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용기간

검색결과 7,643건 처리시간 0.039초

이압요법이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leep Disorder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장민진;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6-12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압요법이 60세 이상 노인의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국내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auricular', 'sleep', 'insomnia' 등을 조합하였다. 선정한 문헌의 비뚤림 위험평가는 RoB와 RoBANS도구를 사용하였고, 메타분석은 Cochrane Library의 RevMan 5.3 Program을 이용하였다. 총 386개의 문헌 중 7개 문헌이 선정되었다. 이압요법 중재 평균 횟수는 4.1회, 총 적용 기간은 평균 2.8주, 이압요법 1회 적용 시 유지 기간은 평균 4일이었다.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해 자주 사용한 부위는 신문, 뒷머리, 심장으로 4편의 문헌에서 모두 사용되었다. 수면 정도는 총 중재 기간이 4주 미만인 문헌에서 WMD 25.66 (95% CI 20.18 to 31.14)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주 이상인 문헌에서는 WMD 8.59 (95% CI 6.26 to 10.92)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수면 만족도는 이압요법 1회 적용 시, 유지 기간이 3일 이하인 문헌에서 SMD 13.37 (95% CI 5.29 to 21.45)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4일 이상인 문헌에서 SMD 2.27 (95% CI 1.82 to 2.72)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압요법은 수면 정도와 수면 만족도에 효과가 있어 노인의 수면 장애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메타분석에 이용된 문헌은 모두 비 무작위 대조군 연구이며, 대조군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도구만 사용하였다. 또한, 총 중재 기간, 1회 적용 시, 유지 기간에 따라 효과 크기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헌의 수가 적어 해석에 제한점이 있다.

유산균 발효에서 항생물질 불활화에 관한 연구

  • 강국희;이수원;김영진;김영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4.2-205
    • /
    • 1978
  • 발효유 원료유중에 항생물질이 함유되어있을 경우 이것이 발효유 제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발효유의 원가유 살균과정, 배양기간, 보존기간중에 있어서 항생물질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Bacillus stearothermophilus var. calidolactis C 953을 사용한 cylinder plate법으로 penicillin의 역가를 측정하였다. 저온 장시간 $살균(60^{\circ}C,$ 30분) 조건에서는 조금도 불활성화되지 않았으나, 온도를 높이고, 시간을 길게함에 따라 점점 불활화률이 높아져 $고압멸균조건(121^{\circ}C,$ 15분)에서는 약 90% 이상이 불활화되었다. 또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효유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Lactobacillus casei, Hy3와 Lactoba-cillus bulgaricus Hy4A, Hy4B를 사용하여 $37^{\circ}C에서$ 배양할 경우 배양기간 중에 있어서 penicillin은 2일내에 95% 이상 불활화되었다. 그리고 $보존기간(5^{\circ}C)$ 중에는 phosphate buffer(pH 6.0)와 10% skim milk의 경우에 10일까지도 거의 불활화가 되지 않았으나, 발효유내에서는 5일만에 85% 이상이 불활화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와같은 발효유 배양기간과 보존기간 중의 penicillin 불활화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각종 유기산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조건 pH.3.30~3.45, 보존온도 $37^{\circ}C),$ 염산과 유산의 경우 24시간, 구연산의 경우 48시간, 초산의 경우 72시간내에 실험에 사용한 penicillin 농도의 99.99%가 불활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산발효에서 penicillin이 불활화되는 주원인은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유기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방식이군이 중지방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혈장내 LCAT 활성이 유의하게9p<0.001) 증가하였다. 3) 간의 콜레스테롤합성 능력은 정어리유군이 다른지방군보다(p<0.001), 무지방식이군이 식이지방첨가군보다(p<0.001), 동물성지방군의 식물성유지군보다 유의하게(p<0.001) 증가하였으나, 식이 지방의 수준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용성 식이섬유소가 생리져 기능이 거의 비슷하고 무독성이 관찰됨으로써 신갈나무로부터 제조된 수용성 식이섬유소의 제조 방법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있었다.세에 해당되는 중년 여성의 에너지, 단백질, 철분 섭취량을 권장량과 비교하여 보면, 각각 74.8$\pm$12.6%, 94.6$\pm$26.4% 및 64.5$\pm$14.1%로 당뇨군 (각각 112.8$\pm$28.5%, 157.8$\pm$68.2%, 92.8$\pm$21.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상고나성이 있었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질병의 위험요인으로서 뿐 아니라 대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된 비타민 영양상태의 biomarker로서도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다른 다양한 연령집단에서 건강한 일반인과 심혈관계 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과 비타민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lrcorner$$\ulcorner$표현$\lrcorner$의 성격과 형태를 외형상으로 더욱이 공간상에서는

  • PDF

섬망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처방 유형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 (Clinical Course according to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in Delirium)

  • 박재섭;김재진;박성종;김성민;박진영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20-128
    • /
    • 2017
  • 연구목적 섬망의 증상을 조절하기위해 일반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지만, 투약 기간 및 용법과 같은 처방 양상과 환자의 임상 경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를 통해 섬망을 경험한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양상에 따라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의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으로 자문조정이 의뢰된 입원 환자 중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퇴원한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입원 기간, 사망, 인구통계학적 자료 및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CAM-ICU를 통해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지속투약군, 최적투약군, 필요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항정신병약물을 섬망 회복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약 받은 지속투약군은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만 투약 받은 최적투약에 비하여 입원 기간 및 섬망 이환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퇴원시 불필요한 항정신병약물 처방을 받은 비율이 높았다. 섬망 이환기간에 비해 짧은 기간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필요투약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섬망 이환기간이 길고 사망률이 높았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섬망 이환기간에만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섬망이 회복된 후에 불필요하게 항정신병약물이 처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자문의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겠다.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추정 (Rainfall Quantile Estimation Using Scaling Property in Korea)

  • 정영훈;김수영;김태순;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9호
    • /
    • pp.873-8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지속기간을 가지는 강우자료간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국내 강우자료에 대해서 그 적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상청 지점중에서 기록기간이 비교적 장기간인 22개 지점에 대해서 지점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과 스케일 성질을 활용한 확률강우량간의 정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시간단위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 미만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각각의 지속 기간별로 적용가능한 재현기간을 살펴본 결과 연구에 사용된 총 14개의 재현기간 중에서 대부분 8개 이상의 재현기간에 대해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예로서 대구지점의 지속기간 1시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지속기간 10분${\sim}$50분까지의 확률강우량자료를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지속기간 10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절대상대오차 10 % 내외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미계측 강우지속기간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elf-efficacy and attachment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 하태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763-77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8월 26일부터 2013년 11월10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D시 일개 대학생 30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SNS 중독경향성, 자기효능감, 성인애착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 사용기간, 일평균 사용 시간, 주당 평균 접속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NS 중독경향성은 성인애착, 성인애착의 하위 영역인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에서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사용 시간 및 기간이 짧을수록 감소하며, 불안애착이 클수록 증가하고, 자기효능감이 클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월유하량(月流下量)의 추계학적(推計學的) 모의발생자료(模擬發生資料)를 사용(使用)한 저수지(貯水池) 활용(活用) 저수용량(貯水容量)의 확률론적(確率論的) 결정(決定) (A Probabilistic Determination of the Active Storage Capacity of A Reservoir Using the Monthly Streamflows Generated by Stochastic Models)

  • 윤용남;윤강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63-74
    • /
    • 1986
  • 댐 지점(地點)에서의 저유량(抵流量)의 지속기간(持續期間)과 재현기간(再現期間)을 고려하여 저수지(貯水池)의 활용(活用) 저수용량(貯水容量)을 확률론적(確率論的)으로 결정하는 방법(方法)을 제안하였다. 확률론적(確率論的) 분석(分析)의 신뢰도를 제고시키기 위해 월유량(月流量) 자료계별(資料系別)의 모의발생(模擬發生)에 흔히 사용되는 모의모형(模擬模型) 중 Monte Carlo 모형(模型)과 Thomas Fiering 모형(模型)의 적합성(適合性)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월유량(月流量) 자료계열(資料系列)을 표준화(標準化)한 계열월유량자료(系列月流量資料)를 근거로 하는 Monte Carlo 모형(模型)(Monte Carlo-B)이 최적모형(最適模型)으로 선정되었다. Monte Carlo-Bah 모형(模型)에 의해 홍천(洪川)댐 지점(地點)에 대한 200 년간(年間)의 월유량계열(月流量系列)을 발생시켰으며 이로 부터 각종(各種) 지속기간별(持續期間別) 저유하량(抵流下量) 계열(系列)을 작성하였다. 여러 크기의 용수수요(用水需要)를 표시하는 상시유량(常時流量)에 대하여 지속기간별(持續期間別) 저유하량(抵流下量) 계열(系列)의 누가용적해석(累加容積解析)을 실시함으로서 활용저수용량(活用貯水容量)-상시유량(常時流量)-재현기간(再現期間)(Active Storage Draft Recurrence Interval) 관계가 수립되었으며 이 관계(關係)는 조발재현기간별(早魃再現期間別)로 용수수요(用水需要)를 보장할 수 있는 저수지(貯水池)의 활용용량(活用容量)을 결정하는 기준(基準)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 관계(關係)를 사용하여 저수지(貯水池)의 설계재현기간별(設計再現期間別) 만수위(滿水位) 표고별(標高別) 상시가용수량(常時可用水量)을 추정하는 방법(方法)과 특정(特定) 저수지(貯水池)의 용수공급능력(用水供給能力)을 평가(評價)하는 방법(方法)을 예시(例示)하였다.

  • PDF

비정상성 확률분포 및 재현기간을 고려한 홍수빈도분석 (Flood Frequency Analysis Consider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turn Period under Non-stationary Condition)

  • 이상호;김상욱;이영섭;김형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10-610
    • /
    • 2015
  • 수공구조물의 설계에서는 홍수빈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특정 재현기간에서의 확률수문량이 설계기준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심해짐에 따라 수문기상자료의 정상성을 가정하는 기존의 홍수빈도분석은 변화되는 수문현상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분포의 모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성 빈도분석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확률분포의 모수들을 최우추정법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분위수 추정과정에서도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 및 위험도와 비교분석하였다. 확률분포는 GEV 분포를 사용하여 정상성 및 비정상성 모형 4개를 구축하였다. 특히, 비정상성 모형은 위치모수만 선형 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규모모수만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 위치 및 규모모수가 선형경향성을 가지는 경우의 3가지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구축된 4개의 모형 중 적합모형을 선정하기 위해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사용하였으며 적합모형선정 절차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적용하여 적합모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비정상성 홍수빈도분석 기법은 우리나라의 8개 다목적댐 (충주댐, 소양강댐,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대청댐, 섬진강댐, 주암댐)으로부터 취득된 과거 관측 댐 유입량을 대상으로 하여 적용되었다. 우도비 검정과 Akaike 정보기준을 이용한 적합 모형 선정 결과 합천댐과 섬진강댐이 비정상성 GEV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지점의 다목적댐들은 정상성 모형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천댐과 섬진강댐의 경우 비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이 정상성 가정에서 산정된 재현기간보다 매우 작게 산정되었으며 확률수문량과 위험도는 크게 산정되었다. 적합모형으로 정상성 모형이 선정된 6개의 다목적댐 중 소양강댐은 Mann-Kendall 비모수 경향성 검정 결과 유의하지는 않지만 비교적 큰 선형경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록 비정상성 모형이 적합모형으로 선정되지는 않았지만 소양강댐에 비정상성 모형을 가정하여 재현기간과 확률수문량,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정상성 모형 가정에서 산정한 결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문자료의 정상성과 비정상성을 고려한 홍수빈도분석이 향후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확률수문량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총의치 장착 후 의치 조정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후향적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denture adjustments after delivery of complete denture: a retrospective study)

  • 이승원;윤준호;유진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39-245
    • /
    • 2022
  • 목적: 총의치를 장착한 환자에서 연령, 성별, 총의치를 장착한 악궁, 틀니 보험 적용 여부, 대합치의 종류, 의치 사용 경험, 무치악 기간, 의치상 종류 등에 따라 의치 장착 후 의치를 조정하는 횟수 및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보철과에서 총의치 장착을 시행한 만 65세 이상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총의치 장착 후 사후 점검의 횟수 및 기간을 평가하였다. 성별, 보험 적용 여부, 총의치를 장착한 악궁, 의치상 종류, 대합치의 종류, 의치 사용 경험, 연령 및 발치 후 의치를 장착하기 전 치유기간에 따른 총의치의 사후 점검 횟수 및 기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247개의 의치가 포함되었다. 평균 사후 점검 횟수의 중위수는 3회였으며, 사후 점검 기간의 중위수는 36일이었다. 의치를 하악에 장착한 경우가 상악에 장착한 경우보다 사후 점검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36) 대합치가 총의치인 경우가 국소의치인 경우에 비해 사후 점검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16). 연령, 성별, 보험 적용 여부, 의치 사용 경험, 무치악 기간, 의치상 종류에 따른 사후 점검 횟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의 한계 내에서, 의치의 조정 횟수는 의치를 장착한 악궁이 하악일 때 및 대합치가 총의치인 경우에서 증가하였다.

춘.추 파성 소맥품종간 교잡에서 등숙기간을 지배하는 유전자 작용에 관한 연구 (Nature of Gene Action for Duration of Grain filling in Crosses of Winter and Spring Wheats(Triticum aestivum L. em Thell))

  • 최병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1-139
    • /
    • 1985
  • 이모작재배에 적합한 극조숙 양질 다수성 소맥품종육성을 위하여 등수기간에 관여하는 유전자 작용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추파성품종 Yam-hill과 Hyslop, 춘파성품종 Red Bobs와 Siete Cellos를 사용하여 4 $\times$ 4 complete diallel crosses F$_1$, F$_2$, BC$_1$ 및 BC$_2$를 작성, Jinks-Hay-man model를 이용하여 등숙기간에 관여하는 유전자 작용을 분석하였다. 본 시험은 오레곤 주립대학교에서 실시되었다. 그 결과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전등숙기간인 출수에서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기간과 출수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에서 maternal effect 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비대립유전자간 상호작용도 발현되지 않았다. 개화에서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기간에서는 비대립유전자간에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춘파성 품종인 Red Bobs와 Siete Cellos는 전등숙기간과 출수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을 지배하는 우성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짧은 쪽에 비하여 긴쪽이 우성으로 발현되고 있었다. 대조적으로 추파성 품종인 Yamhill 과 Hyslop은 개화에서 생리적 성숙기까지의 기간을 지배하는 우성유전자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긴쪽이 우성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유전자들은 문배친들간에 독립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 PDF

소프트웨어 개발형태 기반 개발기간 추정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Schedule Estimation Based on Development Type)

  • 박석규;김운용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91-198
    • /
    • 2006
  • 소프트웨어 측정분야는 30년 이상 수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소프트웨어 개발노력, 개발기간과 비용 추정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소프트웨어 개발기간을 추정하기 위한 기존의 모델들은 사용된 데이터 크기가 적고 과거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현재의 복잡하고 다양한 개발환경에 적용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Oligny et al.은 ISBSG Benchmark Release 4의 396개 프로젝트에 대해 개발기간이 개발플랫폼에 영향을 받음을 제기하여 각 개발플랫폼에 따른 개발기간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Oligny et al. 모델들을 ISBSG Benchmark Release 6의 534개 프로젝트에 대해 적용한 결과 개발기간이 개발플랫폼에 영향을 적게 받음을 밝혔다. 따라서, 개발기간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개발형태를 채택해, 개발형태에 따른 개발기간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델들은 개발 플랫폼의 영향보다 개발기간 추정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침을 밝혔으며, 개발기간 추정시 개발형태별로 추정하는 모델 적용이 보다 타당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