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전유도구역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afety Evaluation of Traffic Merging Control Methods for Freeway Work Zone (고속도로 공사구간 차로 합류기법 안전성 평가 연구)

  • HWANG, Dong Hwan;OH, Cheol;PARK, Hyun Jin;JEONG, Bong 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3
    • /
    • pp.263-277
    • /
    • 2016
  • Traffic safety in freeway work zones is of keen interest since both crash frequency and severity are much higher than those in general freeway sections. The lane closure in work zones results in greater work load of drivers due to compulsory lane changes and speed reduction. Therefore, traffic merging control i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for enhancing work zone safety. This study proposed an integrated framework based on driving and traffic simulations to evaluate traffic merging control methods in terms of traffic safet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rging method using the taper, joint merge and chicane-type merge were evaluated by the proposed methodology. Chicane-type merge outperformed other methods under level of service (LOS) A and B. On the other hand, it was identified that joint merge showed the best safety performance under LOS C traffic conditions.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pumping and streamflow depletion (하천인근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영향 평가 상관식 개발)

  • Kim, Nam-W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22-422
    • /
    • 2012
  • 지하수개발 이용의 허가시 지하수 양수로 인한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지하수의 고갈과 오염을 예측하고 이를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지하수의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도모하고자 지하수영향조사제도가 시행되어 왔다. 특히 하천구역의 경계로부터 300미터 내의 지역에서 지하수를 개발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하수영향조사서를 첨부하여 국토해양부장관과 미리 협의하도록 되어있고, 이 때 지하수개발 이용이 하천의 수량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취수량 취수 기간의 제한 및 취수 금지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하천인근의 지하수 양수가 하천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이 마련되어있지 않아 실무적으로 지하수영향조사 및 허가 절차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이용에 따른 하천수량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간편 상관관계식을 지표수-지하수 통합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유도 제시하였다. 지표수-지하수 통합모의를 위해서 SWAT-MODFLOW 결합모형을 적용하였고, 두 개의 시험유역에 대해 가상의 양수정 설치에 따른 하천수량 변화량을 평가하는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관관계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하천수 감소량을 지하수 양수량, 하천과 양수정 이격거리, 대수층 및 하천바닥의 수리전도특성, 강수량 등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the field composition for making of windbreak forest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새만금 방풍림 조성을 위한 식생기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 JI, Dallim;Choi, Kangwon;Noh,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7-177
    • /
    • 2020
  • 새만금 간척지는 1989년 '새만금간척사업'이 발표된 이래 1991년에 방조제 공사를 시작으로 2006년 물막기 공사를 완료하였고, 2009년 이후 방조제를 완공하여 현재는 40,100ha의 간척지가 조성되었다. 하지만 간척지는 장기적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간척으로 인한 해안경관의 가치 상실, 생태계 파괴 및 교란에 따른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식생의 도입이 그 대책의 하나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적으로 식물천이를 유도하고 동물들을 유인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간척지의 대표적인 수목생육 제한 요인으로 판단되는 염분, 배수 및 통기성에 대한 시험연구를 진행하고자 '09~'11까지 초기에 김제광활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였고, '12부터는 군산옥구에서 2ha의 시험포를 운영하고 있다. 수목을 심을 포지를 구획하기 전에 토양의 염분값을 낮추기 위해서 군산옥구의 경우, 2ha의 시험포를 포함한 전체 묘목장 부지(100ha) 중에서 일부구간(38ha)을 '09 부터 자연강우 담수제염을 통해서 제염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염분 값이 18ds/m~20ds/m에서 8ds/m~10ds/m로 낮아졌다. 이렇게 수목이 자랄 수 있는 정도의 제염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배수 및 통기성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포지를 구획하였다. 단지1의 경우, 사전제염작업을 하지 않고, 5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고, 단지2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10M간격의 암거를 설치하였다. 단지3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을 진행하고 그 위에 0.4M의 준설토를 성토하여 포지를 조성하고 일부구간에 5M, 10M암거를 설치하였다. 2년 간의 수목 생존률 및 생장 모니터링을 통해서 각 단지에서의 수목생장의 적합성의 정도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단지3이 암거설치 간격 및 설치유무에 관계없이 수목이 자라는데 가장 적합했다. 다음으로 단지2, 단지1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 값을 낮추기 위한 자연강우 담수제염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배수 및 통기성 개선을 위한 암거설치의 경우는 새만금 전체 식재구역에 적용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배수 및 통기성을 위한 별도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각 단지에서의 수목 생장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식재기반 조성기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A Pedestrian Network Assignment Model Considering Space Syntax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고려한 통합보행네트워크 통행배정모형)

  • Lee, Mee Young;Kim, Jong Hyung;Kim, Eun 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6
    • /
    • pp.37-49
    • /
    • 2015
  • In Space Syntax, the greater the degree of integration between separate links, the greater the links' accessibility from the target network. As such, planning pedestrian walks so that links with high degrees of integration are connected, or else inducing high integration value land use are both valid options. The travel distribution model reflects how walking demand, or more specifically, the pedestrian, partakes in route choosing behavior that minimizes select criteria, notably level of discomfort, as measured using travel distance and time. The model thus demonstrates travel patterns associated with demand pertaining to minimization of discomfort experienced by the pedestrian. This research introduces a method that integrates Space Syntax and the pedestrian travel distribution model. The integrated model will determine whether regions with high degrees of integration are actually being used as pivots for pedestrian demand movement, as well as to explain whether the degree of integration is sus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while considering actual movement demand. As a means to develop the integrated model, a method that combines display of the visibility of the space syntax network and road-divided links is proposed. The pedestrian travel distribution model also includes an alternative path finding mechanism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which allows for uniform allocation of demand.

Double-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s enhance learning and memory in an Aβ42-induced Alzheimer's mouse model (Aβ42로 유도된 알츠하이머 마우스 모델에서 이중 가공 인삼열매 추출물의 학습 및 기억 손실 개선 효과)

  • Jang, Su Kil;Ahn, Jeong Won;Jo, Boram;Kim, Hyun Soo;Kim, Seo Jin;Sung, Eun Ah;Lee, Do Ik;Park, Hee Yong;Jin, Duk Hee;Joo, Seong Soo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1 no.2
    • /
    • pp.160-16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double-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 (PGBC) could improve learning and memory in an $A\hat{a}42$-induced Alzheimer's mouse model. Passive avoidance test (PAT) and Morris water-maze test (MWMT) were performed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PGBC, followed by acetylcholine (ACh) measurement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detection for brain damage. Furthermore,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and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expression were analyzed using Ellman's and qPCR assays, respectively. Results demonstrated that PGBC contained a high amount of ginsenosides (Re, Rd, and Rg3),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clearance of $A{\hat{a}} 42$. They also helped to significantly improve PAT and MWMT performance in the $A{\hat{a}} 42-induced$ Alzheimer's mouse model when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terestingly, ACh and ChAT were remarkably upregulated and ACh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suggesting PGBC to be a palliative adjuvant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ltogether, PGBC was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cognitive abilities. Thus, it could be a new alternative solution for alleviating Alzheimer's disease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