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반응 평가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User's Fatigue Difference between Standard Mode and Theater Mode in LCD (LCD에서의 시청모드별 피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Young-Joo;Whang, Min-Cheol;Kim, Jong-Hwa;Park, Kang-Ryoung;Ko, You-Jin;Lee, Eui-Chul;Cho, Sun-Hee;Kim, Hye-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839-842
    • /
    • 2008
  • 본 연구는 LCD 패널에서 시청모드별 사용자의 피로도 차이에 대한 연구이다 LCD 사용에 따른 사용자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감성 공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시청모드에 따른 사용자 피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은 34명의 대학생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같은 동영상 조건에서 각각 영화모드와 표준모드를 60분간 시청하게 하였다. 시청 시의 피로도를 알아보기 위해 생리신호 반응(GSR, PPG, SKT), 눈 움직임(동공의 확대 축소속도, 눈 깜박임률) 및 주관적 피로도(긴장도, 쾌적도,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관적인 평가와 생리 반응에서 영화모드가 표준모드보다 더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눈 움직임 반응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 PDF

Garden Alive : An interaction-enabled intelligent garden (Garden Alive : 상호작용 가능한 지능적인 가상 화단)

  • Ha, Tae-Jin;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59-561
    • /
    • 2005
  • 본 논문은 사용자가 감각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가상공간의 지능적인 화단을 체험, 체감 할 수 있는 시스템(Garden Alive)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카메라, 조도, 습도 센서를 갖춘 현실공간의 화단과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감각형 인터페이스, 진화모듈과 감정모듈을 갖춘 인공지능 모듈, 그리고 가상식물의 성장과 반응을 보여주는 Virtual Garden으로 구성된다. 감각형 인터페이스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고, 조도센서로 광량을 확인하여, 습도센서로 물의 양을 측정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모듈은 식물의 진화 방향과 감정상태의 변화를 결정한다. Virtual Garden은 L-system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가상식물들은 실제 식물들과 유사한 형태로 성장하도록 한다. 제안된 Garden Alive에서 화단의 식물들은 각각의 개체마다.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식물의 다양성을 볼 수 있고, 빛과 수분 등의 환경요인에 따른 적합도를 평가함으로써 세대를 거듭함에 따라 진화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순히 자극에 반응하는 식물이 아닌 사용자와 상호작용에 따른 식물의 감정 변화를 통해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지능적인 식물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오락과 교육을 위한 콘텐츠, 사용자에 따른 개별적 반응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 PDF

Improving the satisfaction value using the decision criteria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er (기상정보 사용자 의사결정 기준을 활용한 만족가치 개선)

  • Kim, in-gyum;Kim, hye-min;Ha, jong-chul;Kim, jeo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63-64
    • /
    • 2018
  • 강수확률예보에 대한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만족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7년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도입하고, 예보의 가치평가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 온 가치스코어를 만족도 평가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예보사용자들은 확률예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임계확률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예보라도 분석 시기에 따라 사용자의 불만족 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를 적절히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분석 기간 및 연령에 따라 사용자들의 의사결정 기준인 확률예보의 임계확률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일부 사용자 그룹의 만족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asic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Sound in Home Appliances (가전제품의 정보음 표준화 기초연구)

  • 김원식;조문재;김교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49-5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전제품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적절히 알릴 수 있는 정보음의 적합성 평가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와 주부들을 대상으로 가전제품의 사용실태를 분석하였으며, 고령자들도 알아듣기 쉽고 생활소음에 mask 되지 않으며 들어서 쾌적하도록 1, 1.6, 2, 3, 4 kHz의 완전 5도화음으로 구성된 정보음을 제작하여, 평균발음빈도(F)가 1.67 Hz인 그룹과 0.91 Hz인 그룹의 Attac(A)과 Decay(D)를 변화시켜 A/D의 변화에 따른 단순반응시간을 측정한 결과 F가 1.67Hz 그룹에서 A/D가 작을수록 단순반응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F가 1.67Hz와 0.91Hz의 수준에 따른 단순반응시간 차이검증 결과 p < 0.001 수준에서 유의미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요인분석결과 첫 번째 요인은 긴박성요인, 두 번째 요인은 명료성 요인, 세 번째 요인은 역능요인, 네 번째 요인은 평가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Aesthetical Perception and Pleasure on the Effect of Website Graphic Style (웹사이트 그래픽이미지 스타일이 미적감성과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 Zhang, yi-jun;Kim, Se-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41-342
    • /
    • 2013
  • 본 연구는 사용자의 그래픽이미지 스타일에 따라 미적 감정(고전미와 표출미)과 즐거움을 평가하는데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또한 이때, 성별 차이가 웹사이트 사용자의 미적 감정반응과 즐거움 평가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Feedback Types on Users' Subjective Responses in a Voice User Interface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피드백 유형이 사용자의 주관적 반응에 미치는)

  • Lee, Dasom;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219-222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feedback type on users' subjective responses in a voice user interface. Feedback type is classified depend on information characteristic it involves; verification feedback and elaboration feedback. Error type is categorized as recognition error and performance error. Users' subjective assessment about system, feedback acceptance, and intention to use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ed that feedback type has impacts on the subjective assessment(likeability, habitability, system response accuracy) of VUI, feedback acceptance, and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an interaction effect of feedback type and error type on the feedback acceptance.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VUI should be designed with the elaboration feedback about error situation.

  • PDF

User Evaluation of Encountered Type Haptic System with Visual-Haptic Co-location (시각 - 촉각 일치된 마중형 햅틱 제시 시스템의 사용자 평가)

  • Cha, Baekdong;Bae, Yoosung;Choi, Wonil;Ryu, Jeha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13-20
    • /
    • 2019
  • For encountered haptic display systems among the virtual training systems for industrial safety, visual-haptic co-location is required for natural interaction between virtual and real objects. In this paper, we performed the user evaluation of the immersive VR haptic system which implement some level of visual-haptic co-location through a careful and accurate calibration method. The goal of the evaluation is to show that user performance (reaction time and distance accuracy) for both environment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ertain tasks performed. The user evaluation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ction time but the absolute difference is less than 1 second. In the meantime, the distance accuracy shows no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and the actual environmen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haptic virtual training system can provide inexpensive industrial safety training in place of costly actual environment.

The Effect of Us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AI Cashierless Store Service on Revisit Intention through Emotional Response (AI 활용 무인 매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특성이 감정반응을 통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Noh Hyeyoung;Sinbok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791-800
    • /
    • 2024
  • The cashierless store, which is rapidly spreading with the development of AI, is providing new shopping experiences to customers. However, the existing retail service research mainly focused on evaluation based on employees (peopl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services by reorganizing these service evalu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ashierless store.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servic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AI cashierless store on customers'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was identified, and th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AI cashierless store had some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 cashierless store service experience induces revisiting, but the negative emotional response hinders revisi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I cashierless store services.

Proposal of Evaluation Model for Measuring of GUI Quality of Experience(QoE) of Smart devices (스마트 디바이스의 GUI 체감품질 정량화를 위한 평가모델 제안)

  • Lee, Chang-Geun;Shin, Dong-J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704-1706
    • /
    • 2015
  •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스마트기기의 GUI는 품질 평가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동안 GUI 품질 평가에 대한 연구는 사용성 평가와 같은 주관적 관점의 평가가 대부분 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반응시간, 화면 움직임의 부드러움과 같은 항목으로 GUI의 체감품질을 정량화 할 수 있는 평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Analysis User Action in Web Pages using Ajax technique (Ajax 를 이용한 사용자의 웹 페이지 이용 행태 분석)

  • Lee, Dong-Hoon;Yoon, Tae-Bok;Kim, Kun-Su;Lee, Jee-Hy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528-533
    • /
    • 2008
  • Web page evaluation is important issue in the Internet. Web pages are increasing extremely fast. The web page evaluation based on frequency, like the count of the page view (PV), is not sufficient way even it is used variously. Because users never use the unnecessary or irrelevant web pages for a long time. We concentrated on user's visiting duration time for the evaluation web pages. And we can collect user actions. Users do some action when users using the web page in the web browser. The movements of mouse pointer, mouse button click, page scrolling and so on are produced in the web browser. JavaScript can collect user action and Ajax can send collected data to server when user using the web browser without no user not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