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People's Creativity and User/Field-driven Innovation: Literature Review for the Paradigm of Creative Economy (국민의 창의성과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창조경제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문헌 연구)

  • Lim, Hong-Tak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3
    • /
    • pp.135-166
    • /
    • 2014
  • 'Creative Economy' has been announced as the new paradigm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of newly elected President Geun-Hye Park's administration. By explicitly defining people as a major player in creative activity, it seems to depart from expert-driven or science & technology-focused development paradigms of previous administrations. Yet, its interpretation and operation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does not seem to show any differences.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the nature of Creative Economy as a development paradigm by cla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people's creativity and that of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People can contribute to the creative activity not just as users but also as living persons who make everyday yet independent choices based on their humanistic, philosophical, ethical and experiential capabilities which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sources of scientists' & engineers' creativity. People's creative activity does involve value judgement about life and can often accelerate the system innovation or transition by changing consumer behaviour and lifestyle, and hence destruct technological lock-in user lock-in of the existing system. People's creativity can thus present 'User/Field-driven Innovation Paradigm which clearly differs from existing expert- or science & technology-driven innovation paradigm. The Creative Economy with focus on people's creativity therefore faces new socio-economic development challenges of fulfilling the User/Field-driven Innovation Paradigm.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Song, W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

Living Lab as Transition Arena: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 Seong, Ji-Eun;Park, 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11a
    • /
    • pp.907-926
    • /
    • 2015
  • 현재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은 기존의 성장 및 기술공급 위주의 발전전략이 한계를 노정하면서 새로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에 새로운 혁신 경로 창출을 위한 과학기술 ICT 정책 패러다임 전환은 물론 지속가능한 에너지, 농업 농촌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시스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 ICT와 에너지 환경 등 관련 분야 간의 연계 통합은 물론, 기술이 활용 확산되는 현장이나 사회, 사용자의 이해가 더욱 중요해진다. 리빙랩은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혁신모델이자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의 니치 실험으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ICT가 에너지 전환, 농업 농촌 시스템 전환, ICT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용된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럽의 SusLab 프로젝트, C@R 프로그램, 대만의 리빙랩 사례 모두 사전기획 단계부터 지역 사용자의 배경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사용자 주도의 혁신활동을 개발프로세스 전반에서 유지함으로써 적실성있는 문제해결은 물론 다양한 전환 실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R&D사업에서 각각 리빙랩의 도입을 검토하는 우리나라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리빙랩은 국가 또는 지역 전반의 사회 기술시스템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니치 실험, 정책 간 연계통합의 수단, 새로운 지역혁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혁신정책 패러다임에서 강조하고 있는 사용자 및 수요 측면을 반영한 정책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School Building Innovation Policy - Focused on Policy of School Building Emotionalization in Gangwondo - (학교 현장 중심의 학교공간혁신사업을 위한 개선방안 - 강원도교육청 학교 감성화사업을 중심으로 -)

  • Park, Sung-Chul;Yoo, Hae-Yeon;Kim, Hyun-Jin;Lee, Sang-Min;Shin, Eun-Gyeong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0 no.1
    • /
    • pp.11-18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policy alternatives which can assist school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SSIP)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Emotional Space Project (ESP) of Gangwon-do School District was analyzed as one of representative SSIPs. Chapter II analyzed the project process and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ESP. Chapter III carried out the interview with the representative stakeholders that had participated in each step. The interview described the major problems ESP and SSIP have. Finally, Chapter IV proposed the comprehensive alternatives to deal with the problems, such a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information sessions,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facilitators, and developing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alternatives can be applied for developing innovative school spaces more suited to school scenes as well as helping effective operation of SSIP in schools.

사회문제해결형 R&D 현황 및 특성 분석 : NTIS Data를 중심으로

  • Im, Ho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5-755
    • /
    • 2017
  •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이라는 국가 R&D사업의 본연의 임무에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요구가 커지고 있다. 취약계층, 노인,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더불어 조류 인플루엔자, 미세먼지오염 등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과학기술지식이 기여하라는 사회적 요청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산업 지원과 학문 발전을 중심으로 발전해오던 국가R&D시스템이 이제는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시스템 격상이라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정부는 2012년 '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안)'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 다(多)부처 기획을 통해 11개 사업 분야를 선정하고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D를 다(多)부처 사업으로서 2015년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는 단일 부처사업으로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을 2104년부터 추진하였다. 논문이나 특허보다는 현장문제의 해결책, 솔루션 생산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현장의 사용자나 시민이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리빙랩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을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의 성격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형 R&D라는 이 새로운 시도가 국가R&D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NTIS data를 통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다부처 기획으로 선정되어 추진된 과제들의 특성, 즉 연구적용분야, 연구 단계 등을 분석하고 단일부처 사업으로 수행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및 유사 단일부처 사업 과제들의 특성을 알아본다. 연구수행주체, 연구방법론 등 사회문제해결형 R&D 기획에서 제시한 새로운 방법들의 수행 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공분야 국가R&D 시스템의 발전 및 사회문제해결형 R&D 사업의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 research on remote X-ray detector design development for marketing in field diagnosis service (현장 진단 서비스 시장 공략을 위한 '무선 X-ray 디텍터'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 Song, Seong Il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7 no.4
    • /
    • pp.196-205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service design in the medical sector evolves through practical service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can visualize both intangible and intangible service elements in an integrative way and derive innovative solutions to help customers feel the service more important value. With the improvement of personal income, interest in medical welfare and well-being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focus of the medical sector shifts from the concept of treatment of diseases and illness to preventive medicine. In response to this tre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ome health care system, which greatly reduces the time and space constraint of health checkup and health care by combining ubiquitous concept with medical welfare,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the needs for improving products and medical environment based on user-centered medical service and user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Care 3.0 Era, it becomes necessary to develop on-site medical diagnostic products that reflect user-centered needs and need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and develop a product that sufficiently reflects the needs of users by applying suitable materials and shape for on-site diagnostic product in researching and developing Wireless X-ray Detector.

Development of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using Smart Fash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의 스마트패션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프로그램 개발)

  • Lee, Jun 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23-624
    • /
    • 2020
  •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술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열게하는 중심이 되었으며 세상의 모든 것을 변화시켜가고 있다. 최근에는 혁신적이고 고도화된 IT 기술이 완전히 다른 분야와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가고 있다. 특히 패션 분야에서는 이와 같은 선도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패션, 그 이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스마트패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패션에서의 새로운 산업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스마트패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자 하는 기업의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정이 부재한 상태이다. 특히 IT 엔지니어와 패션 디자이너와의 협업의 경험이 전무할뿐만 아니라 제품을 설계하고 제작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개념이 서로 완전히 상이하여 융합의 시도가 단지 시도로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T와 패션 전공 학생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융합 교과 과정을 설계함으로써 미래의 산업사회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상이한 전공을 가지고 있는 두 전공 학생들에게 타 전공에 대한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융합에 대한 경험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미래 시장으로의 선도 진입과 역할 수행의 적합성을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다.

  • PDF

Children's Picture Book-making Activity through the Fusion of Digital and Analog Contents (디지털과 아날로그 콘텐츠 융합을 통한 어린이 그림책 만들기 활동방법)

  • Ha, Kwang 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51-59
    • /
    • 2020
  •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y have caused significant changes to the tradition of creative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n with digital technology is prone to an error where digital technology itself becomes the goal, ignoring educational efficacy grounded on improved user experience and immersion. Previously,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for children allow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book-making, and is often employed to instill reading habits as well as nurture linguistic abilities. Aside from such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diverse efforts are being made for innovation in educational pedagogy through digital technology. However, as the goal of children's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is realizing creative education through expressions in language and pictures, digital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viewpoint of fusion, not as a simple replacement to the traditional tools employed in children's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children's picture book-making activities to propose contents and methodology allowing effective immersion by fusing digital technology based on a physical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fusion and integration. Expect this study will become a fundamental data in visualizing a practical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future creative education.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ig Data Convergence-based NCS Homepage : focusing on the Use of Splunk (빅데이터 융합 기반 NCS 홈페이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플렁크 활용을 중심으로)

  • Park, Seong-Taek;Lee, Jae Deug;Kim, Tae 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107-116
    • /
    • 2018
  • One of the key mission is to develop and prompte the us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which is defined to be the systemization of competencies(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duties at the workplace by the nation for each industrial sector and level. This provides the basis for the design of training and detailed specifications for workplace assessment. To promote the data-driven service improvement, the commercial product Splunk was introduced, and has grown to become an extremely useful platform because it enables the users to search, collect, and organize data in a far more comprehensive, far less labor-intensive way than traditional databases. Leveraging Splunk's built-in data visualization and analytical features, HRD Korea have built custom tools to gain new insight and operational intelligence that organizations have never had b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NCS homepage. Concretely, applying Splunk in creating visualizations, dashboards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al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e without Web development skills. We presented practical use and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