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충률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난황유를 이용한 과채류 발생 담배가루이 방제 (Effect of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on Control of Bemisia tabaci on Fruit Vegetables)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김민정;김용기;김석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9-159
    • /
    • 2017
  • 본 실험은 식용유와 계란노른자를 재료로 한 난황유를 이용하여 담배가루이에 대한 방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파프리카의 담배가루이 약충에 난황유를 처리하였을 때, 94.5%의 높은 사충률을 보여 화학농약인 피리다벤과 유의차가 없었으나, 토마토의 담배가루이 약충에는 41.4%의 사충률로 식물추출물인 님오일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토마토에서 난황유 처리구와 님 처리구에서 성충의 사충률은 유사하였다. 난황유는 파프리카와 토마토에서 담배가루이의 산란에 각각 75.8%와 52.7%의 저해효과를 보여주었다. 친환경재배 포장에서 난황유를 2회 사용하였을 때 파프리카에서는 100%, 토마토에서는 무처리구 대비 38%의 가루이류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벼멸구에 대한 여러 가지 침투성 살충제의 근부처리 효과 (Effects of Root Zone Applications of Some Systemic Insecticides for Control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Homoptera: Delphacidae))

  • 팜홍히엔;김종규;최병렬;송유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6-242
    • /
    • 2008
  • 벼 천적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면서 벼멸구에는 최대한의 효과를 쭐 수 있는 침투성 살충제의 근권처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실험실과 온실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멸구의 사충률과 번식력, 약충의 생존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입제형의 5가지 약제(carbofuran, carbosulfan, diazinon, ethoprophos, imidacloprid)를 근권에 처리한 결과 carbofura이 모든 실험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으며, diazinon과 ethoprophos는 벼멸구의 사충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Carbofuran 처리후 당일 벼멸구를 접종하였을때, 성충은 처리 7일 후에 거의 100% 사충률을 보였고, 처리 25일 후까지 약충은 $1{\sim}2$마리 발견되었다. Carbofuran처리 10일 후에 벼멸구를 접종하였을 때, 벼멸구 접종 1일 후 100%에 가까운 사충율을 보였고, 약충은 25일 후까지도 발생되지 않았다. Carbofuran은 벼멸구 접종 30일 전보다 10일 전에 처리하는 것이 효과가 높았다. 따라서 carbofuran의 근권처리는 천적에는 해를 입히지 않고 벼멸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죽은 유충에서 분리한 Serratia marcescens 균주의 생물활성 (A Biological Activity of Serratia marcescens Strains Isolated from Dead Larva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Plutellidae, Lepidoptera))

  • 전준학;진나영;이유경;이보람;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58
    • /
    • 2016
  • 배추좀나방의 죽은 유충을 사육상자에서 발견하여 죽은 원인을 조사 하였다. 죽은 유충으로부터 세균을 분리하여 생물검정으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세균의 형태 및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erratia marcescens로 동정되었다. 생물검정을 위하여 S. marcescens균주를 LB배양액으로 배양하여 증식하였다. 배양액을 100배로 희석하였을 때, 배추좀나방 3령 유충에 처리한 결과, 처리 2일 후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으며, 상청액만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10배 희석액에서 86.6%의 사충률을 나타냈다. 또한 파밤나방유충에 접촉독성은 20%의 사충율을 나타냈고, 섭식독성은 8%의 효과를 보였으며, 접촉독성과 섭식독성을 동시에 수행하였을 경우에는 28%의 사충률을 보였다. 또한 국내 5개의 주요 식물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에서 Fusarium oxysporum에 대해서는 4.7%, Rhizoctonia solani은 11.3%, Phytophthora capsici은 15.7%,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은 20% 그리고 Sclerotinias clerotiorum은 42.6%의 control value를 보였다. 또한 S. marcescens 균주에 대하여 단백질과 chitin분해능력을 검토하였다.

보리두갈래진딧물 [Schizaphis graminum (Rondani)]의 온도발육과 발육모형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Its Model of the Greenbug, Schizaphis graminum (Rondani) (Homoptera: Aphididae))

  • 이장호;김태흥;김지수;황창연;이상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3-219
    • /
    • 2007
  • 보리두갈래진딧물 [Schizaphis graminum (Rondani)] 의 발육실험은 $15-32.5^{\circ}C$, 상대습도 $65{\pm}5%$, 광주기 16L:8D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진딧물의 발육 중 약충 사충률은 $15^{\circ}C$에서 $32.5^{\circ}C$까지 조사했을 때, 어린약충기간의 사충률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온도가 높아지면서 사충률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30^{\circ}C$부터 다시 증가하여, $32.5^{\circ}C$에서 다른 온도보다 사충률이 높게 나타났다. 진딧물의 전체 약충 발육기간을 보면 $30^{\circ}C$에서 4.9 일로 가장 짧았고 $15^{\circ}C$에서 13.8 일로 가장 길었다. $15^{\circ}C$에서 $30^{\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32.5^{\circ}C$부터 다시 발육기간이 6.4 일로 길어졌고, $35^{\circ}C$에서는 모든 약충이 죽어서 발육기간에 포함하지 않았다. 발육영점온도는 $6.8^{\circ}C$이었고, 유효 적산온도는 105.9일도였다. 온도별 발육율은 Sharpe and DeMichele 의 모델을 변형시켜 Schoolfield 등이 제시한 온도별 발육모형에 잘 부합되어 보리두갈래 진딧물의 발육모형을 적용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생각한다. 생리적 연령에 따른 발육완성시기를 Weibull function을 이용했을 때 온도별 발육시기의 누적발육률을 비교적 잘 설명하였다.

Toxicity of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Spray Formulations against the Citrus Flatid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 Kim, Jun-Ran;Ji, Chang Woo;Seo, Bo Yoon;Park, Chang Gyu;Lee, Kwan-Seok;Lee, Sang-Guei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9-4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물정유 124종과 6종의 분무제형(SF-0.25, 0.5, 1, 2.5, 5 및 10% sprays)을 대상으로 미국선녀벌레 약충과 성충에 대한 독성을 평가 하였다. 약충에 대한 실험은 1,000 mg/L와 500 mg/L로 실시 하였으며, 엽침지법을 사용하였다. 미국선녀벌레 약충에 대한 124종의 식물정유의 살충성을 스크리닝한 결과, 64종의 식물정유가 60% 이상의 사충률을 보였고, 이 중 19종의 식물정유는 100%의 사충률을 보였다. 일차 활성이 좋은 식물정유를 500 mg/L로 검정한 결과 cinnamon technical, cinnamon green leaf, cinnamon #500, cassia tree, citronella java 및 pennyroyal oil이 100%의 살충활성을 나타냈고, origanum, thyme white, grapefruit, savory, fennel sweet, aniseed 및 cinnamon bark oil 순으로 93.3%에서 80%까지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Thyme red, tagetes, calamus, lemon eucalyptus, geranium oil은 73.3%에서 60% 정도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이중 100%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정유 12종을 6농도의 분무제형으로 미국선녀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cinnamon technical oil이 SF-0.5의 제형에서 100%의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cinnamon #500, cinnamon green leaf, pennyroyal oil은 SF-2.5에서 100%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농업환경에서 고독성 합성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 선발한 식물정유가 미국선녀벌레의 약충 및 성충 방제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온도가 농약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농약사용량 예측 모의실험 (Analysis of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Pesticide Efficacy and Simulation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esticide Use)

  • 모형호;강주완;조기종;배연재;이미경;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56-62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개체군 증감모형은 해충방제를 위한 초발생예찰과 연속적 해충변동 양상의 파악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예측은 농약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에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대 해충방제전략의 화두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변화에 따른 해충의 농약효과에 따른 사충률의 변화를 개체군 모형과 결합시켜 모의했다. 감수성 점박이응애를 강낭콩을 기주로 20, 25, 30, $35^{\circ}C$에서 Acrinathrin-Spiromesifen 혼합제와 Azocyclotin 유기주석계 농약에 노출시켰다. 생물검정 결과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온도와 농약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점박이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 모의는 DYMEX를 이용했으며, 모의결과 농약의 종류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초기방제 시기와 방제횟수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해충방제 전략과 농약 선발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뽕잎중(中) 유기인계농약(有燐燐系農藥)의 잔류성(殘留性)과 잠독성(蠶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ersistence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in/on Mulberry Leaves with Reference to Silkworm Mortality)

  • 오병렬;김영구;박영선;이병무;백현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1
    • /
    • 1984
  • 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인 dichlorvos 유제(乳劑)(50%), fenthion 유제(乳劑)(50%), fenitrothion 유제(乳劑)(50%) 및 phenthoate 유제(乳劑)(47.5%)의 뽕잎중(中) 잔류성(殘留性)과 이들 잔류수준(殘留水準)이 누에에 대한 사충률(死蟲率) 및 수견양(收絹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무강우조건하(無降雨條件下)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의 뽕잎중(中) 반감기(半減期)는 $2{\sim}3$일(日)의 범위(範圍)이었고 dichlorvos는 8시간(時間) 내외(內外)이었다. 뽕나무의 재배시기별(栽培時期別) 뽕잎중(中) 농약잔류기간(農藥殘留期間)은 봄재배(栽培)의 경우(境遇)가 가을재배(栽培)보다 길었다. 누에에 안전(安全)한 적엽전(摘葉前) 농약철포(農藥撤布) 완료일(完了日) 은 dichlorvos유제(乳劑)는 3일(日), fenitrothion유제(乳劑)는 20일(日), fenthion유제(乳劑)와 phenthoate유제(乳劑)는 15일(日)이었다. 뽕잎중(中) 농약잔류수준(農藥殘留水準)으로부터 누에의 사충률(死蟲率)을 예측(豫測)할 수 있는 각약제(各藥劑)의 관계식(關係式)과 누에에 안전(安全)한 뽕잎중(中) 농약(農藥)의 최대(最大) 잔유허용량(殘留許容量)을 설정(設定)하였다.

  • PDF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 성충에 대한 포스핀의 훈증활성 (Fumigant Activity of Phosphine Against Three Wood Boring Beetles, Platypus koryoensis, Cryphalus fulvus, and Xyleborus mutilatus)

  • 조성우;김성일;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35
    • /
    • 2019
  • 많은 산림해충들은 목재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어 포스핀($PH_3$)을 이용하여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3종의 나무좀류에 대하여 99% 살충활성을 보이는 LCT값은 각각 3.192 (광릉긴나무좀), 0.994 (왕녹나무좀), $0.501mg{\cdot}h/L$ (노랑애나무좀) 순으로 나타났다. 포스핀을 처리한 3종의 나무좀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활성도 증가하였다. 특히 광릉긴나무좀에서는 0.4 mg/L 이상의 농도에서 약제처리 7일 후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포스핀이 3종의 목재해충 성충에 대해 메칠브로마이드의 대체훈증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리를 기주로 한 보리두갈래진딧물[Schizaphis graminum (Rondani)]의 생명표 (Life Table of the Greenbug, Schizaphis graminum (Rondani) (Homoptera: Aphididae) on Barley, Hordeum vulgare L.)

  • 김지수;이장호;김태흥;이상계;윤종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7-42
    • /
    • 2007
  • 보리두갈래진딧물[Schizaphis gramimum (Rondani)]의 성충 발육과 산자수를 $15-32.5^{\circ}C$, 상대습도 $65{\pm}5%$, 광주기 16L:8D 조건에서 조사하고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보리두갈래진딧물의 성충수명은 $32.5^{\circ}C$까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수명이 짧아졌으며, 산자수는 $22.5^{\circ}C$에서 59.9마리로 가장 높았으며, 고온과 저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는 다르게 성충 1마리가 일일 출산하는 산자수는 $27.5^{\circ}C$에서 3.6마리였는데,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다가 $32.5^{\circ}C$에서 산자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고온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성충 수명이 길어지고, 또한 산자를 낳는 기간도 길어졌다. 일일 산자수는 $22.5^{\circ}C$를 기점으로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감소하였고, 사충률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충 발육시 사충률과 성충 수명, 산자수를 이용하여 생명표를 작성하였는데 보리두갈래진딧물의 순증가율(Ro)은 $22.5^{\circ}C{\sim}27.5^{\circ}C$에서 가장 높다가 온도가 높아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고, 내적자연증가율$(r_m)$$30^{\circ}C$에서 최고치인 0.3887을 나타냈으며, $32.5^{\circ}C$에서 -0.0208을 나타냈다. 배수기간(Dt) 또한 $32.5^{\circ}C$에서 가장 짧았고, 기간증가율$({\lambda})$$32.5^{\circ}C$에서 가장 큰 11.5365였다. 평균세대기간(T)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짧아져 $32.5^{\circ}C$에서 가장 짧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