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육동향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편집위원 칼럼 - 일반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닭고기 산업 발전 방향

  • Kim, Yeong-Man
    • Monthly Korean Chicken
    • /
    • v.15 no.7
    • /
    • pp.48-51
    • /
    • 2009
  • 먼저 '월간 닭고기' 14주년 창간기념호 출간을 축하드린다. 그 동안 '월간 닭고기'는 질병대책, 사양관리, 유통문제, 국제동향 등 다양한 정보를 사육농가 등에게 배포하여 1995년 7,730억원에 불과하던 닭고기 생산액이 2007년 1조280억원으로 증가하는 등 육계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많은 기여를 했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닭고기 산업은 계속 발전할 것이며, '월간 닭고기'도 닭고기 산업 발전을 위해 상당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닭고기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부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이 있으며, 1년여 양계업무를 접해보면서 느꼈던 점을 정부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자격이 아닌 일반인이 바라본 시각으로 술회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 기술한 내용은 정부의 정책방향과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 PDF

축산과학원 - 양계 연구 동향 - 채란계 산업에서 유도환우의 동향

  • Hwang, Bo-J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1 no.1
    • /
    • pp.182-185
    • /
    • 2009
  • 채란업계에서는 산란계 닭을 단기간 혹은 장기간 절식시켜 강제적으로 환우를 유도하는 강제환우 기술이 널리 생산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다. 산란계의 유도환우는 산란계의 생산성과 난각질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계란 생산 주기를 연장시켜 채란계산업의 이익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인 유도환우 방법은 일정기간 동안 사료 급여를 제한시켜 체중의 30%까지 감소시키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런 유도환우 방법은 (1) 육성경비의 절감 (2) 호우유니트의 개선 (3) 산란율의 개선 (4) 난각질의 개선과 이에 따르는 정상란 비율의 향상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1) 과중한 스트레스에 의한 폐사의 증가 (2) 환우 후의 난중의 과대화 (3) 환우 중의 분변성상의 악화에 따른 작업환경 악화 등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닭의 사양환경이나 사육관리방법이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살모넬라 오염의 문제도 있어, 최근에는 새로운 유도환우법의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 PDF

Preparation of Polyolefin Hollow Fiber Membranes and Their Applications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중공사막의 제조 및 응용)

  • 김진호;박민수;장문석;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4-154
    • /
    • 2003
  • 세계의 특허동향을 분석해 보면 수처리용 MF/UF 분리막의 제조 및 응용에 관한 연구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국적 기업들의 적극적인 마케팅과 분리막 공법의 우수한 처리효율이 인정되면서 90년대 후반부터는 수십만톤/일 규모의 징수처리 및 하수고도처리 분야에까지 MF/UF 분리막이 괄목할만한 수요의 증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이 되고 있다.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MF/UF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보편적으로 첫째, 고분자를 용매에 녹인 후 용매와 비 용매간의 상호교환을 유도하여 분리막을 제조하는 상전이법(Phase Inversion). 둘째, 고분자를 고온에서 희석제와 melt-blending 한 후 가해진 열을 제거하면서 상분리를 일으켜 다공성을 부여하는 열유도 상분리법(TIPS,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셋째, 결정성 고분자를 용융, 압출 및 냉각하여 결정화도가 매우 높은 전구체를 제조한 후 연신에 의해 비결정 영역을 개열시켜 기공을 형성하는 연신법(Stretching process)이 있다. 이 중 물성이 매우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결정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열유도 상분리법 및 연신법에 제한된다. 본 연구 발표에서는 세계적으로도 극소수의 기업들만이 보유하고 있으며 고도로 축적된 노하우를 필요로 하는 열유도 상분리법 및 연신법에 의하여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두 가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중공사막의 구조, 물성 및 수투과 성능 그리고 KMS 중공 사막의 응용사례를 통한 실제 운전특성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 술식으로 판단되었다.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

  • PDF

지상간담회 - 육우(송아지) 가격폭락 대책마련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 한국낙농육우협회
    • 월간낙농육우
    • /
    • v.29 no.1
    • /
    • pp.96-102
    • /
    • 2009
  • 최근 육우 산업동향을 보면 육우 경락가격이 미산쇠고기 협상타결(08.4.18) 이후 25% 가까이 하락하였고, 사료값 폭등으로 생산비까지 급증하면서 두당 100만원 이상 적자를 보는 상황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육우농가들이 육우사육을 포기하거나 한우로 전환하면서 수요처를 상실한 육우송아지 가격이 80% 이상 폭락하여 이에 따른 낙농가의 경영난 또한 심각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지난해 8월 1일 개최한 '육우산업 생존전략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 이어 12월 10일(수) 축산회관 소회의실에서 '육우(송아지) 가격폭락 대책마련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정부가 한우산업에 편중된 정책에서 벗어나 육우도 국내산 육자원으로 인정하고 육우 송아지생산안정제, 육우 가격지지 등 보다 실질적이고 즉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었다. 월간 "낙농육우"는 본고를 통해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의 발언을 요약 정리해 보았다.

  • PDF

광견병 최근 국내발생 동향 및 역학조사 결과

  • 윤용덕;황의경;김재훈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0 no.3
    • /
    • pp.139-144
    • /
    • 1994
  •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광견병에 대한 최초의 공식 발생보고는 1907년에 있었다. 1945년까지 매년 200$\~$800두 정도씩 발생 보고된 바 있었으나, 그 후 점차 발생이 감소되어 1970년대까지는 매년 3$\~$91두의 발생수준이 보고되었다. 이어, 1980년대에는 1980년에 5두, 1981년에 15두 1982년과 1984년에 각 1두씩 발생보고가 있었으며, 1992년까지 8년동안 전혀 발생이 없다가, 1993년 9월 22일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지1리에서 사육하는 개에서 다시 광견병 발생이 확인되기 시작하였다. 지난 8년간 발생보고가 없던 광견병이 다시 발생되기 시작한 1993면 9월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광견병 발생상황 및 역학조사결과를 보고하므로써 광견병에 대해 재인식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학술자료 III: 국내에서 한(생)약제의 현황과 그 적용을 통한 가축질병방지체제 연구동향

  • Ryu, Il-Seon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6 no.12
    • /
    • pp.1106-1117
    • /
    • 2010
  • 과거 한국의 식품 오염원 중 법적인 규제 등을 통해 구체적인 통제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축산물의 항생제로 알려져 항생제 오 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출현으로 비상이 걸렸던 적이 있었다. 요즘은 항생제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 가축이나 인체 내의 병원성 미생물들이 내성이 생겨 문제가 되고 있어 2011년 7월부터 가축용 사료에 항생제 첨가가 금지하게 된다. 한국은 항생제 내성률 1위로, 2000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대표적 항생제인 페니실린에 대한 폐렴구균의 내성률이 70%로 세계 1위이다. 어느 보고서에 따르면, 축산물 1톤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항생제가 스웨덴이나 뉴질랜드, 덴마크 등 축산 선진국이 31~44g에 불과한데 비해 한국은 911g에 이른다. 투여 경로는 배합사료에 포함된 양이 54%, 농가의 임의 치료가 40%, 수의사 처방은 겨우 6%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OECD 회원국 중 수의사 처방 없이 항생제의 임의 투여를 허용하고 있는 나라는 한국뿐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가축사료에 항생제를 첨가하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도 항생제는 반드시 수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토록 제한하고 있다. 최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의하면, 축산용 항생제 사용량이 2008년에 비해 18%, 2001년에 l해 무려 38%가 감소되었으며, 이중 닭은 20%, 소의 항생제 사용량은 36%가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사육 가축들의 항생제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사료에 첨가하는 항생제나 성장호르몬, 비소 투여 등의 투여 대신에 미생물 생균사료나 녹차사료, 한약재사료 등의 천연면역물질을 함유한 사료를 먹여 스트레스를 덜 받고 면역력 증강에 좋은 사료를 먹여 키운 건강한 가축으로 생산한 육류는 맛도 특별히 좋다. 본 자료의 대부분은 금년부터 3년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과 중국청도농업대학과 "고품질 축산물생산을 위한 중약제를 이용한 질병방지체제 연구"라는 과제로 공동협력연구를 수행하게 됨에 따라 지난 11월 4일부터 10일까지 필자가 중국 청도농업대학을 방문하여 세미나시 발표한 자료임을 밝혀두며, 국내 수의학 연구에도 도움이 되고 저 소개한다.

  • PDF

미국 유기양돈의 생산과 유통 -현황과 농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크리스보에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1.10a
    • /
    • pp.207-218
    • /
    • 2001
  • 미국의 콘벨트와 같이 곡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지역에서 관행생산으로부터 유기적 생산으로 전환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떻게 하면 작물윤작을 더 많은 이익이 나올 수 있도록 선택하고 관리하는가 하는 점이다. 곡물생산을 중단하고 사료와 녹비작물을 재배하는데 드는 기회비용은 상당하다. 많은 유기농업 연구자, 학자들은 가축사육을 농장에 도입하여 다양화와 노동력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가축 역시 곡물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을 보완해줄 정도로 곡물 및 사료작물의 가치를 늘려 추며, 곡물생산에 쓰여진 양분을 퇴비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게 해 준다. 곡물 집약재배 지역에서 유기농가는 양돈이 경종체계에 자연스럽게 들어맞는 것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돼지는 곡물과 사료작물 모두에 가치를 증대시켜 줄 수 있는 아주 효율적이고 적용이 쉬운 가축이다.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유기적, 지속가능한 양돈 생산에 관해서는 문헌이 좀 있다. 그러나 유기농가로 하여금 유기양돈 생산을 하도록, 그리고 유통의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비교적 구체적인 정보는 그리 많지 않다. 이 글의 주요 초점은 미국 중부지방에서의 유기축산 생산(주로 돼지)에 관한 배경과, 시장의 추세, 인구적 특성, 미국의 기준들에 비추어 생산과 유통에 관한 결정 및 고려사항들에 대한 개관을 제시해 보는 일이다. 농장 수준에서 의사결정은 토지, 노동, 금융과 사회적 자본과 같은 자원을 각종 기회와 더불어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모두 농장 차원을 넘어 각종 기준과 시장에서의 세력들의 맥락을 보고 이루어져야 한다. 각 개인의 수준에서는 농업인 역시 유기 흑은 환경친화적 농업에 관한 확신, 바꾸어 보겠다는 결심, 생활양식과 가족에 대한 영향, 그리고 농업인과 가족 경영에 대한 계획의 지평이라고 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기적 방식으로의 전환에 관하여 결정을 내려야 한다.aotic motion)의 해석도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비선형 진동해석을 위한 정규모드 동역학에 대한 연구동향 및 기본 이론을 살펴 보았고, 그 적용 예를 통하여 실험결과와 비교 고찰 함으로써 정규모드 동역학의 적용성을 서술하여 보았다. 선형이론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들에 대하여는 비선형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 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비선형 이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진행되어야 한다.VA코드를 사용하여 흡기포트와 연소실 그리고 밸브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한 수치해석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밸브의 운동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한 이동격자는 격자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 격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서 밸브의 완전개폐를 해석할 수가 없다. 강희정[6]은 단일 실린더와 단일 배기밸브를 갖는 문제로 단순화하여 피스톤과 밸브의 움직임을 고려하므로써 배기행정 후 소음이 어떻게 전파해 나가는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최소밸브간격과 최대밸브간격 사이에서만 계산이 가능하나 흡기의 경우는 밸브가 닫힐 때 생기는 압력파가 중요하므로 실린더와 밸브사이에 벽면조건을 주어 밸브의 개폐를 모사하였다.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이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sults shows a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ld and the maximu

  • PDF

Applying a smart livestock system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animal life industry in the future: A review (미래 동물생명산업 발전전략으로써 스마트축산의 응용: 리뷰)

  • Park, Sang-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1
    • /
    • pp.241-262
    • /
    • 2021
  • This paper reviewed the necessity of 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based smart livestock system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animal life industry in the future. It also predicted the trends of livestock and animal food until 2050, 30 years later. Worldwide, livestock raising and consumption of animal food are rapidly changing in response to population growth, aging, reduction of agriculture population, urbanization, and income growth. Climate change can change the environment and livestock's productivity and reproductive efficiencies. Livestock production can lead to increased greenhouse gas emissions, land degradation, water pollution, animal welfare, and human health problems. To solve these issues, there is a need for a preemptive future response strateg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mprove productivity, animal welfare, and nutritional quality of animal foods, and prevent animal diseases using ICT-based smart livestock system fused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various aspects of the animal life industry. The animal life industry of the future needs to integrate automation to improve sustainability and production efficiency. In the digital age, intelligent precision animal feeding with IoT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CT-based smart livestock system can collect, process, and analyze data from various sources in the animal life industry. It is composed of a digital system that can precisely remote control environmental parameters inside and outside the animal husbandry. The ICT-based smart livestock system can also be used for monitoring animal behavior and welfare, and feeding management of livestock using sensing technology for remote control through the Internet and mobile phones. It can be helpful in the collection, storage, retrieval, and dissemination of a wide range of information that farmers need. It can provide new information services to farmers.

Recent Trends in Integrative Insect Nutrition: A Nutritional Geometry Perspective (통합곤충영양학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 영양기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Lee, Kwang Pum;Jang, Taehwan;Rho, Myung Suk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1 no.1
    • /
    • pp.129-142
    • /
    • 2022
  • Nutrition dictates nearly all biological processes and determines Darwinian fitness in all living organisms, including insects. Research on insect nutrition has a long history in the field of insect physiology an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insect nutrition has become increasingly apparent with the growing need for producing insects as food and feed. Nevertheless, it is only in recent years that we have witnessed a major breakthrough in our knowledge of insect nutrition. The multivariate, interactive, and dynamic nature of nutrition has long hampered our complete understanding of insect nutrition. However, the challenge posed by such nutritional complexity has been overcome with the advent of the Nutritional Geometry, which is an integrative and multidimensional framework that enabled us to model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nutrients. In this review, we introduce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f the Nutritional Geometry and describe how this innovative framework has revolutionized the field of insect nutrition and has placed nutrition in the centre of the interface between physiology, ecology, and evolution. We close this review by discussing potentially fertile research areas that can benefit tremendously from the application of this powerful nutritional paradigm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and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muskrat(Ondrtra zibethicus) in South Korea (사향쥐(Ondrtra cuniculus)의 정착 및 서식지 이용에 관한 연구)

  • Kim, Young-Chae;Hong, Sun Hee;Lee, Changwoo;Kim, Areum;Park, Heebok;Park, Su-Gon;Kim, Minhan;Lee, Do-H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1
    • /
    • pp.1-15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invasive muskrats settle in the natural ecosystem of Korea.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of target areas, basic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habitat use-related data, all of which are essential for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ment and site management. To this end, a trend in international muskrat management was identified to examine the manag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tlement stage. We also secured the location of 72 domestic farmers and classified five regions in Gyeonggi-do, Chungcheongnam-do, Gyeongsangbuk-do, and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into regions with high potential for natural leakage to raise the need for a quick survey. We determined that muskrats successfully settled in the natural ecosystem of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we consistently identified a muskrat habitat at the same point for three years, from 2016 to 2018, the age of the captured population was estimated to be 1.2 years, and there had been no additional make-up factors near the habitat since 2012. The muskrats that settled in Korea showed a small home range of 0.0027 ㎢ (MCP 95%) and were estimated to show regular mobility before Spring and Autumn. Also, the areas where the muskrat habitat was observed had a high level of habitat environment disturbance and their ecological and food intake characteristics reflected that disturbance. Muskrat traces were high in hydrophyte vegetation, which can be used as a hideout in open waters and where the growth of both floating leaved plants and floating plants are prevalent. Since international invasive muskrats have already settled in the domestic ecosystem and there is concern about their proliferation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a preemptive response and scientific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