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licative Meaning of "Dokseoyeoga Do" Observed with Plant Elements Included in the Painting

그림 속 식물요소를 통해 본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의 의미

  • 홍형순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김명희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04.14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6.01

Abstract

"Dokseoyeoga Do"(An Enjoyable Pleasure with Reading) is a work included in a collection book of both poems and works called as "Gyunggyo Myungseung Cheop"(Collections of Beautiful Scenary in the Suburb of Seoul) with a promise that a great painter Gyumjae Jung-Sun(謙齋 鄭敾) and his lifelong friend, Sacheon Lee Byung-Yeon(李秉淵) should hopefully exchange their poems and painted works. So far, general perspective of art history toward this work is either self-portrait of Gyumjae himself or genre painting of the aristocr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in-depth meanings implied in this work with various considerations of plant elements appeared in this work.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draw newer and additional meanings beyond the existing perspectives of art history research categories, and the detai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below. First of all, we could approach a new interpretation implying that Gyumjae and Sacheon hopefully wished their well-being, friendship, and reunion. Second, as a means of expressing this meaning, plant elements like old juniper(Juniperus chinensis L.), orchid(Orchidaceae), and peony(Paeonia lactiflora var. hortensis) were used. Third, each plant element can be literally seen as an icon implying message that Gyumjae desired to give to Sacheon. To be more detailed, experience and greenness of old juniper imply well-being of two people, and orchid implies fragrant friendship, and peony implies the feeling that Gyumjae hopefully desired to make a reunion with a parted frie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out old paintings, we could observe substantial examples of recognizing the meanings of plant elements in a category of traditional landscaping and utilizing them. Moreover, adding various point-of-views of many professional categories like Korean Landscaping history in the traditional painting research, we could also recognize the potentials for making rich interpretation toward implicated meanings of old paintings.

"독서여가도"는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과 그의 평생지기인 사천 이병연(李秉淵, 1671~1751) 간의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약속으로 주고받은 시와 그림의 합벽첩인 "경교명승첩"에 장첩되어 있는 그림이다. 지금까지 이 그림에 대한 미술사 분야의 일반적인 견해는 겸재 자신의 '자화상' 혹은 '사인풍속도'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여가도" 속의 식물요소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림이 내포하고 있는 심층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로, 기존의 미술사 연구 분야의 견해에 더해 보다 새로운 의미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그림은 겸재와 사천이라는 두 노장의 건강과 안녕, 우정과 재회라는 주제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다는 새로운 해석이 가능하였다. 둘째, 이러한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오래된 향나무, 난초, 작약이라는 식물요소가 활용되었다. 셋째, 각 식물요소는 겸재가 사천에게 전하고자 하는 간절한 메시지를 담은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만년송이라고 불리는 오래된 향나무의 연륜과 푸르름은 두 사람의 건강과 안녕을, 난초는 지란지교의 향기로운 우정을, 작약은 헤어져 있는 벗과의 재회를 바라는 겸재의 심정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옛 그림을 통해 전통조경에 있어서 식물요소들이 지닌 의미와 그 활용에 대한 실증적인 사례를 고찰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와 함께 전통 회화 연구에 있어서 한국조경사 등 다양한 전문분야의 시각을 더함으로서 옛 그림에 내재한 의미에 대해 보다 새롭고 풍부한 해석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연희(2007). 조선시대 산수화. 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서울: 도서출판 돌베개.
  2. 김경용(200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3. 김인환 역해(2006) 주역.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4. 문봉선(2006) 새로 그린 매란국죽 1. 서울: 도서출판 학고재.
  5. 박상진(2001) 궁궐의 우리나무. 서울: 눌와.
  6. 박영택(2006). 회화에 나타난 식물성의 상상력(교수신문사, "우리시대의 미를 논한다").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7. 박은순(2008). 이렇게 아름다운 우리 그림. 한국문화재보호재단.
  8. 임업연구원(1992). 한국수목도감.
  9. 서은숙 역(2003). 시는 붉고 그림은 푸르네. 黃玉峰. 詩情畵意. 서울: 도서출판 학고재.
  10. 오주석(1999).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서울: 솔출판사.
  11. 유봉학(2006). 경화사족의 사상과 진경문화(최완수 외,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1, 사상과 문화"). 서울: 도서출판 돌베개.
  12. 유봉학(2003). 조선 후기 풍속화 변천의 사회․사상적 배경(최완수 외,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 예술과 예술가들"). 서울: 도서출판 돌베개.
  13. 유홍준(2001). 화인열전 1. 서울: 역사비평사.
  14. 윤진영(2006). 독서의 여가와 산수도. 문헌과 해석. 2006년 겨울호 통권 37호: 29-39.
  15. 이병훈 역(2009). 양화소록. 姜希顔. 養花小錄. 서울: 을유문화사.
  16. 이상희(2004).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서울: 넥서스 BOOKS.
  17.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서울: 수류산방. 중심.
  18. 장진성(2007). 조선후기 사인풍속화와 여가문화. 미술사논단. 24: 261- 291.
  19. 정민(2003). 화암구곡의 작가 유박과 화암수록. 한국시가연구. 14: 1010- 133.
  20. 정민(2005). 18, 19세기 문인지식층의 원예 취미. 한국한문학연구. 35: 35-77.
  21. 정양모(2009). 정선 그림의 특징과 위상(국립중앙박물관, "겸재 정선, 붓으로 펼친 천지조화" 테마전 도록). 서울: 통천문화사.
  22. 조성진․조성렬 역(2004) 한시와 일화로 보는 꽃의 중국문화사. 中村公一. 中國の愛の花ことば. 서울: 뿌리와 이파리.
  23. 최완수(1993).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 서울: 범우사.
  24. 최완수(2003). 겸재 정선과 진경산수화풍(최완수 외,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 예술과 예술가들"). 서울: 도서출판 돌베개.
  25. 최완수(2004). 겸재의 한양진경. 서울: 동아일보사.
  26. 최완수(2009). 겸재 정선 2. 서울: 현암사.
  27. 한국자생란연구회編(1989). 동양란 가꾸기. 서울: 세종문화원.
  28. 호암미술관(2007). '한국미술 속의 정원을 걷다' 전통정원 희원 개원 10주년 기념전 도록.
  29. http://blog.naver.com/zxcvbnm7997?Redirect=Log&logNo=10022147171.
  30. http://www.designdb.com(한국산업진흥원 디자인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