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진 분류

Search Result 6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Backlight image of liquid nitrogen jet at supercritical state (초임계에서 액체 질소 분류의 역광 사진)

  • Lee, Hyunchang;Yoon, You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709-712
    • /
    • 2017
  • Liquid nitrogen jet has been imaged by using backlight method. In addition to the images, simultaneously measured temperature by thermocouples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seudo-flash-boiling' in breakup of the supercritical jet. The backlight image can provide qualitative appearance of the jet, but not the density profile for the high density of injected fluid.

  • PDF

Facial Caricaturing System using Facial Features information (얼굴 특징정보를 이용한 캐리커처 생성 시스템)

  • 이옥경;박연출;오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04-406
    • /
    • 2000
  • 캐리커처 생성 시스템은 입력된 인물 사진을 세그먼테이션을 통하여 특징(이목구비)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유사한 특징정보를 가지는 캐리커처 이미지를 검색하여 매핑시키는 시스템이다. 캐리커처 생성 시스템에서는 얼굴의 대칭 구조를 이용하고 색상과 모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각각의 특징(이목구비)을 캐리커처의 특징을 구분하는 특징정보로써 활용한다. 본 논문은 인물 사진을 세그멘테이션 처리하여 얻은 부분 영역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유사한 캐리커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때 사용하는 대칭 구조는 씨앗 픽셀(seed pixel)을 추출한다. 특징정보는 색상의 경우 지역적인 색상정보는 이목구비를 더 뚜렷이 해주고, 전체적인 색상정보는 그 이미지의 피부색의 정보를 나타낸다. 모양의 경우 이목구비의 특징정보를 위해 불변모멘트가 주요하게 사용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얼굴의 세부사항(이목구비)에 대한 각각의 캐리커처로 구축되어 있고, 각 세부사항은 특징별 분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런 데이터베이스의 캐리커처와 추출된 얼굴 영상에서의 세부사항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계산하고 이를 매핑하므로 개인의 특징을 가진 캐리커처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 PDF

Diagnosis of scalp condition through scalp image learning (두피 이미지 학습을 통한 두피 상태 진단)

  • Lee, Geon;Hong, Yunjung;Cha, Minsu;Woo,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27-32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AI Hub의 개방 데이터인 '유형별 두피 이미지'를 사용하여 두피 상태에 대한 신경망을 학습한다. 이 두피 상태에는 6가지 상태가 있는데, 각각의 상태들에 대한 평가를 양호(0)부터 심각(3)까지 분류하여 학습한 신경망 모델로 실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사람들의 두피 사진을 찍어서 두피 상태를 진단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 개방 데이터에서 사용했던 값 비싼 두피 진단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값싸게 구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현미경을 사용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두피 상태를 진단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몇백만 원 상당의 비싼 두피 진단기로 촬영한 사진과 비교하였을 시 평균적으로 65%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데이터가 많은 유형은 77%의 정확도까지도 보여주었다.

  • PDF

A Study of Somatotype Discrimination for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의 체형분류 및 판별에 관한 연구)

  • Kim, Sora;Jo, Ji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33-1644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의 체형을 분류하고 이들 체형을 분류하는 판별기준을 세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판별방법은 중년여성들의 체형을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이 방법을 활용하여 중년여성복을 제작할 경우, 소비자들은 인체적합도가 높은 의복을 구입 할 수 있고 의류업 체들은 이에 따른 매출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의 진행절차와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 40세~59세 중년여성 279명에 대 한 인체 계측을 하였다. 인체 계측항목은 34개의 직접 계측항목과 측면사진 촬영을 통한 3개의 간접계측항목,11개의 지수치, 5개의 계산치 등의 총 53개 항목이다. 인체 계측치에 대한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분산분석과 SNK검정, 판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2. 피험자는 몇 가지 체형으로 분류되었다. 상반신 체형분류는 인체측면 자세와 유방크기를 분류기준으로 하여 바른-유방중소 체형, 바른-유방대 체형, 젖힌-유방중소 체형 , 숙인/휜-유방중소 체형, 숙인/휜-유방대 체형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하반신 체형분류는 배와 엉덩이의 돌출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배정상-엉덩이정상 체형, 배 정상-엉덩이돌출 체형, 배돌출-엉덩이정상 체형 , 배돌출-엉덩이돌출 체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3. 분류된 체형은 다음의 판별변수에 따라 체형이 판별되었다. 상반신 체 형 의 판별변수는 앞품/뒤품, 가슴둘레/밑가슴둘레 , 앞길이/뒤 길이, 앞허리선$\longrightarrow$어깨선 길이/어깨선$\longrightarrow$뒤허 리선 길이의 4가지 항목이고, 하반신 판별변수는 엉덩이상부각도, 배 하부각도, 배상부 각도, 엉덩이둘레/엉덩이 최대둘레, 뒤엉덩이둘레의 5가지 항목이다. 상반신 체 형과 하반신 체형 판별함수 모두 70% 이상의 높은 적중률을 나타내었다.

  • PDF

The First Record of Knorringia sibirica subsp. sibirica (Polygonaceae) in Korea (한반도 미기록 식물: 시베리아여뀌(마디풀과))

  • Choi, Hyeok-Jae;Park, Soo Hyun;Yang, Jong-Cheol;Lee, You-Mi;Ko, Jeong-En;Hong, Suk-Py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8 no.1
    • /
    • pp.63-68
    • /
    • 2008
  • We report a taxon of the unrecorded genus Knorringia (Polygonaceae) from Baengryeongdo, Ongin-gun, Incheon-si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taxon is K. sibirica (Laxm.) Tzvelev subsp. sibirica., has been known from Siberia, Mongolia and China. The new Korean name, 'Si-be-ri-a-yeo-kkwi', was given considering the species epithet and the type locality, Siberia. Description, illustration and photograph showing habitat were given.

Classification of Forest Vertical Structure Us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산림의 층위구조 분류)

  • Kwon, Soo-Kyung;Lee, Yong-Suk;Kim, Dae-Seong;Jung, Hyung-Sup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2
    • /
    • pp.229-239
    • /
    • 2019
  • All vegetation colonies have layered structure. This layer is called 'forest vertical structure.' Nowadays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dicator to estimate forest's vital condition, diversity and environmental effect of forest. So forest vertical structure should be surveyed. However, vertical structure is a kind of inner structure, so forest surveys are generally conducted through field surveys, a traditional forest inventory method which costs plenty of time and budget.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useful method to classify the vertical structure of forests using remote sensing aerial photographs and machine learning capable of mass data mining in order to reduce time and budget for forest vertical structure investigation. We classified it as SVM (Support Vector Machine) using RGB airborne photos and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DSM (Digital Surface Model) DTM (Digital Terrain Model). Accuracy based on pixel count is 66.22% when compared to field survey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classification accuracy of layer classification is relatively high for single-layer and multi-layer classification, but it was concluded that it is difficult in multi-layer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urther develop the field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on vegetation structure by collecting various vegetation data and image data in the future.

Magnetic Resonance Evaluation of the Articular Disc Configuration in the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악관절 내장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사진상의 관절원판 형태의 평가)

  • Kim, Gwui-Ae;Kim, Sun-Hee;Kee, Woo-Cheon;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05-313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악관절 내장증 환자에서 관절원판의 형태를 자기공명영상사진으로 평가하고 임상적 증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악관절 내장증의 증상을 가진 90명의 환자에서 169개의 관절을 자기공명영상사진으로 관절원판과 하악과두의 관계를 기준으로 정상군,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으로 분류하고 관절원판의 형태를 5가지로 나누었다. 임상검사는 측두하악관절통과 관절음의 유무를 확인하여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에서 측두하악관절통은 각 군에서 관절원판의 형태와는 정상군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며, 염증성 삼출액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환자에서 관절원판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환자에서도 상당수 관절음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측두하악관절의 통증은 관절원판의 형태가 많이 변형될수록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다른 여러 가지 원인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환자에서 관절원판의 변형이 심할수록 관절원판이 정복할 때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상적인 검사와 더불어 자기공명영상사진으로 정확한 진단을 함으로써 관절원판 변위의 적절한 치료가 행해질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Classification and Mapping of Forest Type Using Landsat TM Data and B/W Infrared Aerial Photograph (Landsat TM Data와 흑백적외선(黑白赤外線)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임상구분(林相區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Kim, Kap Duk;Lee, Seung Ho;Kim, Cheol 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78 no.3
    • /
    • pp.263-273
    • /
    • 1989
  • Accurate and cost-effectiv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s the primary goal for fores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Aerial photograph and remote sensing are the most frequent and effective method in forest resources inventories. TM and MSS are the principal observing instruments on the Landsat-4 and -5 earth observing satellite. Especially TM has considerably greater spatial, spectral, and radiometric resolution power than MSS, that is, the IFOV of TM at a nadir is 30m compared to 80m for MSS. In this study, we used TM data to classify forest types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forest type map manufactured by interpretation of B/W infrared photographs. As a result, land use types were well defined with TM data. But classifying forest types was a little difficult and indistinct. However, the spectral signatures of forest in every season and growing stages remained as problems to be solved, and also the most effective selection and combination method of bands for differentiating the spectral plots among classes.

  • PDF

Automatic Tagging Scheme for Plural Faces (다중 얼굴 태깅 자동화)

  • Lee, Chung-Yeon;Lee, Jae-Dong;Chin, Seong-Ah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7 no.3
    • /
    • pp.11-21
    • /
    • 2010
  • To aim at improving performance and reflecting user's needs of retrieval, the number of research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recent year as the quantity of information and generation of the web pages exceedingly increase. One of alternative approaches can be a tagging system. It makes users be able to provide a representation of metadata including writings, pictures, and movies etc. called tag and be convenient in use of retrieval of internet resources. Tags similar to keywords play a critical role in maintaining target pages. However, they still needs time consuming labors to annotate tags, which sometimes are found to be a hinderance caused by overuse of tagg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utomatic tagging scheme for a solution of current tagging system conveying drawbacks and inconveniences. To realize the approach, face recognition-based tagging system on SNS is proposed by building a face area detection procedure, linear-based classification and boosting algorithm. The proposed novel approach of tagging service can increase possibilities that utilized SNS more efficiently. Experimental results and performance analysis are shown as well.

First record of Crepidomanes schmidtianum (Zenker ex Tasch.) K. Iwats. (Hymenophyllaceae) from Korea (한반도 미기록 식물: 두메괴불이끼(처녀이끼과))

  • Lee, Chang Shook;Lee, Kanghyup;Hwang, Youngsim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4 no.1
    • /
    • pp.1-5
    • /
    • 2014
  • The newly recorded species, Crepidomanes schmidtianum (Zenker ex Tasch.) K. Iwats. (Hymenophyllaceae) was collected from forests in Mt. Jirisan, Baegmu-dong, Macheon-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 do. C. schmidtianum (vernacular name: 'Du-me-goe-bul-i-kki')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congeners of the genus Crepidomanes by having pseudo-vein, almost wingless in stipe, and involucres cup shaped with dilated. A new Korean name, 'Du-me-goe-bul-i-kki', was given based on its habitat.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this taxon and its photograph in the habitat are provided along with a key to the species of Crepidomanes from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