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진 index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1초

실리카 콜로이드 나노입자를 이용한 반사 방지막의 제조 (High-Transmittance Films Coated from Silica Colloidal Nano-Particles)

  • 황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766-770
    • /
    • 2004
  • 구형 실리카 나노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하여 반사방지막을 제조하였다. 실리카 콜로이드 현탁액을 모세관 힘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두 장의 유리판 사이에 저장한 후 위의 유리를 이동시켜 반사 방지막을 코팅하였다. 상판 유리의 이동속도가 빨라질수록 막의 두께는 감소하였고, 막의 두께 변화에 따라 광 투과율이 변하였다. SEM으로 관찰된 실리카 나노 입자는 최밀충진에 가깝게 유리 기판에 부착되어 있었으며, 이로부터 고체 입자와 기공을 포함하는 막의 유효 굴절율을 구하였다. 최대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파장과 유효 굴절율로 부터 계산한 막의 두께는 SEM 사진 및 profiler로 구한 값과 잘 일치하였다. $94.7\%$의 최대 광투과율을 얻었으며, 양면으로 코팅한다면 $97.4\%$의 투과율 즉 $1.3\%$의 반사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순열비교정술 후 외비주형술(Extranasal molding): 비주길이의 사진계측학적 분석 (Effects of Extranasal Molding after Primary Cleft Lip Nasal Repair: Photogrammetric Analysis)

  • 한기환;백대향;손형빈;김준형;손대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563-569
    • /
    • 2006
  • Purpose: In the correction of cleft lip, there have been various methods to minimize recurrence of the nasal deformity after primary nasal surgery. After cheiloplasty and primary nasal surgery, we tried to elongate the columella of the cleft side, to stretch the vestibular lining of cleft side, and to elevate the alar cartilage of the cleft side with a molding prong. Methods: We had fifteen cleft lip patients; 12 unilateral cases(6.3-8.2 months), and 3 bilateral cases(3 - 7.5 months). Immediately after primary repair of the cleft lip, the toboggan shaped molding prong was located to deep inside of vestibular web of the cleft side. It was persistently suspended by a silicone tube which was connected to the prong and the frontal scalp.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Photoshop^{(R)}$ photogrammetrically for 6 - 48 months with on average of 20.6 months. We measured the proportion index of columellar length-interalar distance for three times(preoperation, immediate postoperation, and postoperation) on the nasal base views. Results: In unilateral, the index had a significant increase statistically between preoperation(10.73) and immediate postoperation(23.96). It is supposed that columellar length was reconstructed to 105.80% of normal side. But, it was decreased to maintain 87.7% of normal side in postoperation(20.54). The results were similar in bilateral. The linear scars by suture penetrating nose skin were not discernable. Conclusion: In summary, placement of the molding prong could elongate the reconstructed columella with some relapse postoperatively.

사진 계측에 의한 아동의 동체 형상 분석(II): 주성분 점수에 의한 군집 유형의 분류 (The Analysis of Children's Torso using Photographic Anthropometry(II):A Classification of Clusters by Principal Component Score)

  • 전은경;권숙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13-325
    • /
    • 1999
  •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data of children's bodies into several clusters by principal component scores that were extracte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in the former study, and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and body characteristics of the clusters. The sample was 308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from 6 to 8 an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directly from the photographs of the subjects, which was the same as the first analysis.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SPSSWIN Ver. 8.0.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3 clusters were obtained from the data. The first cluster distributed more in the children aged 7 and 8 than in the children aged 6. The somatotype of this group was the tallest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ey were the most developed group compared to the two other groups in lateral component as well as in linear component. The second cluster group wasn't well developed in lateral components, and had lowest level in Rohrer Index, so this group had thin figur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third cluster revealed dominant distribution in the group aged 6, and the group had the least developed linear components but higher level in Rohrer Index. Each cluster group revealed peculiar somatotype that was dominant in one group but rarely in other cluster groups. Lateral views of these characteristics were showed using the average of the measurements of clusters.

  • PDF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식편압입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food impaction between implant prostheses and adjacent teeth)

  • 신동욱;이진한;김세연;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33
    • /
    • 2014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식편압입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종 임상 자료를 분석하여 식편압입의 임상적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식편압입을 주소로 내원한 보철물 장착이 완료된 임플란트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구강검사를 시행하고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채득하여 식편압입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식편압입은 하악(39.2%)보다 상악(60.7%)에서 많이 나타났다. 2. 식편압입은 자연치아가 임플란트 보철물의 원심 부위(13.7%)에 있는 경우보다 근심 부위(86.2%)에 있는 경우에 많이 나타났다. 3. 식편압입이 나타난 임플란트 보철물과 그 인접치 사이의 접촉점은 긴밀하지 않은 경우(94.2%)가 대부분이었다. 결론: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에 식편압입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아가 적절한 긴밀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겠다.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 면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ndbar and Vegetation Area Alteration at the Downstream of Dam)

  • 박봉진;장창래;이삼희;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2호
    • /
    • pp.1163-1172
    • /
    • 2008
  • 본 연구는 댐 건설 전 후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댐 하류하천의 사주와 식생의 면적변화, 변화지수, 변화정도와 경년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사주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전의 사주면적은 하천면적의 38 %이었으나, 댐 건설후에는 21 %로 17 %가 감소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9921{\sim}2.9528$ 이었다. 식생면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댐 건설전의 식생면적은 하천면적의 11 %이었으나, 댐 건설후에 24 %로 13 %가 증가하였으며, 변화지수는 $-0.8908{\sim}12.0736$ 이었다.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의 사주와 식생의 경년변화를 분석한 결과, 사주면적은 연 $42,600m^2$씩 감소 하였으나 식생면적은 연 $51,700m^2$ 씩 증가하여, 사주면적의 감소 보다 식생면적의 증가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장기 아동의 상악 견치를 이용한 골격적 성숙도 평가 (Skeletal Maturity Evaluation using Maxillary Canine Development in Growing Children)

  • 유현경;라지영;이제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7-254
    • /
    • 2019
  • 이 연구는 성장기 아동의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상악 견치의 치아 성숙도와 골격적 성숙도를 평가하고, 상악 견치의 치아 성숙도와 골격적 성숙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치아 성숙도는 Demirjian index (DI)를 이용하였고, 골격적 성숙도는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stages (CVMS)와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를 이용하여 각각 경추골 성숙도와 수완부골 성숙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 상악 견치의 DI와 CVMS 및 SMI 사이에서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00). 이 연구를 통하여 상악 견치를 이용한 치아 성숙도 평가는 성장기 아동의 골격적 성숙도를 평가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을 위한 고찰 2017년도 교육(지원)청 지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ssue and Resolving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 Targets of the 2017 Education Department Indicator)

  • 권도균
    • 기록학연구
    • /
    • 제49호
    • /
    • pp.51-75
    • /
    • 2016
  • 기록관리 기관평가는 실제 기록관리를 하는 현장의 상황조건과 실현 가능성을 반영해야 한다. 기관평가 제도와 지표는 기록관리를 잘 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관의 자원과 노력으로 수행이 어렵다면 현실성이 없다. 2016년 3월 국가기록원이 발표한 2017년 평가제도와 지표는 일선기관에서 1년동안 1명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수행하기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직원 10% 이상 3회 교육, 전체학교 문서고 사진 제출, 모든 문서의 색인목록 제출, 전자문서 이관이 몇 년 동안 안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도 높이기, 모든 기관의 비전자기록물 이관, 비공개기록물 재분류 실시 등 현장에서 실현하기 힘들고 실제 효과가 있을지 의문스러운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기록관리 평가제도와 2017년 지표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정하고, 수년간 일선현장의 경험을 반영하여 더 나은 기록관리를 위한 지혜를 모을 때다.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Environment-Friendly Spatial Plan)

  • 이우성;정성관;박경훈;김경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2-154
    • /
    • 2010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다양한 도시의 공간적 특성이 지표온도에 미치는 영향성을 분석하고, 도시지역의 유형에 따른 열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5 TM 영상에서 지표온도, NDBI(Normalized Difference Built-up Index),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등을 추출하였으며, 고해상도($10cm{\times}10cm$) 칼라항공사진을 토대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형태를 분류하였다. 공간통계분석의 기본단위는 $500m{\times}500m$의 Vector Grid로 구축하여 각각의 공간특성 인자별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열환경과 공간특성의 관계성을 평가한 결과, 지표온도와 NDBI의 상관계수가 0.9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투수지역의 비율과도 0.857의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도시지역의 유형을 주거중심, 공업중심, 녹지중심, 혼합의 4개 지역으로 군집 분류하여 유형별 지표온도를 분석한 결과, 공업중심지역의 지표온도가 $21.10^{\circ}C$로 가장 높았고, 녹지중심지역이 $18.85^{\circ}C$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도시 지역의 공간적 특성이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성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열환경 개선을 위한 토지이용계획과 개발밀도 규제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시기별 피해목 탐지를 위한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의 활용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Pine Wilt Disease Using Time Series Hyperspectral Aerial Imagery)

  • 김소라;김은숙;남영우;최원일;김철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5-394
    • /
    • 2015
  •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뿐만 아니라 유럽 지역의 소나무림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는 임분 내에서 다발적으로 발현되고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현장조사 방법은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피해목 탐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초분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월, 9월, 10월에 1 m 공간해상도의 초분광 항공사진을 취득하였다. 9월 영상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와 Vegetation Index green(VIgreen)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을 잎이 있는 고사목과 잎이 없는 고사목으로 구분하였으며, 6월, 9월, 10월 영상의 분광반사값을 비교하여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피해목의 시계열 분포를 토대로 공간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초분광 항공사진 촬영지역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지 내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총 2,262본이 추출되었으며, 피해시기에 따라 잎 있는 고사목(작년 피해목)은 604본, 9월과 10월에 새로 발생한 피해목은 각각 300본, 101본으로 분류되었다. 구축된 자료를 이용한 공간 분포형 분석 결과, 작년 피해목과 당년 피해목 모두 집중분포 형태로 나타났으며, 최근거리 분석 결과, 당해년도 고사목의 약 80%는 전년도 고사목 주변 60 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 골격성 I 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모두부방사선 계측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in children with skeletal Class I malocclusion)

  • 문윤식;김정국;정현성;성상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59-172
    • /
    • 2001
  • 악안면 기형과 부정교합의 성공적인 교정치료를 위하여 안모의 3차원적인 평가가 필수적 이지만 교정의사는 주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 기초한 진단 및 치료계획에 익숙하다. 이는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 관한 계측치, 악골의 폭경 성장에 관한 지식과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관심이 부족한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골격성 I 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세에서 16세 사이의 남자 130명과 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상의 두개골 및 상하악골의 폭경을 계측하여, 연령과 경추골 발육지표(CVMI)에 따른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다항 회귀모형 (polynominal regression models)과 변수선택법(method of variable selection)을 이용하여 적합한 회귀모형(regression model)을 각 성별에서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 계측치의 평균 및 개별 계측치(individual measurement)의 70%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모든 폭경 계측치는 나이 또는 CVMI의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6세부터 16세까지의 총변화량은 상악골 폭경 보다는 하악골 폭경이 그리고 여자보다는 남자에서 더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Mx-Mn difference, Mx-Mn width differential, Mx/Mn ratio는 연령과 CVMI에 따른 남녀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3.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나이에 따른 남녀 계측치의 평균 및 신뢰구간을 70%로 추정하여 상악골폭경, 하악골 폭경, Mx-Mn difference, Mx/Mn ratio에 대한 그래프를 얻었다. 4. 한국인의 상하악골 폭경은 성장기 동안 서양인에 비하여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성장기 부정교합환자의 폭경 성장 평가와 폭경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한다면 치아 석고모형 만을 이용하는 한계를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