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천지기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그림 속 식물요소를 통해 본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의 의미 (The Implicative Meaning of "Dokseoyeoga Do" Observed with Plant Elements Included in the Painting)

  • 홍형순;김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
    • /
    • 2010
  • "독서여가도"는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과 그의 평생지기인 사천 이병연(李秉淵, 1671~1751) 간의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약속으로 주고받은 시와 그림의 합벽첩인 "경교명승첩"에 장첩되어 있는 그림이다. 지금까지 이 그림에 대한 미술사 분야의 일반적인 견해는 겸재 자신의 '자화상' 혹은 '사인풍속도'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여가도" 속의 식물요소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림이 내포하고 있는 심층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미술사 연구 분야의 견해에 더해 보다 새로운 의미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그림은 겸재와 사천이라는 두 노장의 건강과 안녕, 우정과 재회라는 주제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는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였다. 둘째, 이러한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오래된 향나무, 난초, 작약이라는 식물요소가 활용되었다. 셋째, 각 식물요소는 겸재가 사천에게 전하고자 하는 간절한 메시지를 담은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만년송이라고 불리는 오래된 향나무의 연륜과 푸르름은 두 사람의 건강과 안녕을, 난초는 지란지교의 향기로운 우정을, 작약은 헤어져 있는 벗과의 재회를 바라는 겸재의 심정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옛 그림을 통해 전통조경에 있어서 식물요소들이 지닌 의미와 그 활용에 대한 실증적인 사례를 고찰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전통 회화 연구에 있어서 한국조경사 등 다양한 전문분야의 시각을 더함으로서 옛 그림에 내재한 의미에 대해 보다 새롭고 풍부한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병조변"(溫病條辨)의 온병학설(溫病學說)에 관(關)한 연구(硏究) -關于(관우) "온병조변"(溫病條辨)적온병학설연구(的溫病學說硏究)-

  • 박현국;김기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8호
    • /
    • pp.7-32
    • /
    • 2005
  • 청대적명의오국통(淸代的名醫吳摘通), 불근시'온병'제가(不僅是'溫病'諸家), 우시관어림상각과논치적명가(又是關於臨床各科論治的名家). 관어(關於)${\ulcorner}$온병조변${\lrcorner}$(溫病條辨)상온병학(上溫病學)술리논적특정(術理論的特征), 정리여하(整理如下). 대온병병인(對溫病病因), 파융합제가문학설(把融合諸家們學說), 규명시종일관(糾明始終一貫), 제시료정상화비정상적'복기'(提示了正常和非正常的'伏氣'), '사천시영현행지기'('司天時令現行之氣'), '려기'인기온병적삼도인치온'지학설('戾氣'引起溫病的三圖因致溫'之學說). 吸收諸家們的長處(흡수제가문적장처), 創案'三焦辨證'濃體系(창안'삼초변증'농체계). 수선(首先), 타이'삼초'위강영구분병위적상하(他以'三焦'爲綱領區分病位的上下), 천채(淺採), 기차이'륙경'위구별설명장역부화경락적불동(其次以'六經'爲區別說明?驛腑和經絡的不同), 재일차이'위기영혈'(在一次以'衛氣營血') 구별료표리적선후(區別了表裏的先後). 우용횡향급종향논술료온사적전변규률(又用橫向及縱向論述了溫邪的傳變規律), 최후제시료'치상초여우(最後提示了'治上焦如羽), 비경불거(非輕不擧). 치중초여형(治中焦如衡), 비평불안(非平不安). 치하초여권(治下焦如權), 비중불침(非重不沈).'적약물치료원칙(的藥物治療原則). 재질병적변별구분'온열'화'습열'(在疾病的辨別區分'溫熱'和'濕熱'), 재약물적사용상구별'강조'화'유윤'(在藥物的使用上區別'剛燥'和'柔潤'), 저우시오씨적온병학술특징지일(這又是吳氏的溫病學術特徵之一). 재치법(在治法), 방제(方劑), 약양(藥量), 전법(煎法), 복법(服法), 음식(飮食), 조양등적온병치료방면(調養等的溫病治療方面), 제시료광범위적'금기'학설(提示了廣範圍的'禁忌'學說). 타심각적감각도료오치온병적결과(他深刻的感覺到了誤治溫病的結果), 위료방지오치(爲了防止誤治), 관전치료'금기'(灌展治療'禁忌'), 현재야필요준수적충분적가치(現在也必要遵守的充分的價値).

  • PDF

한국(韓國) 기상자료(氣象資料)의 분석(分析)을 통(通)한 운기(運氣) 기후(氣候)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Yunqi Climate (運氣氣候) through analysis of Meteorological research data in Korea)

  • 박찬영;김기욱;박현국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24
    • /
    • 2000
  • 명대 장경악은 기상 현상에 관하여 "오운육기를 토대로 기화를 추측하면 피차의 영허에 대해 십중칠팔은 들어맞는다"고 하였는데, 이를 착안하여 논자는 "황제내경"에 기재된 기상에 관하여 운기의 기후 특징을 한반도 서울을 중심으로 실제 기상관측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기상청 자료를 토대로 서울의 평균 풍속 평균 기온 강수량 평균 습도를 운기 이론 가운데 대운과 비교하였다. 또한 과거 1564년에서 1863년까지 한반도의 이상 기후 발생 빈도와 운기성쇠 운기동화 운기순역과 비교하였을 때 운기동화의 경우와 이상 기후 발생 빈도와 일치하였다. 다만 본 논문의 실제관측 자료와 통계는 한국의 서울을 중심한 분석이기에, 중국과의 어느 정도 오차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Military Activity and Combat in Hapcheon Area during the Imjin Invasion Period)

  • 곽낙현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257-30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진왜란 시기 합천지역의 의병활동과 합천지역의 전투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인홍은 합천, 김면은 고령에서 의병 창의를 하게 되었다. 정인홍은 지피지기의 리더십을, 김면은 조화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둘째, 정인홍 의병군의 전투는 1차 무계전투, 사원동 복병전투, 초계 마진전투, 안언전투, 3차 성주성전투이다. 김면 의병군의 전투는 연강전투, 개산포전투, 2차 무계전투, 우척현전투, 지례전투, 사랑암전투이다. 정인홍 김면이 연합하여 싸운 전투는 1차 성주성전투, 2차 성주성전투이었다. 정유재란시기 정인홍은 경상우도의 군량을 책임지는 조도사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합천지역은 일본군이 전라도로 들어가는 진입로이자 수송로였다. 셋째, 명군의 참전과 역할은 일본군을 조선에서 몰아내고 요동을 방어하는 이이제이의 전술과 함께 일본군을 대항하는 견제 장치의 한방편이었다. 1593년(선조 26) 1월 이여송의 평양성 전투 승전 이후, 명군은 적극적인 전투보다는 강화협상을 통한 실리를 추구하였다. 실제적으로 진주성전투가 벌어졌을 때, 명군의 유정 부대는 1593년 6월 말에 사천병의 단병무예를 가지고 입성하였으나, 경략 송응창과 제독 이여송의 명령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다. 넷째, 임진왜란 시기 조선은 일본군의 침략과 명군의 군량미 원조 등 전국토가 폐허로 참담한 피해를 입었지만, 각 지역의 의병과 관군이 협력하여 일본군을 물리쳤다. 경상우도 합천지역의 사례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은 전쟁기간 중에 일본과의 강화와 전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전권을 행사하였던 명군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주체성을 내세워 일본군과 끝까지 싸우겠다는 항전의지를 보임으로써 민족적 자신감과 긍지를 잃지 않았다. 이러한 정신문화는 향보와 근왕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지역공동체의 하나 된 마음과 정신이 승화된 민족의 저항정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