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설문

Search Result 1,308,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Usability questionnaire items suitable to online user survey (온라인 사용자 조사에 적합한 사용성 설문 항목의 특성 정의)

  • Park, Sang-Hyun;Heo, Jeong-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08-312
    • /
    • 2006
  • 온라인 사용자 조사는 전통적인 사용자 조사 기법의 단점인 높은 사용자 평가 비용, 긴 조사 기간, 평가 장소의 제약 및 사용자 대표성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온라인 특성 상 동시에 수백명의 응답자가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조사 기간을 단축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많은 응답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응답자가 편리한 공간에서 응답자 스스로 질문을 읽고 응답하기 때문에 생각할 여유를 더 많이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전통적 사용자 조사 기법의 대안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의 발전으로 실제 제품 사용 사례를 사진으로 보여주거나 사용자가 직접 조사 시스템상의 에뮬레이터 활용을 통해 직접 제품사용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어 평가 영역 또한 기존 직접 평가와 거의 유사하게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 응답자에 대한 신원확인 및 온라인 상에서 성실과 활동 수행 등 온라인 사용자 조사시의 신뢰도를 보장한 수 없다는 점과 온 라인 사용자 조사의 수행 결과가 기존의 직접 평가수행 결과와 동일한지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것이 온라인조사시스템 활용의 가장 큰 제약이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사용자 조사의 효용을 높일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온라인 설문 조사에 적합한 휴대폰의 사용성 문제 특성을 정의하고, 특성에 대해 효과적인 조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고려 요소들을 기술하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설문 조사가 기존 전통적 조사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효용을 가진 조사 기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주기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사용자 조사에 적합한 설문 항목의 특성을 정의 및 확장하고자 한다.

  • PDF

CTP 사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 Yun, Jae-Ho
    • 프린팅코리아
    • /
    • s.25
    • /
    • pp.36-41
    • /
    • 2004
  • 지난해 말까지 전국에 보급된 CTP 장비는 총 105대. 사용자들은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그리고 개선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창간 2주년 특집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방식은 전화와 팩스, 그리고 직접 방문을 통해 실시했으며, 대상은 지난해 말까지 CTP 장비를 도입한 업체를 기준으로 했다. 이 중에서 국가기관에 보급된 8대와 신문사 및 기타 업체에 보급된 5대는 이번 설문조사에서 제외되고 85개 업체(회수80개 업체) 92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PDF

Web Survey Authoring Tool Using Visual Programming (시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인터넷 여론조사 저작도구 구현)

  • 유동영;최종명;최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261-263
    • /
    • 1998
  • 인터넷 급속한 발전은 사용자들에게 웹을 통해서 다양한 설문조사를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 사용자가 웹을 통한 설문지 작성하기 위해서는 웹에 대한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고, 전문지식까지 요구된다. 사용자들은 사용하기 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프로그램을 원하기 때문에 시각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는 WYSIWYG 방식의 저작도구가 필요하다. 시각 프로그래밍 기법은 프로그램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이해하기와 배우기 쉽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지 저작도구로서 시각 프로그래밍기법을 이용한 WAST(Web Survey Authoring Tool)를 구현하였다. WAST는 설문지를 작성할 때 편의성과 신속성을 제공하여 설문지 작성의 효율성을 높이는 설문지 저작도구이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Survey System Construction for the Internet Environment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조사를 위한 디자인 서베이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오기태;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08-109
    • /
    • 2000
  • 최근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인터넷 설문조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인터넷 설문조사는 적은 비용, 편리성, 짧은 설문기간 등의 장점을 갖고있지만, 전통적인 설문조사방법과 매우 다른 매체특성을 가지며 리서치 도구로서의 문제에 대한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Focused on Google and Naver form- (온라인 설문조사 사용자 경험 연구 -구글과 네이버 폼을 중심으로-)

  • Hwangbo, Yeon;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379-384
    • /
    • 2019
  • This study is an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ser experience research to make use and development of online survey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native Koreans who were not experienced with Naver and Google, and were surveyed using Peter Morville's Honeycomb model. In addition, we performed evaluation through tasks and think-aloud. Naver is highly useful, usable, desirable and findable, and Google can confirm its superior accessible and flexible. Research has shown that improvements in usability and ease of functioning are needed by reclassifying and moving menu categories. Online survey user experience that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can predict the direction of usability improvement and can help the user side.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improve the usability of online surveys, and will lead to various related research.

The Analysis of Website Service Evaluations by Users and Providers (사용자와 제공자간의 웹사이트 서비스 평가차이 분석)

  • Kim, Jin-Hwa;Byeon, Hyeon-Su;Im, O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3-210
    • /
    • 2008
  • 본 연구는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와 제공자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 분석한 후 이를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해 웹사이트의 개선을 위한 전략의 도출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사용자와 제공자간의 인식차이 분석을 위하여 기존 문헌 연구를 통해서 웹사이트 개선을 위한 웹사이트의 평가 요인과 항목을 중심으로 인터넷 서점 사이트를 연구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문항으로 사용자와 제공자에게 각각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용자와 제공자 각각의 응답을 통계분석을 통해 비교하고 그 차이를 확인한 후 조하리 창(Johari Window)을 바탕으로 인식차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웹사이트의 개선을 위한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 사용자와 제공자간 인식차이가 상이하게 나타난 설문 항목에 대해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하여 응답 데이터에서 규칙을 도출해내고 이를 기반으로 웹사이트 사용자와 제공자간 인식차이 분석을 통한 웹사이트 개선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Design of Questionnaire Logic in Active Documents (능동문서 기반의 설문지 로직 설계)

  • Jang, Seon-Ah;Yang, Jae-Gun;Bae, Jae-Hak J.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45-946
    • /
    • 2009
  • 현재의 컴퓨터 설문 시스템은 설문의 규칙이나 처리절차들을 하드코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설문이 변경되면 처리엔진을 수정해야 한다. 이것은 설문 처리엔진이 설문에 종속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약점을 해결하고자 능동문서 모델을 이용하여 설문으로부터 처리엔진을 독립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능동문서 기반의 설문지는 컨텐츠, 로직, 지식베이스(사용자 응답), 질의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로직은 다양한 질문유형에 대한 처리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서 어떤 설문 설계자도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로직은 직관적으로 서술할 수 있고 실행가능 하도록 XML 형식의 규칙 마크업 언어인 ERML로 표현하였다. ERML로 작성된 로직은 Prolog로 변환된 후 추론기에 등록되며, 사용자 응답에 따라 설문을 제어하고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질문유형을 ERML로 구현하고 설문 시스템(WINAD: The Web Interview System with Active Documents)에 적용한 실험 결과 설문으로부터 처리엔진을 독립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Digital Camera Use Pattern Survey and Analysis (디지털 카메라 사용패턴 조사 및 분석)

  • Kim, Dong-Chul;Park, Chun-Seok;Lee, Se-In;Seo, Jong-Hoon;Han, Tack-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58-262
    • /
    • 2007
  • 최근 디지털 사진 시장은 블로그와 UCC 라는 트랜드와 함께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디지털 사진의 장점과 기기 가격의 하락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에 따라 촬영된 방대한 사진자료의 검색과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급속도로 확장된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사용자에 대한 사용 패턴 조사와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시장 업계의 동향과 하드웨어적인 측면을 조사하고, 온라인 설문을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총 34 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패턴을 조사하였다. 저장 매체를 설문하는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2%에 달하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HDD를 주된 저장매체로 사용하고 있었고 CD나 DVD는 12%, 인화하여 보관하는 경우는 6%에 그쳤다. 보관되고 있는 사진의 용량을 조사하는 설문에서는 약 35%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의 10GB에 달하는 사진을 보유하고 있었고, 주로 찍는 화소로는 약 41%의 사용자가 300만 화소로 촬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패턴 분석과 설문 자료 결과를 통하여 사진 관련 커뮤니티나 포털 사이트를 기획하거나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카메라를 설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Menu Customization on Mobile Phone - Focused on designing UI of "My menu" in Mobile phone for children (휴대폰에서의 사용자 맞춤형 메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아동사용자를 위한 My메뉴의 UI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 Jo, Shin-Ah;Kim, Hyun-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45-352
    • /
    • 2007
  • 오늘날 휴대폰은 20~30대의 젊은 사용자 층뿐 아니라, 고령사용자 및 아동사용자들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게 되었다. 이렇게 사용자층은 다양해지고 있으나, 휴대폰 제조사들은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인지능력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진 못한 채, 20~30대의 젊은 주 사용자 층을 기준으로 디자인하고 있다. 특히, 하드웨어적인 디자인 측면에서는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시도는 거의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 따른 유동적 인지능력 및 요구사항, 감성에 맞는 맞춤형 My메뉴(Menu)를 설정할 수 있는 휴대폰 UI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주 사용자 층과는 다른 사용패턴을 보이는 어린이들을 위한 개인화된 My메뉴를 설정하는 인터랙션 UI 디자인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먼저, 문헌과 사례분석으로 통해 기존 휴대폰 제조사와 서비스 사업자들의 메뉴 개인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어린이들의 사용 패턴과 메뉴의 사용 빈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자 조사 방법을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 2006년 7월말부터 8월 10일까지 2주에 걸쳐, 만 9세~12세의 초등학교 아동사용자 남여 10명을 대상으로 휴대폰 사용의 전반적인 특성과 사용행태을 파악하고, 환경설정 및 주 사용메뉴를 조사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1차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번 설문에서는 주 사용메뉴가 무엇이며 사용빈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 선호하는 메뉴형식과 용어의 어려움은 없었는지를 파악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대기화면에 가져다 놓고 싶은지를 물어 직접적인 휴대폰 대기화면의 사용여부를 파악하였다. 2006년 12월 일주일동안, 1차 인터뷰의 아동사용자와 동일한 연령대의 아동사용자 남여 총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더욱 정량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연령과 성별에 따라 기본 디폴트 My메뉴(Menu)를 제공하는 방법, My메뉴의 항목과 우선순위, 테마를 설정하여 개인화하는 UI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사용자를 대상으로 휴대폰의 소프트웨어 UI 중 메뉴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과 인터랙션을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UI 개인화 시도는 다양한 사용자 계층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써 사용자 만족과 사용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PDF

User Requirements for Personal Media Management Software (개인용 미디어 관리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

  • Seo Hee-Cheol;Kim Hyun-Ki;Jang My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124-126
    • /
    • 2006
  • 본 논문은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문서, 이미지, 오디오, 동영상 등의 미디어를 통합 관리하는 개인용 미디어 관리 소프트웨어의 필요성, 기능, 인터페이스 등에 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리한다. 사용자 요구사항은 사용자 설문을 통해서 조사되었으며, 설문에는 사용자 환경과 개인용 미디어 관리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기능, 인터페이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사용자 요구 사항에서 사용자들은 다수의 미디어를 컴퓨터에 저장하고 있으며,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으로 미디어 분석, 분류, 검색, 재생 기능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들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핸드폰, PDA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도 개인용 미디어를 관리하고자 한다. 인터페이스에서는 키보드와 마우스 입력과 함께 모바일 기기를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