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전진단

Search Result 40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LabVIEW를 이용한 변압기 권선 진단 프로그램 개발연구

  • 김종서;정영일;임용배;이은석;김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5-140
    • /
    • 2001
  • 산업이 고도화 첨단화 됨에 따라 전력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한 순간의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전력설비의 열화진단이 점점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력 설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변압기의 신뢰성으로 절연지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것은 권선의 절연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절연지의 열화상태 파악은 변압기 권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문제를 예측하는데 필수적이며, 이런 문제의 사전예측은 치명적인 고장과 다른 설비에 대한 2차적 손상을 피할 수 있다.(중략)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ST Device Control Functions using TCP/IP Socket (TCP/IP 소켓을 이용한 MOST 디바이스 제어 기능의 설계 및 구현)

  • Lee, Yong-Un;Kwak, Gil-Bong;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532-535
    • /
    • 2011
  • 최근 차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내부에 추가되는 장치나 시스템들이 많아지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더불어 네비게이션, GPS, 블랙박스 등의 다양한 기기의 장착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 시스템들은 높은 대역폭을 지원하는 차량용 네트워크 기술을 요구한다. MOST는 최근 차량 멀티미디어 네트워크로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다. 차량용 장치들의 증가는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지만 장치간의 연결 문제 발생과 노후화의 문제가 발생 시 심각한 오류를 발생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진단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OST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유선 방식의 진단시스템을 무선 방식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MOST 네트워크를 진단하고 제어하는데 있어 움직임의 제한이나 불편함에서 벗어나 편리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Liquid Rocket Engine Health Monitoring and Emergency Protection System (액체로켓엔진 상태진단/비상보호시스템 연구)

  • Kim, Seung-Han;Nam, Chang-Ho;Seol,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8-182
    • /
    • 2007
  • This paper reviews on the LRE health monitoring and emergency protection system to protect test object engine system and engine test facility, in case of various fault occurrence at LRE testing. General composition and major technical consideration of LR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emergency protection system are reviewed. Moreover, some application of LRE health monitoring/emergency protection system to development test of major LRE component such as turbopump testing, gas generator and combustion chamber test are reviewed.

  • PDF

The analysis of field condition for partial discharge using portable GIS diagnosis system (휴대용 GIS 진단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현장조사결과 분석)

  • Jeong, Jae-Ki;Yoon, Si-Young;Kang, Chang-Ik;Jin, Young-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b
    • /
    • pp.128-130
    • /
    • 2007
  • GIS를 포함한 전력기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절연체 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은 사전에 진단하여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방치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크다.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GIS 진단장비가 외국제품이라 국내실정에 맞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고장 시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내용에서는 손쉽게 부분방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저가형, 휴대형으로 개발한 GIS 진단장비에 대해 설명하고 GIS 현장에 실제 적용하여 실측한 부분방전에 대한 자료와 변전소의 부분방전 발생형태를 조사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 PDF

온라인 기계 진동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가스 압축기 선회 실속의 원격 진단

  • 장은구
    • Journal of KSNVE
    • /
    • v.14 no.1
    • /
    • pp.18-23
    • /
    • 2004
  • 균열 현상은 모든 필터에서 발생하였다. 1997년 9월 원심 압축기 B에서 발생한 지나친 진동현상으로 여러 필터 중 한 필터가 부서져 임펠러 흡입부로 빨려 들어갔다. 1997년 10월 기동중에 선회실속 문제가 임펠러에서 발생하였고, 이 원인은 임펠러 eye가 부분적으로 막혔기 때문이었다. 압축기 입구와 출구의 전체 유량과 압력 상태는 정상이었기 때문에 어떠한 서지현상도 anti-surge 시스템에 의해서 감지되지 않았다. 고장상태를 진단함으로써 압축기의 재가동을 방지하여 필터들이 부서졌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번 기계 점검과정을 통하여 원격진단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회사는 원격서비스(remote service) 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원격 진단 서비스 점검이 계약 기간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기계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하는 목적은 기계의 결함이나 고장문제를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중대한 고장으로의 진행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는데 있다.

Nerve Blocks for Diagnosis and Prognosis of Chronic Pain (만성통증의 진단과 예후판정을 위한 신경차단)

  • Lee, Doo-Ik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v.11 no.2
    • /
    • pp.173-181
    • /
    • 1998
  • 감별신경차단이 주의깊은 병력 청취, 이학적검사, 신경학적검사를 대체할 수는 없으며 적절한 검사실 또는 심리학적 연구를 줄이는데 의도되서는 안된다. 그러나 이들의 진단적 노력에서도 환자 통증의 원인을 규명할 수 없고 따라서 적절한 치료를 지침해줄 수 없을 때 감별신경차단이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 감별신경차단이 통상적인 진단방법의 결과와 다른 기전을 말해 줄 수 있으나 그런 결과들이 사전의 치료방법이 환자 통증의 제거 실패한 점을 설명해줄 수 있으며, 나아가 특이한 증후군에 대한 적절한 치료방법을 결정해줄 수 있다. 발표된 논문들을 기본으로 고찰한 바, 진단과 예후판정을 위한 도루로써의 신경차단의 이론적 배경을 위축시키는 많은 제한성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해서 이들 수기들은 임상적 유용성을 증명하기에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이상적인 진단적 신경차단을 위해서는, 수기관리와 호과의 입증 뿐만 아니라 결과의 분석과 적용에 있어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어떤 경우들에 있어 이들 수기가 계속되는 치료의 지침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고 보고 있으며, 그러므로 수행자들의 축적된 판단을 조급하게 일축할 필요는 없다. 끝으로 만성통증의 진단적 분류가 혼동되고 복잡하기 때문에 비록 유효성의 증명이 미흡하지만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감각을 얻기 위해서는 진단적 차단의 선별적인 사용의 필요서을 합리화해주고 있다.

  • PDF

Quality Control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in Medical Field (의료분야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품질관리)

  • Cho, Pyong-K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5 no.2
    • /
    • pp.159-164
    • /
    • 2021
  • The examination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is one of the most useful diagnostic equipment for identifying information in the human body in diagnostic radiology.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examinations has recently increased a lot. Increasing the number of examinations will accelerate the aging of the device. In addition, this makes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for the diagnostic x-ray device. Particularly, in a diagnostic x-ray device, quality control refers to an act of always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image quality by identifying and correcting all problems that may lead to reduction of the diagnosis area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and reports general information about quality control in examinations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Government Necessity of Risk Rating Methodology for Nationwide Emerging IT Infrastructure (국가단위 신규 IT인프라의 위험수준 등급화모델에 대한 정책적 필요성)

  • Kim, Sang-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285-287
    • /
    • 2010
  • 국가단위로 구축예정인 신규 IT인프라의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신규 IT인프라에 잠재하는 위험도를 사전에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까지는 위험분석 이론이 사용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적용상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신규 IT인프라의 위험도를 일정 단위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정부기관,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수요자가 정확하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규 IT인프라에 대한 위험수준 등급화 모델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A Study on Diagnostic Model of Cerebrovascular Disease for Ubiquitous Health Care (U-헬스 케어 환경에서 뇌혈관 질환 진단 모델 연구)

  • Lee, Hyun-Chang;Kim, Jeong-G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107-111
    • /
    • 2006
  • According to IT(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progress. our life is gradually convenient. The prolifera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threat of diseases proportional to the progress comes to be high gradually. We must prevent dangerous diseases which threatens the life of the human. Or we are bumped against irrevocable serious situation. In spite of the situation. managing one's own health against modern busy lifestyle is very difficult. Therefore, we need to manage our health situation by using sensors based on ubiquitous I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agnostic model which is able to diagnose and prevent a cerebrovascular disease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Also. as a step of implementing the u-health care diagnosis system, the diagnosis model of cerebrovascular disease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cide a clinic result. In the future, by using this model. we may improve our welfare and health.

  • PDF

A Predictive System for Equipment Fault Diagnosis based on Machine Learning in Smart Factory (스마트 팩토리에서 머신 러닝 기반 설비 장애진단 예측 시스템)

  • Chow, Jaehyung;Lee, Jaeoh
    • KNOM Review
    • /
    • v.24 no.1
    • /
    • pp.13-19
    • /
    • 2021
  • In recent, there is research to maximize production by preventing failures/accidents in advance through fault diagnosis/prediction and factory automation in the industrial field. Cloud technology for accumulating a large amount of data, big data technology for data process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for easy data analysis are promising candidate technologies for accomplishing this. Also,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fault diagnosis/prediction, the equipment maintenance method is also developing from Time Based Maintenance(TBM), being a method of regularly maintaining equipment, to the TBM of combining Condition Based Maintenance(CBM), being a method of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quipment. For CBM-based maintenance, it is necessary to define and analyze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Therefore, we propose a machine learning-based system and data model for diagnosing the fault in this paper. And based on this, we will present a case of predicting the fault occurrence in adv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