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요인

Search Result 1,93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 of Characterisitcs of Service Quality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Using Mediating Factors of User Expectation and User Utility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에서 서비스품질 속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연구: 사용자기대와 사용자효용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 Jeon, Eun-Seon;Kim, Chul S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6 no.2
    • /
    • pp.1-17
    • /
    • 2021
  • This paper elucidates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ervice quality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using mediating factors of user expectation and user utility. First, we classified independent factors into three types such as service system characteristics, user characteristics, and healthcare service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ree independent factors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Second, we analyzed the impact of two mediating factors, user expectation and user utility, on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We developed a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three types of independent factors, mediated factors of user expectation and user utility, and a dependent factor of continuance usage intention. We surveyed a total of 357 samples from digital healthcare service users and analyzed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results significantly show that Characteristics of Users is essential factor impacting a dependent factor of Continuance Usage Intention.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1) Characteristics of Users including the variables of Innovation impacts User Expectation, and User Expectation affects Users Utility, and Users Utility also affects Continuance Usage Intention. (2) Characteristics of Service Systems including the variables of Functionality, Compatibility, and Convenience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of Innovation variable impact the mediating factor of User Expectation, and User Expectation also affects the factor of Continuance Usage Intention. (3)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Services including the variables of Reliability, Ease of Operation, Safety, and Accuracy impact User Utility, and User Utility also affects Continuance Usage Intention.

A Study on MMORPG Factors in Game User's Motivation : A Game User's Desire Perspective (MMORPG 사용자의 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게임사용자의 욕구 관점에서)

  • Yun, Jae-Sun;Lim, Ch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0 no.1
    • /
    • pp.47-56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MMORPG in user's desire perspective and tried to find specific motivation factors. In research result, character has been separated in user character, another user character, boss monster and support character. And character's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factors: visual attraction, psychological propensity and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about character's motivation factor show that it is significantly different that motivation level and motivation factors from each character. This finding implies that specific motivation factors can serve to make strategy for motivate user's game playing.

Analyzing user satisfaction factors for mobile health apps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자 경험 요인 분석)

  • Kim, Guyeop;Kim, Hyun K.;Shin, Yuan;Park, Gyuwon;Park, Sunyoung;Lee, Yu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9-13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헬스케어 앱의 사용자 경험 요인을 분석하여 제안하는 데 있다. 의료 관련 앱은 주로 의료 서비스 제공자 중심의 기능으로 디자인되어 개인의 서비스 접근성이 낮으며, 데이터 활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개인이 주도적으로 건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 건강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앱 개발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사용 편의성, 사용 만족도, 정보 구조, 유용성, 정보 품질, 심미성 6가지 사용자 경험 요인을 수집하였다. 이후, '나의건강기록' 앱을 대상으로 사용자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모바일 헬스케어 앱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심층인터뷰 결과, 사용자 경험 요인에 정보의 이해용이성 요인이 새롭게 도출되었다. 정보의 이해용이성은 건강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어려움 없이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관련이 높다. 각 도출된 요인은 정보 주체(사용자)의 편의성, 활용성, 유지율을 높일 수 있는 모바일 헬스케어 앱을 디자인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n How to Form Adoptive Intention of MDSS and User Satisfaction (마케팅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채택의도 형성과 사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 Heung-soo Park;Dong-hoon Kim;Seong-ho Ka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2
    • /
    • pp.1-18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마케팅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채택의도를 증가시키는 요소와 실제 시스템의 사용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요소를 발견하여 이러한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적인 문헌조사와 심층 면접의 예비 조사를 통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기업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로 마케팅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채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고객, 제품 경쟁자 등의 의사결정환경의 역동성으로 대표되는 환경요인, 조직규모, 최고경영자의 지원, 인센티브 도입정도 등으로 대표되는 조직요인, 마케팅부서의 독립성, 장기적 마케팅 전략수립정도, 마케팅 스탭수 등으로 대표되는 직무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케팅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하부시스템의 개발정도, 개발형태, 개발참여로 대표되는 실행요인과 사용정보의 양, 고려하는 차원의 수, 정보시스템의 관여도 등으로 대표되는 사용자 행위요인과 시스템의 정교함과 유연성으로 대표되는 시스템만족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케팅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채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마케팅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사용자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채택의도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중에서 실행요인이나, 시스템만족요인, 사용자 행위요인의 매개적인 역할이 채택의도와 사용자 만족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패스워드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보안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Jong-Gi;Gang, Da-Yeo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959-965
    • /
    • 2007
  • 최근 정보시스템의 개방성과 접근성의 확대는 조직 내 외부로부터 보안위협을 증가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시스템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과 자료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패스워드의 선택은 정보보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패스워드의 선택은 정보시스템의 오 남용 방지 및 불법적인 사용자의 제한 등의 보안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패스워드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보안행위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적절한 패스워드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위험분석 방법론을 토대로 한 위험을 활용한다. 또한 위험을 사용자의 보안의식과 패스워드 관리지침을 패스워드 선택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 사용자의 적절한 패스워드의 보안행위의도를 TRA (Theory of Reasoned Action)를 기반으로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 정보자산이 위험에 관련성이 없는 반면, 정보자산을 제외한 위협, 취약성, 위험, 사용자의 보안의식, 패스워드 보안상태, 보안행위의도는 요인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IT characteristics and on the resistance of end-user (정보기술특성과 경영지원특성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an, Kyung-Il;Park, Jo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331-340
    • /
    • 2008
  • 본 연구는 농협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저항요인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만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특성 및 경영지원 특성이 사용자들의 저항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특성과 사용자 저항변수간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용이성은 사용자저항과 부(-)의 관계가 발견되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용이성이 높을수록 사용자 저항은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기술의 유용성, 용이성은 사용자 저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영지원변수 중 경영자지원과 사용자 저항 간 분석결과에 의하면, 전혀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보기술특성요인이 경영지원 특성요인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 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협이 CR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필요한 정보기술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사용자 저항의 원인변수 중 정보기술특성 및 경영지원특성에 관한 변수만을 사용하였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사용자 저항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An Empirical Study of User Resistance Factors to Internet Banking (인터넷뱅킹의 사용자 저항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Byung-Kw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5
    • /
    • pp.86-97
    • /
    • 2007
  • For continuous growth and diffusion of internet banking,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user resistance factors to internet bank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internet banking and service quality factors on user resistance to internet bank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e self-efficacy of computer, self-efficacy of internet banking, attitude to change, and innovative attitud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banking include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Service quality was classified as 5 dimensions of SERVQ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fficacy of computer, self-efficacy of internet banking, compatibility, responsiveness, complexity, perceived risk, reliability and em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ser resistance to internet banking.

  • PD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xperts and users to SNS quality factors (SNS 품질요인에 대한 전문가와 사용자의 중요도 인식)

  • Park, 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77-17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NS 품질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해 전문가 집단이 산출한 각 품질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사용자 집단이 각 품질요인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중요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SNS 품질요인을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인터페이스품질, 서비스품질로 구분하여 AHP 기법을 적용하여 전문가 집단과 사용자 집단의 품질요인별 중요도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가 집단과 사용자 집단의 각 품질요인에 대한 중요도의 인식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나 품질평가에 있어 전문가와 사용자의 의견을 종합하는 종합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Personality 5 Factors on Users of Metaverse (성격 5요인이 메타버스의 사용자에 미치는 영향)

  • SeungHwa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115-116
    • /
    • 2023
  •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 사회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에서 성격의 5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상호 간에 유의미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격 5요인의 특성으로는 신경성, 외향성, 우호성, 성실성, 개방성의 다섯 가지 요소가 있으며 이는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사용자 간의 통합 및 경쟁, 게임과 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사회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성격 5요인과 반대적 성격 5요인은 메타버스 사용에서 개인의 성격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고 사용시간, 참여율, 만족도 면에서도 다른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소통을 중요시하는 메타버스에서 사용자의 성격에 따른 섬세한 콘텐츠 제시는 분명 더 나은 콘텐츠로 시장에 경쟁력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의 사용이 개인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메타버스 내에서 사용자 성격 5요인 성향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 차세대 플랫폼 구축 및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저항 연구

  • 박경수;한호종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59-287
    • /
    • 1997
  • 오늘날 기업들은 정보기술의 빠른 발전에도 불구하고 관련 비용의 감소 대신 오히려 증가를 경험하고 있으며, 수용과 사용보다 정보시스템 오용과 거부가 더 흔하게 발생한다는 파라독스에 직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보시스템의 평가를 위한 많은 성공척도들이 학계 및 실무에서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성공척도들은 사용자 내면의 부정적 심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공척도와 상호보완적으로 쓰일 수 있는 새로운 성공척도로서 사용자 저항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 저항의 개념을 제시하고 저항의 영향요인들을 검증하며, 사용자 만족도 및 시스템 사용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증분석 결과 사용자 저항은 적극적 저항과 소극적 저항이라 부를 수 있는 두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지각된 복잡성, 지각된 위험성, 지각된 유용성, 컴퓨터에 대한 자기효력이 정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항의 영향요인과 시스템 사용도 및 사용자 만족도의 영향요인들은 일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