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출조건

Search Result 24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Optimization of Injection Process Conditions For Control of Weldline Positions on Flip Top Cap (Flip Top Cap의 웰드라인 위치조정을 위한 사출성형조건의 최적화)

  • Seo, Keum-Hee;Song, Byeong-Uk;Cho, Ji-Hyun;Seo, Tae-Il;Lee, Jeong-Won;Shin, Jang-S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413-416
    • /
    • 2011
  • Flip top cap은 경량성, 가공성, 내식성 우수하여 최근에 생활 용기 뚜껑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Flip top cap은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 되며 사출성형 과정에서 힌지부분에 웰드라인(Weldline)이 형성되어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Flip top cap은 생활용기에 사용되며 실제생활에서 많은 작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힌지부분의 웰드라인은 제품불량에 큰 원인이 된다. 또한 Flip top cap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멀티캐비티(Multi-cavity) 사출방식을 선호한다. 멀티캐비티 방식은 높은 사출압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출품의 불량과 사출기에 많은 부하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게이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출품 힌지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웰드라인을 품질에 영향이 없는 곳으로 이동시키고 최적의 사출 압력을 찾기 위한 유동해석을 통해 최적의 사출조건을 도출함으로써 Flip top cap의 기계적 품질과 제품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 PDF

CAE Analysis for Cooling Deformation on the radius curvature of Multi-layer Jar Vessel (다층두께 Jar용기의 곡률반경에 따른 냉각변형 CAE 해석)

  • Shin, Nam-Ho;Choi, Jong-Su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261-2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곡률반경의 연속에 의하여 살 두께 차가 큰 사출성형품에 불균일한 수축으로 인한 변형이 생성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정 CAE 냉각설계를 수행하였다. SAN 및 PMMA 재질의 Jar용기에 대한 균일냉각구조와 최적성형조건을 금형설계에 적용하고자 사출성형의 중요인자인 사출압력, 수지온도, 금형온도, 냉각조건 등을 moldfl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적정 변수인 사출압력 상승, 수지온도 낮춤, 급속냉각으로 후로우 등의 불량현상을 분석하였고 변형 및 불량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냉각구조와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조건을 제시하였고 적정 냉각모듈로부터 냉각시간을 단축하였다.

  • PDF

Prdic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in Injection Molded Polystyrene Part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폴리스타이렌 사출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예측)

  • 박헌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0 no.2
    • /
    • pp.74-81
    • /
    • 1998
  • 사출성형품의 설계는 그 내부의 기계적 물성 변화보다는 전통적으로 용도에 부합하 는 형상을 위주로 하여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설계조건의 개선을 통하여 성능이 우수한 제 품을 얻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사출성형 실험이나 물성평가 시험을 하기 전에 성형품의 부위별 기계적 물성을 알수있다면 제품의 설계나 금형 설계에 많은 도 움이 될 수 있으므로 최근에 물성 예측을 위한 방법론들의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시스템, 사출성형 수치모사와 기계적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 는 방법을 만들어 사출물이 제작되기 전에 그들의 기계적 물성을 사출성형 수치모사에서 얻 어진 열적·기계적 이력으로부터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때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과 열적· 기계적 이력 사이에는 매우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를 비 매개변수적으로 연관짓기 위하여 역전파 인공신경망 알고리듬을 사용하였으며 열적·기계적 이력은 사출성형용 수치모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학습과정에서 전역최소값에 도달하지 못하는 인공신경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멘텀변수와 잡음지수를 포함하 는 일련의 항을 첨가하여 연결가중치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어떤 초기값에 의하여 학습이 되더라도 전역최소값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른 사출조건에서 사출 물의 기계적 물성을 잘 예측할수 있었다.

  • PDF

The Relation between Injection Molding Conditions and Gloss of ABS Molding (사출성형 조건과 ABS 성형품 광택의 관계)

  • Han, Seong-Ryeo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1
    • /
    • pp.5352-5356
    • /
    • 2013
  • Plast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has usually focused on a mechan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olding. Recently, not only these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aesthetic value is significantly considering. Especially, the molding's gloss, which we can easily distinguish, is an important aesthetic point. In this study, it were investigated that the gloss variation of ABS moldings by changing injection conditions such as injection pressures, injection speed, holding pressures melt and mold temperatures by injection molding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holding pressure was the most active condition on gloss of ABS molding.

A study on the runner system for filling balance in multi-cavity injection molds (다수 캐비티 사출금형에서의 균형 충전을 위한 러너 시스템 연구)

  • Jeon, Kang-Il;Noh, Seung-Kyu;Kim, Dong-Ha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4
    • /
    • pp.1581-1588
    • /
    • 2011
  • In this study, flow characteristics in a multi-cavity injection mold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One of main problems occurred in the multi-cavity molding is a flow imbalance among cavities since it affects phys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products. Charge imbalance is caused by the uneven shear stress. Therefore, changes in viscosity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sin and injection conditions differ in the filling imbalance phenomenon. Through, this study focus on experimental studies of flow imbalance for PC and PP resin occurring in a balanced delivery system.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CAE results. By experimental and CAE analysis, main cause for the flow imbalance is temperature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of runner. New runner system with a simple change of runner shape was suggested to avoid the flow imbalance. A series of simulation to confirm feasibility of Volume Runner's effects was conducted using injection molding CAE.

A Study on the Variable Condition Debinding Process in Supercritical CO2 for Removing Binder from Thick Ceramic Injection Molded Parts (두꺼운 세라믹 사출성형체로부터 효율적인 결합제 제거를 위한 초임계 CO2 가변조건 탈지공정 연구)

  • Kim, Hyung-Kun;Yim, Joon-Hyuk;Kim, Hyung-Soo;Lim, Jong-Sung
    • Clean Technology
    • /
    • v.18 no.2
    • /
    • pp.155-16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move paraffin wax binder effectively from powder injection molded part using supercritical fluids in powder injection molding process. For a thin powder injection molded part about 1-2 mm thickness, paraffin wax binder can be removed rapidly without any defect by traditional supercritical extraction process which has fixed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 But, for a thick powder injection molded part, there are limitations in removing paraffin wax binder by the fixed high process condition because crack occurs at the beginning step. Therefore, here we studied variable condition debinding process that starts with mild process condition at the beginning step and then increase the process conditions simultaneously at each step. To find out the initial process condition that has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without any defect for each sample thickness, we investigated various supercritical debinding conditions using 1-4 mm thickness ceramic injection molded sample. By using the variable condition debinding process that starts with the initial process condition at the first step and then increasing process conditions simultaneously at each step (temperature from 333.15 to 343.15 K, pressure from 12 to 27 MPa, and $CO_2$ flow rate from 1.5 to 10 L/min), over 95% of paraffin wax binder was removed from the 4 mm thick (10 mm diameter) ceramic injection molded disk samples within 5 hours.

Effect of injection molding conditions on morphology of binary polymer blends (이성분계 고분자 블렌드의 형태학에 미치는 사출 조건의 영향)

  • Son, Young-G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1
    • /
    • pp.165-169
    • /
    • 2008
  •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morphology of polyphenyleneoxide (PPO)/polyamide 6 (PA 6) blends were investigated. Injection molded part with a $15cm{\times}15cm{\times}3.2mm$ sized plate was molded with various injection molding conditions, and the morphology of the injection molded blends was investigation by using SEM. As a result, we found that molded part shows very complicated morphology because it has experienced complex thermal, shear and elongation history during the processing.

Optimization of Injection Molding Process using the IDESIGN Program (I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항 사출성형공정의 최적화)

  • 민병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2
    • /
    • pp.66-72
    • /
    • 1997
  • 사출성형품의 품질특성으로 외관, 치수, 기계적 강도 등이 있으나 조립부품으로써 사 될경우에는 치수가 주요한 품질이 된다. 성형품은 용융수지의 특성상 사출공정 중 수축을 일으키므로 이를 고려해서 금형설계가 이루어지지만 실제 사출과정에서 공정변수를 최적화 하여 관리하지 않으면 허용오차 내의 치수를 얻기가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조립부의 치수가 허용오차 내에서 얻어지도록 설계시 적용된 수축률과 측정된 수축률의 차이를 목적 함수로 하여 최소화 시키며 반복이차계획 알고리즘을 채택한 I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해 최적 사출성형조건을 구하였다. 제약조건은 성형품의 부위별 수축률 편차 및 싱크마크 깊이 가 공정변수의 부등호 제약식으로 도출되었고 성형이 이루어지는 공정변수의 상하한 값이 최대 및 최소 경계값으로 적용되었다.

  • PDF

A study on fuzzy temperature control for micro-nano injection molding using PC based PLC (마이크로-나노 시스템 사출성형을 위한 PC Based PLC 기반의 사출성형기 배럴의 퍼지 온도 제어에 관한 연구)

  • 정병찬;김훈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166-16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사출성형기의 배럴의 정밀 온도제어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사출성형기의 온도제어는 온도 편차가 2도 내외이며, 예열후 안정화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향후 마이크로-나노 시스템 제작 공정에 있어서 대량생산 방법으로 사출성형이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온도 제어의 경우는 사출시 인가해야 할 온도가 녹는점 및 glassy 온도에서 유지가 되면서 충분히 유동을 가지는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를 해야하므로 사출 후 정밀성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마이크로-나노 사출공정은 극 미세 사출이며 온도, 압력에 따른 재료 특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출성형기와 PC based PLC를 이용한 온도제어기를 구현하고 실험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온도제어의 단점을 줄이고, 제어성능을 극대화하여 향후 마이크로-나노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정밀 온도제어기를 제안한다.

CAE Simulation Study an Filling Imbalance in Multi-Cavity Injection Molding (다수 캐비티 사출성형에서 충전 불균형 현상에 관한 시뮬레이션)

  • Jeon, Kang-Il;Kim, Dong-Ha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678-681
    • /
    • 2009
  • 사출성형은 열가소성수지의 가공법으로써 정밀도나 고품질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는데 널리 이용되며 플라스틱은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업재료 중의 하나이다. 과거에는 플라스틱을 일회용품 및 외장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산업기술이 발전하며 플라스틱은 금속을 대체 할 수 있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로 점차 기계요소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요소용 재료로 사용됨에 따라 플라스틱 제품이 정밀한 부품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금형의 가공뿐만 아니라 사출성형 시 용융수지가 금형의 각 캐비티에 균형적으로 충전되는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 캐비티의 가공치수는 매우 높은 정밀도를 유지해야 하며, 각 캐비티에서의 충전과 냉각도 동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충전 불균형은 성형품의 품질에 큰 저해 요인으로서 플라스틱 제품의 치수성, 밀도, 외관품질, 강도 등에 불균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충전 불균형은 충전 단계에서 런너 내에서 발생하는 불균일한 전단분포에 기인하여 발생되므로 점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수지의 물성, 런너의 배열과 같은 외부 요인과 사출압력, 사출속도, 수지온도, 금형온도와 같은 성형공정 조건에 의한 요인에 의한 충전 불균형의 양상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다수 캐비티 금형에서 충전 불균형 현상에 대한 원인을 검토하고 실제로 사출성형을 실시하기 전 사출성형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여 다수 캐비티에 대한 충전 패턴을 미리 예측하여 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