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이버조직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North Korea's cyber organization-related information research (Based on organization status and major attack cases) (북한의 사이버조직 관련 정보 연구 (조직 현황 및 주요 공격사례 중심으로))

  • Kim, Jin G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11-114
    • /
    • 2020
  • 우리나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추정되는 북한의 사이버조직에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사이버 공간의 특성상 공격 흔적이 남지 않기에 언론사들은 북한의 사이버조직과 관련하여 일관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갈수록 진화하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비록 인터넷에 공개된 자료(논문, 기사 등)라 할지라도 이를 통해서 북한 사이버조직 현황 및 주요 공격사례를 중심으로 관련 정보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선박사이버보안 계획서 및 대응체계 비교에 대한 연구

  • 안영중;김보라;박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96-397
    • /
    • 2022
  • IMO는 해상사이버보안 관리기준을 제정하여 2021년부터 ISM code에 따른 선박안전관리 지침 상 사이버보안 관리방안의 반영을 권고하였다. 이에 따라 선박에 대한 사이버보안 관리지침 또는 계획서 등이 선박회사별로 개발되어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명확한 법적 근거 및 표준이 부재하여 선박회사별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선사들의 사이버보안 계획서를 BIMCO, NIST 등의 Guideline과 Framework 기반으로 비교하여 선사별 사이버보안 대응을 위한 선내조직 및 역할과 책임, 비상 시 대응방안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차이점과 개선점 식별을 통해 실효성 있는 사이버보안계획서 수립 및 대응조직 구성 방안제시를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 PDF

CTI Lifecycle for network attack prevention (네트워크 공격 방지를 위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프로세스 연구)

  • Cha, Jeonghun;Jo, Jeong Hoon;Kang, Jungho;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0-472
    • /
    • 2019
  • Cyber Threat Intelligence (CTI)는 성장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는 새로운 보안체계 개념으로써 최근 많은 조직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입하고 있다. 조직에서 CTI의 도입은 보안 조직간의 위협 정보와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방어 전략을 공유하여 다양한 선제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CTI 위협 정보를 공유하는 조직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정보의 양은 점차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정보를 공유받는 대부분의 조직이 공격자가 악의적으로 잘못된 위협 정보를 수집한 경우 또 다른 사이버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TI 정보 공유에서 사이버 위협 대응 조치 전략을 조직에 적용하기 전에 가상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적용시킨 후 평가 및 검증을 통해 공격을 목적으로 한 악의적인 정보가 적용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어한다.

ITU-T SG17에서의 사이버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 Kim, Jong-Hyun;Kim, Ikkyun
    • Review of KIISC
    • /
    • v.23 no.3
    • /
    • pp.19-27
    • /
    • 2013
  • 최근 외부 해킹으로 대량의 개인정보 유출, 대규모 시스템 장애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보안체계를 잘 갖추고 있던 조직들도 지능화되고 있는 사이버 공격 앞에 무력하게 당하는 사건들을 접하면서 많은 기업 및 조직들이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U-T SG17에서 진행 중인 사이버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해외 정보 - 원전에 대한 사이버 공격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5 no.6
    • /
    • pp.56-58
    • /
    • 2015
  • 원전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원전업계가 스스로 이를 방어해 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한 조직이 혼자서 자기의 사이버 영역에 대한 공격에 대비할 수는 없다. 그런 식으로는 언제나 사이버 공격보다 한 발 늦을 뿐이다. 이 싸움은 일종의 군비 경쟁 같은 것이기 때문에 서로 간의 협력을 통해 우리를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자들보다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Hardware In the Loop System for Cyber Security Training in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 사이버보안 훈련을 위한 HIL(Hardware In the Loop) System 개발)

  • Song, Jae-gu;Lee, Jung-woon;Lee, Cheol-kwon;Lee, Chan-young;Shin, Jin-soo;Hwang, In-koo;Choi, Jong-g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9 no.4
    • /
    • pp.867-875
    • /
    • 2019
  • Security awareness and training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cyber security incidents tend to increase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including nuclear power plants. For effective cyber security awareness and training for the personnel who manage and operate the target facility, a TEST-BED is required that can analyze the impact of cyber attacks from the sensor level to the operation status of the nuclear power plant.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n HIL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cyber security training. It includes nuclear power plant status simulations and specific system status simulation together with physical devices. This research result will be used for the specialized cyber security training program for Korean nuclear facilities.

미래 사이버 전 능력 필요(2)

  • O, Je-Sa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1 s.273
    • /
    • pp.36-47
    • /
    • 2001
  • 사이버 전 공격 기술 및 무기는 재래식 물리적 공격 기술 및 무기와 미래 사이버 전쟁의 소프트웨어적 공격기술/무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래 사이버 전에서는 물리적 공격 기술 및 무기보다 소프트웨어적 공격기술이 수십 배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공격 기술 및 무기인 것으로 부각되고 있다. 미래 사이버 전쟁에서 가장 핵심 공격 기술 및 무기는 해커이고 해커의 조기양성 및 획득은 필수적인 사이버 전력 확보 방안이므로 사이버 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투부대의 지식을 제공하는 사이버 전쟁 연구소와 전투부대를 창설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인 요청에 의하여 절대적으로 필요한 조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차세대 IT·OT 융복합 사이버훈련장 구축 연구

  • Young Han Choi;Taek Jun Nam;DongHo Jeon;Hyun Chul Yang;SooHyun Jo;Jungmin Kang
    • Review of KIISC
    • /
    • v.33 no.6
    • /
    • pp.79-87
    • /
    • 2023
  • 사이버위협의 증가로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이버훈련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훈련이란 개인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및 사이버공격에 대한 조직적 대응을 단련하는 일련의 행위를 가리킨다. 최근 IT 영역에서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OT 영역으로 사이버공격 범위가 늘어나 그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 사이버공격에 대비한 사이버훈련이 필요하며, IT 위주에서 OT를 포함한 사이버훈련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IT와 함께 OT 영역까지 사이버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사이버훈련장 구축 연구를 소개한다. 본고에서는 OT 영역을 11개의 국가기반시설로 분류하였고, OT 사이버환경을 SW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사이버훈련장을 통해 IT와 OT 대상 사이버공격에 대한 사이버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Cyber Security Governance Analysis in Major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s (주요국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Joo, Moon-ho;Kwon, Hun-Yeong;Lim, Jong-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8 no.5
    • /
    • pp.1259-1277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cyber security strategies, laws, organizations, and the roles of the ministries in the US, Germany, UK, Japan, China, and Korea and draw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and efficient next generation national cyber security governance. Under this goal, this study analyzes cyber security strategies, laws, organizations, and the roles of the ministries in the US, Germany, UK, Japan, China, and Korea and draw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and efficient next generation national cyber security govern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ugges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domestic cyber security governance.

The Analysis for Cyber Security Threats in Remote Working Environment (원격근무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 위협 분석)

  • Kim, So Yeon;Ha, Yeong Min;Kim, Sung Yul;Chol, Sang Yong;Lee,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97-98
    • /
    • 2020
  • 코로나19의 확산은 기업의 근무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최신 IT기술을 활용한 재택근무, 이동원격근무, 원격근무센터와 같은 원격근무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원격근무는 특성상 기업의 보안정책의 적용범위를 벗어나 사이버위협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노출을 동반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제사회에 대규모 확산이 일어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의 영향 또는 조직의 필요에 의해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원격근무로의 근무형태로 전환하려는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 보다 안전한 근무환경을 구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원격근무에 대한 위협 및 위험을 분석한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조직의 보안담당자는 안전한 보안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솔루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