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친화적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Logical Sensor Framework For Recommendation In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에서 추천을 위한 Logical Sensor의 설계)

  • Kim, Doo-Hyeo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149-151
    • /
    • 2012
  • 최근 상황인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컨텍스트 수집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사용자의 컨텍스트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컨텍스트는 물리적 컨텍스트(Physical Context)와 소프트 컨텍스트(Soft Context)로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물리적 컨텍스트만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실제로 동적인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정확하게 유추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프트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Logical Sensor를 설계 및 구현한다. 여기서 Logical Sensor는 소프트 컨텍스트를 통해서 사용자의 소셜 네트워크나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로그데이터를 남긴다. 이렇게 얻은 로그데이터는 통계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나 소셜 네트워크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시간이나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이나 통화상대등을 추천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Logical Sensor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특화된 서비스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고품질 휴먼융합형 파노라마 서비스

  • Lee, In-Jae;Jo, Yong-Ju;Gi, Myeong-Seok;Im, Seong-Yong;Lee, Hui-Gyeong;Cha, Ji-H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6
    • /
    • pp.11-20
    • /
    • 2011
  • 근래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광범위하게 소비됨에 따라 단방향의 평면적 콘텐츠가 제공하는 시점의 한계에서 벗어나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시점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는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감형 콘텐츠 중 하나인 파노라마 영상은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이어 붙여 넓은 시야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증대된 현장감과 몰입감을 제공하며 사용자 시점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게 파노라마 서비스를 제공할 때 마우스, 리모콘과 같은 정형적인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손쉽게 파노라마 공간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기술이 함께 제공된다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현실감과 몰입감은 배가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존하는 파노라마 기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 상기 기술들의 결합을 통해 보다 사실적인 미디어 소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고품질의 휴먼융합형 파노라마 서비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User Friendly Visual Secret Sharing Scheme (사용자 친화적인 시각 비밀 분산 방법)

  • Yoon, Eun-Jun;Lee, Gil-Je;Yoo, Kee-You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5
    • /
    • pp.472-476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ple and user friendly visual secret sharing scheme based on binary image. The proposed scheme is a new information hiding method which uses only bit-wise exclusive-or (XOR) operation and NOT operation to share a secret binary image information in the user friendly binary images. The proposed scheme has the following merits: (1) It provides efficient embedding and reconstruction algorithms. (2) It provides lossless and perfect reconstruction of the secret binary image. (3) It provides the detection method of its own group by sharing the user friendly image. (4) It can share same sized secret image such as original cover image unlike previous methods.

Context Information Based Application Recommend System Using Application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사용정보와 상황정보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 Shin, Jae-Myoung;Kim, Jong-Hyun;Choe, Hwa-You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d
    • /
    • pp.38-40
    • /
    • 2011
  • 최근 상황인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컨텍스트 수집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사용자의 컨텍스트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이 가능하다. 컨텍스트는 물리적 컨텍스트(Physical Context)와 소프트 컨텍스트(Soft Context)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 가지의 컨텍스트를 조합하면 사용자의 취향과 상황 그리고 생활 패턴 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기반을 둔 로그 수집 방법과 분석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소프트 컨텍스트와 물리적 컨텍스트의 조합으로 생성한 통계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에게 친화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용 횟수에 따른 분류 등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활용패턴을 통계정보로 나타내준다.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개인에게 가장 알맞은 스마트폰 환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활용 패턴 및 통계정보도 숙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밀접한 스마트폰 활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정보 기반의 로그 분석과 수집,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추후 상황인지 및 사용자의 특화된 서비스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Decision Tree Based Application Recommendation System (의사결정트리 기반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 Kim, Doo-Hyeong;Shin, Jae-Myong;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140-142
    • /
    • 2012
  • 최근 상황인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컨텍스트 파악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서 스마트폰의 컨텍스트 파악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각종 친화적 서비스 모델이 많이 생겨 나고 있다. 사용자의 경로 추론, 실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파악, 사용자 위치기반 편의시설 추천 등이 그 예이며, 그 중 애플리케이션 추천은 대표적인 서비스라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추천은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사용내역을 로그 데이터로 만들고,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텍스트에 따라서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추천을 해주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로그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통계를 통해 추천이 가능하지만, 로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의사 결정 트리를 만들게 되면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추천이 가능하며 적은 로그 데이터로 더 많은 컨텍스트에 적용하여 추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컨텍스트 추출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트리를 만들어 앱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컨텍스트 수집 방법과 추론모델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은 추후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ocument System based On Smart Client Application (스마트 클라이언트 응용을 이용한 문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593-596
    • /
    • 2006
  • 최근 스마트 클라이언트 기술에 대한 관심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이뤄지는 입력, 출력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저장되며, 이와 같은 정보 전달을 위해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다. 그러나 웹 브라우저는 단지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이를 받아본 사용자는 브라우저 자체의 기능 미비로 인해 페이지의 내용 또는 하이퍼링크를 탐색하거나 입력, 수정, 삭제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용도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양식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발자의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브라우저 보다 기능과 인터페이스 구성이 뛰어난 스마트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비이민비자 신청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을 구성하는데 비용이 적게 들었고 스마트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배포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보안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 PDF

LED Board Optimization Design for User-Friendly System Configuration (사용자 친화적 시스템 구성을 위한 LED 보드 최적화 설계)

  • Ju-An Park;Chang-Woo Han;Hui-Sang Yoo;Boong-Joo L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8 no.5
    • /
    • pp.859-866
    • /
    • 2023
  • This paper focuses on configuring a user-friendly system of LED systems by applying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gamma correction, non-flicker, and driving noise removal using MCUs and LED drive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22kHz PWM mode of the LED driver generated noise outside the audible frequency range, making it practically imperceptible to users. The appropriate pull-up resistor values within the normal operating delay ratio of 5% were found to be 1kΩ to 10kΩ for the 3kHz PWM mode and 1kΩ to 2kΩ for the 22kHz PWM mode. In addition, gamma correction can be optimized for nonlinear human visual systems to express accurate contrast and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develop an LED system that can be expressed more naturally and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LED systems and improve users' visual experience.

Ontology Based User-centric Service Environment for Context Aware IoT Services (상황인지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 Choi, Hoan-Suk;Lee, Jun-Young;Yang, Na-Ri;Rhee, Woo-Seo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29-44
    • /
    • 2014
  • To provide context aware service, certain phenomena and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hould be detecting and monitoring using sensors. But, the sensor data has heterogeneity about system, syntax, structure, and semantics. So, it is difficult to apply to various services. To solve this issue, we should remove these heterogeneities and convert to context information that is easy to provide context aware services. Also, the existing context aware service mash-up environment require relevant sensor type, criteria of context, programing ability to define the service situation. So, it is difficult to create service for a non-technical user. Therefore, we propose ontology based user-centric service environment to provide context aware IoT services. It provide context awareness and user-desired services using data that acquired via IoT paradigm. The proposed environment consist of the ontology based semantic sensor data processing and the user-centric service environment. It provide convert the object data to the context information and service mash-up process to create user service in easy wa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PU Based Time-Variant Volume Rendering Program and User-Friendly Transfer Function Editor (GPU 기반의 Time-Variant 볼륨 렌더링 프로그램과 사용자 친화적인 전이함수 에디터의 설계 및 구현)

  • Lee, Joong-Youn;Hur, Young-Ju;Koo, Gee-Bu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25-1030
    • /
    • 2007
  • 여러 학계와 산업계로부터 인체영상과 같은 정적인 볼륨 데이터뿐만 아니라, 유체 흐름과 같은 동적으로 움직이는 Time-Variant 볼륨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렌더링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Time-Variant 데이터는 그 크기가 정적 볼륨 데이터의 수배에서 수백 배에 이르러, 이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한편, PC 그래픽스 하드웨어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슈퍼컴퓨터나 다수의 컴퓨터들을 이용한 병렬/분산 렌더링으로나 가능했던 Time-Variant 볼륨 데이터의 실시간 볼륨 렌더링을 한대의 일반 PC에서 수행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GPU의 꼭지점 및 프래그먼트 쉐이더(vertex & fragment shader)는 수치 계산에 최적화된 벡터 연산과 사용자 프로그래밍 기능으로 빠른 볼륨 렌더링을 일반 PC에서도 가능하게 했다. 본 논문에서는 GPU를 이용해서 Time-Variant 볼륨 데이터를 빠르게 가시화하고, 이렇게 개발한 GPU 볼륨 렌더링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해야 하는 전이함수를 최대한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전이함수 에디터에 중점을 두었다.

  • PDF

A Method of User-Friendly Design Fiction Applying Affordances (어포던스를 활용한 사용자 친화적 디자인 픽션 방법론)

  • Lee, Ji-Hy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
    • /
    • pp.129-138
    • /
    • 2021
  • This study suggests user-friendly design fiction method applying user-centered design process. Design fiction is a method that predicts futures from design perspective with critical discourses and physical representation. It has been regarded importantly in HCI and interaction design realms as aesthetical and experiential approaches, yet not firmly established. Especially, it has not been considered from user-centered perspective which considers users and related problems. Anticipatory design based on current problems which predicts futures and defines design-oriented scenario is becoming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regards design fiction method in relation to prior design also should consider user-centered perspective, not just experimental approach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tries to apply user-centered process, specifically affordances which lead more intuitive and direct impact on users into conventional design fiction process. This study led junior students in visual communication major into design fiction process with specific topics and the Design with Intent Toolkit amongst practices of creating affordances so as to develop new design fiction process with its diverse outcomes. Throughout the proces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 user-friendly design fiction method beyond its critical and experiential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