 패턴과 거의 같았다.

  • PDF

자귀나무 추출물이 송사리(Oryzias latipes) 생식소 성숙에 대한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Albizzia julibrissin on Gonadal Maturation in a Medaka (Oryzias latipes))

  • 이은희;오상필;김명희;김광현;홍상훈;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3-340
    • /
    • 2013
  • 사료에 첨가된 saponin이 함유된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껍질 추출물이 송사리(Oryzias latipes)의 생식소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귀나무(A. julibrissin) 껍질의 n-BuOH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Silica gel과 Sephadex LH-20 chromatography들을 이용하여 조 사포닌 분획물(HaBC)을 분리하였다. 실험 어류들은 순환여과 장치 시스템의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HaBC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하여 암컷의 생식소 성숙 억제 및 산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미성숙 송사리들에 대한 실험에서 사료에 HaBC를 20 mg/g-feed 이상 첨가한 사료를 먹인 어류들은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을 개시하는 시기가 지연되었다. 또한 성숙한 암컷 송사리들도 HaBC를 20 mg/g-feed 이상 첨가한 사료를 먹었을 때 대조구에 비해 낮은 GSI 값을 보였다. 미성숙한 송사리에 대한 길이 성장이나 체중에 대한 변화는 HaBC의 첨가량에 관계가 없었으나, 비만도(CF)에서는 HaBC를 첨가한 사료를 먹인 어류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자귀나무(A. julibrissin)의 껍질로부터 분리한 saponin 분획물은 송사리 암컷의 성숙을 억제할 수 있었지만, 성장 촉진에는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았다. 이들 작용 기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