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진 분류

Search Result 65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SMS object-oriented classific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LSMS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

  • Han Yong Lee;Jong Woo Jung;Hye Won Jeong;Chung De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8-408
    • /
    • 2023
  • 하천공간은 하도, 사주, 식생, 하천구조물 등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하천공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생산한다. 기존에는 현장에서 육안조사나 지상에서 사진촬영, 스케치방법으로 하천공간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나, 지상에서 조사한 자료은 하천특성에 대한 물리적·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고 자료의 활용성이 낮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GIS 및 RS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된 첨단조사 기술 및 장비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으로 객체지향 분류 적용 연구와 분류 항목에 따른 공간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대상지역은 섬진강권역의 지석천 유역 하류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석천 친수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지역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수집 및 정합한 후 QGIS에서 제공하는 Orfeo ToolBox(OTB)의 LSMS(Large Scale Mean-Shift) 기법으로 정합한 항공영상의 객체지향 영상분할을 실시하여 벡터 레이어를 생성하였고, 하천공간특성에 따른 항목을 선정하여 각 항목의 영역에 대한 선별을 통해 훈련데이터를 생성하였다. 훈련데이터는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각 항목에 대한 자동 분류를 확인하였으며, 하천공간특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분류된 각 항목별 공간분석을 통해 면적, 위치정보(위도, 경도, 표고)를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하천공간특성을 GIS 기반의 벡터 레이어와 각 항목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하천공간의 DB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하천공간 DB 구축을 통해 전국 하천관리체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

A new record of Rhododendron keiskei Miq. var. hypoglaucum Suto & Suzuki (Ericaceae) in Korea (한국 미기록 식물: 섬진달래(진달래과))

  • Yang, Jong-Cheol;Kwon, Yeong-Han;Ji, Seong-Jin;Shin, Chang-H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3
    • /
    • pp.239-242
    • /
    • 2015
  • Rhododendron keiskei Miq. var. hypoglaucum Suto & Suzuki (Ericaceae) was found in Yeosu-si, Jeollanam-do, Korea.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related taxa in Korea by lepidote hairs entire, flower-bud terminal, inflorescences umbel-like racemes, corolla lepidot outside, white tinged with yellow. This taxon was named 'Seom-Jin-Dal-Lae' in Korean based on its habitat. We provide its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of related taxa in Korea.

Distribution of Carex kamagariensis K. Okamoto in Korea (좀목포사초(Carex kamagariensis K. Okamoto)의 분포)

  • Jang, Jin;Yang, Jong Cheol;Park, Soo-Hyun;Lee, You-Mi;Cho, Yang-Hoon;Kim, Jong-Hwa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4
    • /
    • pp.275-277
    • /
    • 2012
  • Carex kamagariensis K. Okamoto was found in throughout the nation.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taxa in Carex sect. Mitratae by pistillate scales with a long arista and achenes constricted above in the middle. A new Korean name, 'Jom-mok-po-sa-cho', is based on its small size and floral character similarity to C. genkaiensis. In this study, a description, illustrations and habitat photo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key of its related species is also provided.

Talipariti simile (Blume) Fryxell: a new record for Vietnam (Talipariti simile (Blume) Fryxell: 베트남 미기록종)

  • Choudhary, Ritesh Kumar;Xuyen, Do Thi;Bach, Tran The;Park, Sang-Hong;Hai, Do Van;Lee, You-Mi;Lee, Joongku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4 no.1
    • /
    • pp.9-12
    • /
    • 2014
  • Talipariti simile (Blume) Fryxell, Malvaceae is reported as new record from Vietnam. The plant can be differentiated from its allied species T. macrophyllum (Roxb. ex Hornem.) Fryxell in having glabrescent stems with purplish and smaller hairs, lanceolate-oblong and smaller stipules and ovoid capsules which are devoid of apicule or beaks. Taxonomic description, line drawing and color photographs have been provided to add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Furthermore,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between this species and the above mentioned related species is made.

A new record of Habenaria (Orchidaceae) to Korean flora: H. dentata (Sw.) Schltr. (한국 해오라비난초속(난초과)의 미기록 식물: 큰해오라비난초)

  • Lee, Hye-Jeong;Yang, Jong-Cheol;Lee, You-Mi;Yang, Hyung H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3
    • /
    • pp.223-226
    • /
    • 2013
  • An unrecorded Orchid species, Habenaria dentata (Sw.) Schltr. (Orchidaceae), was recognized in Gahoe-myeon and Ssangchaek-myeo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H. dentata is closely related to H. radiata (Thunb.) Spreng., it can distinguished by sepal white and larger than petals, and serrated margins of the labellum. A new Korean name, 'Keun-hae-o-ra-bi-nan-cho', was given based on its taller stem and more flowers (at least with three) in comparison to H. radiata (Thunb.) Spreng. We provide here its re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to its closely related taxa.

Nucleus Recognition of Uterine Cervical Pap-Smears using Kapur Method and Fuzzy Reasoning Rule (Kapur 방법과 퍼지 추론 규칙을 이용한 자궁 경부진 핵 인식)

  • Kang, Kyoung-Mi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241-247
    • /
    • 2007
  •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의 핵 추출을 위해서는 영상의 배경과 핵 그리고 세포질 영역의 구분이 중요하다. 또한 정상 세포핵과 암종 세포핵의 구분 및 인식을 위해서는 세포핵들의 형태학적 특징을 이용한 분류 기준을 세워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세포핵의 후보 영역과 핵을 추출하기 위해 현미경 400배율 확대 사진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훼손된 컬러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Lighting Compensation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한다. 그리고 배경 영역과 세포핵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영상의 R,G,B 영역의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이용하여 배경을 제거한다. 배경이 제거된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 한 후, 히스토그램 명암도의 값을 이용하여 세포핵 영역과 세포질을 분류하여 세포핵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Kapur 방법을 적용하여 세포핵 영역의 엔트로피 누적확률을 구한 후, 영상을 이진화 한다. Kapur 방법이 적용된 이진화 영상에서 세포핵 영역의 중심과 주위 화소를 비교하는 $3\times3$ 마스크를 적용하여 영상의 미세한 잡음을 제거 한 후, 8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세포핵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핵의 영역을 분류 및 인식하는 과정으로 세포의 외각의 방향성 정보, 핵의 크기, 그리고 면적 비율의 특징을 이용하여 퍼지 소속 함수를 설계한 후, 소속 함수의 소속도를 구하고 퍼지 추론 규칙을 적용하여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정상 세포핵 및 암종 세포핵을 인식한다.

  • PDF

A New Taxon of Goodyera (Orchidaceae): G. × tamnaensis (신분류군 탐라사철란(난과))

  • Lee, Chang Shook;Yeau, Sung Hee;Lee, Kyung Seo;Lee, Nam S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4
    • /
    • pp.251-254
    • /
    • 2010
  • We describe a new taxon of Goodyera (Orchidaceae), G. ${\times}$ tamnaensis N.S. Lee, K.S. Lee, S.H. Yeau & C.S. Lee, sp. nov., from Jeju Island. This taxon is presumed to be a hybrid between G. schlechtendaliana and G. velutina based on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e., leaf venation, a patterned leaf surface and raised leaf epidermal cells, the color of the flower and the bract, the lateral sepal shape, and the hair leng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based on the holotype are provided together with photographs of the habitat.

A New Variety of Elsholtzia (Lamiaceae): E. splendens var. fasciflora from Korea (신변종 다발꽃향유(꿀풀과))

  • Lee, Chang Shook;Suh, Hyoung Min;Chung, Mi-Sook;Chung, Yeong-Soon;Lee, Nam-S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4
    • /
    • pp.262-266
    • /
    • 2010
  • A new variety of Elsholtzia splendens (Lamiaceae) was found by the roadside of a mountain base at Jungmun-dong, Seogwipo-si, Jeju-do. The new taxon is termed Elsholtzia splendens var. fasciflora N.S. Lee, M.S. Chung & C.S. Lee, var. nov. The Korean name 'Da-bal-kkot-hyang-yu' was giv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based on the holotype are provided together with a photograph of the habitat. It is distinctly distinguished from Elsholtzia splendens var. splendens by a few characteristics: leaves that area 2-4 cm long, leaves beneath the inflorescence, typically mostly 4; and inflorescence mosyly 2-4, fascicled, involucres oval.

A new record of Eleocharis parvula (Roem. & Schult.) Bluff, Nees & Schauer (Cyperaceae) in Korea (한국 미기록 식물: 갯바늘골(사초과))

  • Ji, Seong-Jin;Park, Soo-Hyun;Yang, Jong-Ch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2
    • /
    • pp.169-172
    • /
    • 2015
  • Eleocharis parvula (Roem. & Schult.) Bluff, Nees & Schauer (Cyperaceae), was found in Ganghwa-gu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Korea.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related taxa in Korea by its small fusiform tubers, culms without septa when dry, 3-fid stigmas and style base confluent with the apex of achene. This taxon was named 'Gaet-ba-neul-gol' in Korean based on its habitat. We provide its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to the related taxa in Korea.

Hashtag Analysis Scheme for Topic based Tweet Categorization (토픽 기반의 트윗 분류를 위한 해시태그 분석 기법)

  • Kim, Yongsung;Jun, Sanghoon;Rew, Jehyeok;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737-740
    • /
    • 2014
  • 최근 SNS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매우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글이 여러 종류의 SNS를 통해 생성되고 있다. 그중 트위터는 정보의 전달 및 확산에 상당히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위터의 사용자 트윗은 뉴스, 음악, 사진, 여행 등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또한 트위터는 해시태그라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사용하는데 이는 트윗의 키워드 및 핵심을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최근 상당히 많은 양의 트윗의 생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양한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시태그를 이용해 트윗의 핵심을 파악하고 수많은 트윗을 다양한 토픽별로 분류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다양한 카테고리의 인기 해시태그가 포함된 트윗을 수집하고 수집한 트윗에서 해시태그별 키워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코사인 유사도를 통해 해시태그별 내용 유사도를 파악하여 각 카테고리 내의 해시태그가 얼마나 유사한 내용을 지니고 있는지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트윗이 입력되면 모든 카테고리와 유사도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카테고리를 찾아 추천해준다. 제안된 기법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