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평형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Field Case Study for the Productivity Analysis of B2 Reservoir, Donghae-1 Gas Field (동해-1 가스전 B2 저류층의 생산성 분석에 관한 Field Case Study)

  • Kwon Sun-Il;Ryou Sangsoo;Kwon Oukwang;Sung Wonm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5 no.1
    • /
    • pp.60-72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user-interactive productivity analysis model based on material balance as well as deliverability equations equipped with EOS model to perform a productivity analysis for Gorae V structure, Donghae-1 gas field. This model is designed to be able to analyse the productivity in the case of reservoir contacting with the aquifer. Als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densation on productions, condensation phenomenon is considered as an apparent skin effect in the computation of bottomhole pressure from average reservoir pressure. By utilizing the developed model, we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analysis for B2 layer of Garae V structure with the various production cases in volumetric and non­volumetric reservoirs that contact with aquifer. From the results in the case of 5500 MMSCF/year of production and reservoir-aquifer contacting angle 270$^{\circ}C$ with aquifer size of 10 times greater than reservoir, B2 layer could maintain peak production rate even after 8.5 years of production by considering the bottomhole pressure which is estimated above the operating pressure of 1298 psia. It is also found that condensate will be formed after 1100 days of production and existed throughout the reservoir at 1270 days. Note that the computed reservoir pressure of B2 layer is maintained sufficiently high enough for production due to the water influx into the reservoir, and skin effect caused by condensation is not significant.

  • PDF

A Study for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 김수희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51-160
    • /
    • 1998
  • 실시간 교통정보 처리과정은 현장설비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교통상황자료를 분석/처리하여 소통상황, 주행속도, 통행시간 등의 교통상황을 단기 예측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주행안내시스템의 핵심요소기술이다. 주행안내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주행안내시스템은 각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정책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단계를 거쳐 시범운영의 단계에 있다. 국내에서도 교통정체의 해소와 안전주행의 연구개발 단계를 거쳐 시범운영의 단계에 있다. 국내에서도 교통정체의 해소와 안전주행의 여건마련을 위하여 교통정보를·처리·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술수준을 보면 전자통신기술을 바탕으로 교통정보의 수집과 제공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으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교통정보의 분석과 처리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수집되는 자료를 종합적으로 처리, 저장,관리하고 이의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교통정보센터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교통정보실험실의 기능은 수집된 교통자료의 신뢰성 분석, 교통정보의 종합적인 처리·저장·관리, 그리고 교통정보의 제공은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교통정보실험실에서 운영중인 정보의 형태를 제시하며, 이들 정보의 신뢰성을 실측자료와 비교한 실험적 결과를 예시한다. 또한, 개별 정보이용자에게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기술의 검토가 이루어진다. 차내 이용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무선통신기술의 응용이 필요하며, 정보이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터넷 통신과 연계시키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결론 부분에서는 교통정보실험실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Si결정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45$\mu\textrm{m}$ 이하의 분말을 섞어 압출하였을 때 가장 작은 초정 Si입자 크기를 얻음 을 볼 수 있었다. 주의 Fairfax County에 소재한 주간 고속도로 66번(I-66)과 인접 교통망의 교통자료를 사용하여 각종 돌발교통 혼잡 상황을 전제로 한 Traffic Simulation과 정보제공시나\리오를 INTEGRATION Model을 이용해 실행하였다. 그 결과 적응형 알고리즘이 개개인의 최단시간 경로를 제공하는 사용자 평형 경로안내전략에 비해 교통혼잡도와 정체시간의 체류정도에 따라 3%에서 10%까지 전체통행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출발참, 구성대외개방선면축심, 실현국제항선적함접화국내항반적전항, 형성다축심복사식항선망; 가강기장건설, 개피포동제이국제기장건설, 괄응포동개발경제발전적수요. 부화개시일은 각 5월 26일과 5월 22일이었다. 11. 6월 중순에 애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is equal to 9% increase in index, as com

  • PDF

Stop-start wave condition에서 연속류 모델의 개발 -단속연속류 모델에 유한한 가속도를 도입하는 방법-

  • 박지영;박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295-295
    • /
    • 1998
  • 고속도로에서 교통류의 특성에 파악하여 교통류의 특성을 파악하여 동적행태로 교통상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제어전략, 시뮬레이션, 그리고 기하구조 개선등의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교통류의 정확한 모사가 필요하다. 시공간으로 표현되는 상태방정식을 포함하는 거시적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되는 연속류 모델은 이러한 교통류 특성을 모사하는데 적절하다. Lighthill과 Whitham(1955), Richard(1956)에 의해 일계도함수의 형태를 가지는 단순모델이 제시된 이후 모델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고계도 모델이 제시되었지만 고계도 모델이 가진 이론적인 결점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들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고계도 모델은 운동량 방정식의 유도, 정산, 구현의 어려움으로 널리 사용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만일 적절히 구현할 수 있다면 적용이 간단한 단순모델로도 보다 정확한 교통류 상황 모사가 가능하다. Ansorge는 혼잡교통류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해 단순모델에 엔트로피 조건을 결합시킨 모델을 제시했다. Bui는 이 제안된 모델이 적절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이 모델은 차량의 재가속이 이루어지는 교통상황-stop-start wave의 경우 비현실적인 값을 가진다. 엔트로피조건에 의해 구해진 해는 실제보다 과다한 교통량을 추정하게 되는데 이런 결과는 위와 같은 교통상황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가속효과가 무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top-start wave 조건에서 가속도에 경계치를 부여하여 교통류율을 상한경계조건을 제시함으로써 교통상황에 맞는 교통류율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환승이라는 특정대안변수(Specific alternative variable)를 첨가하여 그것이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대중교통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지하철과 버스를 하나의 대안으로 묶어서 효용함수를 구한 다음 다시 승용차, 택시, 대중교통을 독립된 대안으로 두고 모형을 정립하는 NESTED LOGIT모형으로 파라메타를 추정하여 대중교통의 효용에 관해 분석·비교하였다. 본 논문에 이용된 자료는 공항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면접조사한 자료이며 대상 교통수단은 승용차, 택시, 지하철, 버스로 설정하였다. 결과 적응형 알고리즘이 개개인의 최단시간 경로를 제공하는 사용자 평형 경로안내전략에 비해 교통혼잡도와 정체시간의 체류정도에 따라 3%에서 10%까지 전체통행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출발참, 구성대외개방선면축심, 실현국제항선적함접화국내항반적전항, 형성다축심복사식항선망; 가강기장건설, 개피포동제이국제기장건설, 괄응포동개발경제발전적수요. 부화개시일은 각 5월 26일과 5월 22일이었다. 11. 6월 중순에 애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

  • PDF

Development of A Material Flow Model for Predicting Nano-TiO2 Particles Removal Efficiency in a WWTP (하수처리장 내 나노 TiO2 입자 제거효율 예측을 위한 물질흐름모델 개발)

  • Ban, Min Jeong;Lee, Dong Hoon;Shin, Sangwook;Lee, Byung-Tae;Hwang, Yu Sik;Kim, Keugtae;Kang, Joo-Hy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345-353
    • /
    • 2022
  •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WWTP) is a major gateway for the engineered nano-particles (ENPs) entering the water bodies.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reported that many WWTPs exceed the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NOEC) for ENPs in the effluent and thus they need to be designed or operated to more effectively control ENPs.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NPs behaviors in the unit and \the whole process of a WWTP should be the key first step to develop strategies for controlling ENPs using a WWTP.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modeling tool for predicting behaviors and removal efficiencies of ENPs in a WWTP associated with process characteristics and major operating conditions. In the developed model, four unit processes for water treatment (primary clarifier, bioreactor, secondary clarifier, and tertiary treatment unit) were considered. Additionally the model simulates the sludge treatment system as a single process that integrates multiple unit processes including thickeners, digesters, and dewatering units. The simulated ENP was nano-sized TiO2, (nano-TiO2) assuming that its behavior in a WWTP is dominated by the attachment with suspendid solids (SS), while dissolution and transformation are insignificant. The attachment mechanism of nano-TiO2 to SS was incorporated into the model equations using the apparent solid-liquid partition coefficient (Kd) under the equilibrium assumption between solid and liquid phase, and a steady state condition of nano-TiO2 was assumed. Furthermore, an MS Excel-based user interface was developed to provide user-friendly environment for the nano-TiO2 removal efficiency calculations. Using the developed model, a preliminary simul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solid retention time (SRT), a major operating variable affects the removal efficiency of nano-TiO2 particles in a WWTP.

The Actual Use of Non-regular Workers and the Strategies of Social Partners in Sweden: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emporary Workers (스웨덴 비정규직의 사용 실태와 행위주체들의 전략: 임시직 사용 방식을 중심으로)

  • Cho, Don-Moo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23 no.1
    • /
    • pp.47-83
    • /
    • 2017
  • The Swedish labor market secures flexibility in the use of labor force by means of non-regular workers such as temporary workers among others instead of regular workers' layoffs. Although the labor law reform in the late 2000s made it easier to use temporary workers and the outbreak of the economic crisis strengthened the power of user firms against labor unions, the size of temporary workers was scaled down.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use of temporary worker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abor law reform and that of economic crisis in that regard, and to explain how, over the use of temporary workers, user firms' strategy to secure flexibility and labor unions' strategy to regulate flexibility interact with each other so as to establish a new equilibrium through conflicts and compromises. The labor law reform to enhance the flexibility in the use of temporary workers failed to entail amendments of collective contracts. Besides, out of the economic crisis, user firms adopted a new policy to use third party workers more, refraining from employing temporary workers. That's why th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has declined eventually. User firms prefer to use third party workers because they could avoid their own responsibility as an employer and they could rely on 'permanent temporary' workers without any time limit. Labor unions, however, responded with a strategy to lay more strict regulations on the use of third party workers, so that third party workers could be used only for limited cause for external numerical flexibility. As a result, the managed flexibility thesis comes to prevail to the usage of non-regular workers in general beyond the category of agency workers. Korea with severe abuse of third party workers should learn from Swedish labor unions' strategy to provide third party workers with stronger employment security and higher wages so as to prevent user firms from abusing third party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