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편의성

Search Result 1,89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Component-Based Software)의 사용편의성 평가방법론

  • Kim, J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447-450
    • /
    • 2011
  • 현대 사회의 소프트웨어 사용편의성 평가는 기존의 사용편의성 평가 방법론들보다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들이 나와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한 체계적인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사용편의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의 사용편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측면인 수행도와 정성적인 측면인 사용자 만족도를 모두 고려하게 된다. 사용자 만족도에는 감성, 학습성, 가시성으로 구성되고 수행도는 효율성과 효과성으로 구성된다.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nience Evaluation Tool for Mobile VR Device (모바일 VR 디바이스의 사용편의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Ji-Young;Jang, Joong-Si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221-228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design of mobile VR devices use in a way binds smart phones. Research on traditional mobile VR devices is insufficient. So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on users 100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status of mobile VR devi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use was significantly lowered, and countermeasures were needed. Then, a second survey of 30 Heavy Users was conducted to find out specific usability and problems of mobile VR devices. Through this, problems, ease of use, and other opinions of mobile VR devices were fou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ct, and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was urgent due to low satisfaction with wearing and network.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ame respondents. As with the problems derived first, problems such as wearing satisfaction, excessive head weight for long-term use, and lack of content could be fou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sisting of 6 experts derived the ease of use evaluation element. It consists of elements that can satisfy the convenience of use of mobile VR devices for creation, wearing satisfaction, network, morphology, learning, and spatiality, and has a total of 26. Using this evaluation elements, it is intended to provide better ease of use to users who will use the mobile VR device.

A Study on the Ease of Use of Open Source-based Knitting Machine User Interface Design (오픈소스기반 니팅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

  • Jo, Jae-Yoon;Nam, Won-Suk;Jang, Joong-Si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3
    • /
    • pp.187-194
    • /
    • 2020
  • This paper is a study to improve the usability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open source-based knitting machines. Based on the analysis, FGD was conducted to derive considerations and to evaluate the evaluation factors based on the derived contents. Based on the evaluation principles derived, tasks were created for each UI (user interface) situation to measure execution time and error frequenc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model C has the highest user-friendliness in terms of learning, conciseness, cognitive fitness, convenience, state maintainability, and intuition. Ease of use will be improved.

Analysis of Future IDF Curves Using Various Bias Correction Method (다양한 편의보정 기법을 이용한 미래 IDF곡선의 분석)

  • Kim, Sangdan;Kim, Kyungmin;Lee,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3-323
    • /
    • 2018
  • 최근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미래 기후모델자료를 기반으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후변화가 적용된 자료는 미래 수자원관리, 방재를 위한 수공구조물의 설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무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모델로부터 모의된 결과는 어느 정도 관측자료와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계통적 오차는 모델 내부에서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후모델로부터 모의된 결과를 보정하기 위해 편의보정 기법을 활용한다. 그리고 미래 기후모델자료는 불확실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편의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의 범위를 확인해 보았다. 사용된 편의보정 기법으로는 Quantile Mapping(QM), Quantile Delta Mapping(QDM), Detrended Quantile Mapping(DQM), Delta Change Method(DCM)을 이용하였다. 편의보정에 적용한 확률분포형은 일반극치분포(GEV분포), Type-1 극치분포(Gumbel분포)를 사용하였다. GEV분포를 기본으로 하여 조건적으로 GEV분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Gumbel분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전지구기후모델(Global Climate Model, GCM)인 MPI-ESM-LR에 RCP 8.5 사나리오를 강제장으로 하여 지역기후모델(Regional Climate Model, RCM)인 WRF를 이용하여 동역학적으로 다운스케일한 강우자료를 사용하였다. 강우자료 중에서 강릉, 인천, 부산, 목포지점에 해당하는 자료를 추출하여 연 최대 강우강도 시계열을 산정하고 4가지 편의보정 기법을 이용하여 편의보정을 하였다. 편의보정 수행된 연 최대 강우강도 시계열을 scale-invariance 기법으로 다운스케일하여 미래 IDF곡선을 유도한 뒤, 편의보정별로 유도한 IDF곡선의 비교를 통해 편의보정기법이 미래 IDF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어선원 조난위치 발신장치의 사용편의성 분석

  • Mun, Jeong-Hwan;Hwang, Jin-Ik;Yun,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16-317
    • /
    • 2018
  • 어선원의 고령화와 1~2인 조업선의 증가로 인해 해상에서 추락 등의 인명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어선원의 조난위치 발신장치 사용에 필요한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한 설문분석을 실시했다.

  • PDF

Assessing the Impact of Bias Correction on Runoff simulation according to CMIP6 GCMs climate (CMIP6 GCMs 기후에 따른 유출 모의에 대한 편의보정 방법의 영향 평가)

  • Seung Taek Chae;Jin Hyuck Kim;Eun-Su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91-91
    • /
    • 2023
  • General circulation models(GCMs)은 여러 국가 기관들의 물리적 기후 모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과거 및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현재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이다. 그러나 GCMs에 내포된 여러 불확실성 요소 및 넓은 격자형식의 기후 데이터는 GCMs 기후 데이터를 사용한 지역적 기후 모의 시 주요 걸림돌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편의보정 방법은 GCMs을 사용한 지역적 기후 모의 시 기후 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연구에서 사용되어져 왔으나 다른 연구에서는 이러한 편의보정 방법의 문제점을 언급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의보정 방법이 GCMs 기후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더 나아가 GCMs 기후 변수에 따른 유량 모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대상지 과거 기간 기후 모의를 위해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CMIP)6의 GCMs을 사용했으며, 미래 기후 모의를 위해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SP) 시나리오를 사용했다. 편의보정 방법으로는 분위사상법을 사용했으며, 편의보정 전후 GCMs 기후 모의 성능평가를 위해 5개 평가 지표를 사용했다. 연구대상지 장기 유출 모의를 위해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이 사용되었으며, 기후 입력 자료로는 일 단위 강수량, 최고 및 최저온도를 고려했다. 미래 기후 및 유량 모의 결과의 불확실성은 square root of error variance(SREV) 방법을 통해 정량화됐다. 결과적으로 과거 기간 GCMs 기후 및 유량 모의성능은 편의보정 전보다 편의보정 후에서 향상되었으며 특히, 강수 및 유량 모의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미래 기간의 경우 편의보정 후에서 기후 및 유량의 극값을 더 잘 반영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GCMs 기후 변수를 사용한 지역적 기후 및 유량 모의 시 편의보정 방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The PUI design evaluation principles of EBD is helpful in the dermatology clinic (사용편의성 향상을 위한 피부과 에너지베이스디바이스의 PUI 디자인 평가원칙 연구)

  • Jeong, Je-Yoon;Lee, Hae-Jin;Nam, Won-S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4
    • /
    • pp.141-149
    • /
    • 2021
  • In the case of an energy base device (EBD), which is used for treatment in dermatology, it is difficult to access it as a design, and because the range of users is narrow, there is a lack of research data 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This study is a research paper that analyzes the problems and needs felt by doctors and nurs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of dermatology EBD, and seeks directions for improvement. After identifying the types and components of EBD through literature and observational research. Problems of each component of EBD were identifie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use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 targeting users. After that, through a group discussion of experts, the principle of evaluating the usability of PUI design of Energy Base Devices was derived. The EBD's PUI design usability evaluation principle derived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EBD design, and is expect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EBD to be designed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Effects of Ubiquitous User Satisfaction;Strategy for Ubiquitous System Venture Company (유비쿼터스 시스템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유비쿼터스 시스템 벤처기업을 위한 전략)

  • Ku, Gyo-Bong;Ham, Yoon-Sa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 no.1
    • /
    • pp.71-90
    • /
    • 2006
  • This paper is purpose to research system use, ubiquitous convenience considering ubiquitous system and system use, ubiquitous convenience considering us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system use was signification influenced by system quality, instantly connectivity, and user satisfaction use was signification influenced by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But system use was not signification influenced b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and ubiquitous convenience was not signification influenced by service quality, instantly connectivity.

  • PDF

The Impact of User Perception on Usag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 (기술제품에 대한 사용자 지각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적 태도와 저항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

  • Kim, Hye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78-285
    • /
    • 2008
  • 기술발전에 따른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유용성과 편의성을 중심으로 그 수용 및 저항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보아왔다. 그러나 소비자 혹은 사용자들이 느끼는 혁신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태도와 평가는 수용하려는 측면과 저항하려는 측면이 동시에 작용하며 그 결과로서 사용의도 혹은 구매의도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제품 혹은 서비스가 갖는 다양한 속성을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에서의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과 지각된 편의성 (Perceived Ease of Use) 개념을 사용자 지각에 기초하여 상대적 이점, 유용성, 편의성, 기술혁신성, 사용법의 변화 인식, 위험지각 등으로 구체화하고 각각의 개념이 수용적 태도와 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수용적 태도와 저항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분석 및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관리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PDF

Notch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Rock Fracture Toughness (암석의 파괴인성계수와 균열감응도의 해석)

  • 백환조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7 no.2
    • /
    • pp.143-149
    • /
    • 1997
  • 암석의 파괴인성계수(fracture toughness)는 균열의 성장에 대한 암석의 저항을 나타낸다. 실험실에서 측정한 파괴인성계수는 일반적인 암석의 불균질성이나 이방성 외에도 시험편의 형상이나 하중조건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제한된 수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된 파괴인성계수는 자료의 분산이 심하므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 문제가 된다. 균열감응도란 파괴인성계수의 측정에 사용되는 시험편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지수로서, 시험편의 파괴가 균열의 성장에 의한 것인지, 혹은 인장강도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이러한 균열감응도를 파악하여 암석의 파괴인성계수 측정에 유효한 시험편의 크기나 초기균열 길이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실험실에서 측정된 차괴인성계수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암석의 파괴인성계수의 측정에 흔히 사용되는 몇 가지 형태의 시험편들에 대하여 균열감응도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초기균열 길이의 범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