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기간

Search Result 7,62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Improvement for the Application of Domestic Design by Huff's Method (Huff 방법의 국내 설계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

  • Ham, Dae-Heon;Hwang, Seok-Hwa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2-332
    • /
    • 2012
  • 강우의 시간적 분포 추정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 실무에서는 거의 Huff 4분위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공구조물 설계과정에서 시간적 분포 추정은 최대홍수량 결정을 위한 임계지속시간 산정의 선행과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본래 Huff 이론과는 다르게 해석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래, Huff분포는 강우지속기간이 1일(24시간)인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이었다. 물론 실제 강우의 시간분포 양상을 적절히 표현할 수만 있다면 윈래 적용되던 지속기간에만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다른 지속기간의 시간분포에도 이용하는 것은 타당하다. 모든 호우사상을 하나의 시간분포에 맞춰 놓고 어떤 지속기간이더라도 이 시간분포 양상을 따를 것이라고 보장할 수는 없다. 4가지 분위로 분류하고 중호우와 경호우를 나누는 정도의 지엽적인 구별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서로 다른 지속기간의 강우사상의 시간분포가 동일한 양상을 나타낸다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결정시 임계지속기간을 고려하는 것을 고려하면 임계지속 기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우의 시간분포에 대한 정확성의 요구는 더욱 더 커진다. 최대홍수량 산정을 위한 설계과정에서는 모든 강우지속시간을 무차원하거나 최빈분위 사용 등의 Huff 4분위법은 오히려 우리나라의 설계개념과는 맞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설계과정에서의 Huff 4분위법 사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ervice Life of Ionization Smoke Detector (이온화식연기감지기의 사용기간에 따른 응답특성 연구)

  • Baek, Won-Don;Kim, Shi-Kuk;Ok, Kyung-Jea;Lee, Chun-Ha;Jee, Seung-W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4
    • /
    • pp.61-64
    • /
    • 2008
  • This paper studied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ervice life of ionization smoke detector. The experimental samples used ionization smoke detectors (360 EA) for over 5 years which were influenced by environment set up with fire objects. The experimental method performed operate and non-operate test according to 'Type Approval and Technical Regulation of Detector (KOFEIS 0301)', for estimat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ionization smoke detector depending on service life.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rapidly decreasing when the longer their using period.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hat ionization smoke detector has to be changed for early fire detection when passed their service life.

Comparative Study on the Regulations about In-Use Stability, and Analysis the In-Use Stability Application on Approved Syrups - Focused on the Guidelines in US, Europe and Korea - (국내외 의약품 개봉 후 안정성 규정 비교와 국내 시럽제의 안정성 적용 현황 분석 - 미국, 유럽, 한국의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 Park, Onnuri;Jang, Kyoung won;Ha, Dong m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3
    • /
    • pp.137-146
    • /
    • 2020
  • Syrup agents are often used after opening, and 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creased qualit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published guideline on stability testing for pharmaceuticals after opening in December, 2016. We compared guidelines related to the period of use after opening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A), Europe (EU), and Korea, and we analyzed whether the period of use or storage conditions is stated based on the data of drug approval for 4 dry syrups and 3 large packing syrup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guideline. First, in USA and EU, the period of use and storage conditions after opening should be listed on the label on the packaging container (as well as the expiration date), while in Korea, those are included in the area of precautions for use. Second, all of the analyzed drugs were not changed by th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the new post-opening period of use, and they were only presented for the existing expiration date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uideline. Medicines that are used for multiple uses after opening may need improved instructions to ensure that the period of use and storage conditions are listed on the packaging according to stability evaluation after opening.

Rainfall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Copula Method (Copula 방법을 통한 강우 빈도 해석)

  • Joo, Kyung-Won;Shin, Ju-Young;Kim, Soo-Young;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6-380
    • /
    • 2011
  • 강우사상은 강우량, 지속기간, 강우강도 등의 특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런 인자들을 같이 고려할수록 그 현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변량 빈도해석절차에서는 지속기간을 고정시켜놓고 각 지속시간에 따른 결과만을 도출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지속기간에 대해 제약적이고 입력자료에 존재하지 않는 지속기간에 대한 결과를 얻기가 어렵다. Copula모델은 두 일변량 분포형을 다변량 분포형으로 연결하여 주는 모델이다. 따라서 강우량과 지속기간을 변수로 사용하면 Copula모델을 통한 이변량 강우빈도해석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변량 지점빈도해석보다 지속기간에 대해 유연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강우와 지속기간이 동시에 변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임의의 지속기간이나 강우에 대해서 확률강우량 및 확률지속기간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점을 대상으로 1961∼2009년 동안 발생한 강우사상 중 각 년도에서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사상을 추출하여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Copula 모형은 Gumbel-Hougaard, Frank, Joe, Clayton, Galambos등 총 5개의 모델을 적용하였고 각 Copula의 매개변수는 준모수방법인 maximum pseudolikelihood estimator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 PDF

Comparison of Reservoir Drought Index According to the Period of Reservoir Storage Data o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량 자료 기간별 가뭄지수 비교)

  • Kim, Sun Joo;Kwon, Hyung Joong;Bark, Min Woo;Kang, S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7-337
    • /
    • 2017
  • 가뭄은 일반적으로 강수량의 부족에 기인하며, 수자원의 이용 및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의 연 평균 강수량은 각각 1,162mm, 1,173mm, 948mm로 평년대비 89.0%, 89.8%, 72.1%의 적은 강수를 보였다. 이는 마른장마, 평년보다 적게 발생한 태풍 등의 영향 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강수의 부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가뭄의 대처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고, 가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가뭄은 크게 수문학적, 기상학적, 농업적 가뭄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을 이용한 지표들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가뭄 지표는 가뭄을 평가하고 대비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농업적 가뭄은 강우부족, 실제와 잠재증발산량의 차이, 토양수분 부족, 저수지 또는 지하수위의 저하 등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고려하여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한 가뭄 지수로는 저수지 가뭄지수(RDI), 토양수분지수(SMI), 통합농업가뭄지수(IADI) 등이 개발되었다. 저수지 가뭄지수는 가뭄발생의 위험과 크기를 순별 가용저수량의 빈도를 이용하여 나타낸 가뭄 지표이다. 따라서 가뭄 지표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자료의 기간에 따라 그 값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10개년, 20개년, 30개년 기간의 백산저수지 농업지구 저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의 저수지 가뭄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년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가 -4.1으로 가장 심한 가뭄을 나타내었다.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2 ~ 2015년에 가뭄을 나타내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가뭄지수는 각각 -0.9, -1.0으로 10개년의 기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1986년부터 2015년까지 30개년 기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산정한 가뭄지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2015년 6월 상순과 중순의 경우 각각 -1.7, -1.0으로 2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심한 가뭄을 나타내지만, 10개년 자료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완화된 가뭄을 나타내었다. 백산저수지의 경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가뭄이 발생하였으나, 용수공급이 불가능 할 정도의 가뭄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30개년 자료를 사용한 가뭄지수가 이와 가장 근사한 가뭄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저수량자료의 기간이 크면 빈도값의 신뢰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저수지 가뭄지수의 경우 저수량 자료가 누적될수록 좀 더 정확한 가뭄상황을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rought frequency analysis for multi-purpose dam inflow using bivariate Copula model (이변량 Copula 모형을 활용한 다목적댐 유입량 가뭄빈도해석)

  • Sung, Jiyoung;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40-340
    • /
    • 2021
  • 가뭄의 특성상 시점과 종점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준수문량을 설정하고 부족량과 지속기간을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상 수문량은 강우나 유출량을 사용할 수 있지만, 두 성분간 지체와 감쇄효과로 인하여 빈도해석의 결과는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어, 사용 목적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가뭄빈도해석은 강우를 기반으로 지속기간과 심도를 정의하여 빈도를 해석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왔지만, 기본적으로 강우의 간헐적 발생특성과 체감도의 한계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유입량의 Run 시계열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유황을 기준유량으로 활용하여 가뭄의 시점과 종점에 대한 가뭄사상을 추출하고 지속기간과 누적부족량을 계산하여 가뭄빈도해석의 변수로 설정하였다. 두 변수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 Copula 함수를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소양강댐('74-'19) 유입량, 충주댐('86-'19) 유입량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여, 두 유역의 유입량의 추세분석을 통해 시간의존성을 파악하였다. 유황분석에 사용되는 분위량중 평수량을 기준값으로 사용하여 각 년별 최대 지속기간과 누적부족량을 추출하였다. Copula 가뭄빈도해석을 수행하기 전에 지속기간에는 GEV, 누적 부족량에는 Log-normal 분포를 적용해 단변량 누적확률분포를 계산하여 재현기간을 도출하였다. 이변량 빈도해석에 Clayton Copula 함수를 적용하여 가뭄빈도해석을 진행하였고, Copula 이변량 재현기간과 SDF곡선을 도출하였다. Clayton Copula를 이용한 이변량 가뭄빈도해석의 결과로 소양강댐의 가장 극심한 가뭄은 1996년으로 단변량 재현기간은 지속기간 기준 9.11년, 누적부족량 기준 17.26년, Copula 재현기간은 141.19년 이며 충주댐의 가장 극심한 가뭄은 2014년으로 단변량 재현기간은 지속기간 기준 17.76년, 누적부족량 기준 18.72년, Copula 재현기간은 184.19년으로 단변량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재현기간보다 Copula 재현기간이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Run 시계열을 바탕으로 한 기준유량의 임계값 기준 Event 산정과 Copula를 이용한 빈도해석은 가뭄분석에 이용되는 자료의 상관관계와 분포특성을 재현하는데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이를 미루어 보아 Copula 함수를 이용한 가뭄빈도해석의 재현기간은 보다 현실적인 재현기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임계값의 조정을 통해 가뭄빈도해석의 변수의 양이 늘어나면, 보다 정확도 높은 재현기간을 도출하여 수문학적 가뭄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in the school foodservice (학교급식에서 튀김유 사용방법이 튀김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윤길숙;김나영;장명숙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6 no.4
    • /
    • pp.328-335
    • /
    • 2000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in the school foodservice. Frozen pork cutlet was fried for this study. The most frequent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in school foodservice and treatments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 (A) use the frying oil (36ι) just one day(200ea.$\times$ 5times) (B) reuse the used oil(A method) once more adding 50%(18 ι) fresh oil after 3 or 5 or 7 days (C) reuse the used oil(A method) once more after 3 or 5 or 7 days. The major fatty acids of fresh oil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order to content. The viscosity of frying oil was increased graduall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frying times and storage period of frying oil after once used. Both redness and yellowness of frying oil showed similar trend to viscos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pplication methods of frying oil in the school foodservice influence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oil, but acid and peroxide value were under the safety level of frying oil prescribed in the Health Social Affairs Ministry.

  • PDF

Fever Duration and Renal Scar in Pediatric Urinary Tract Infection (소아 요로감염에서 발열과 신반흔의 관계)

  • Jung, Ji-In;Lim, Dong-Hee;Yim, Hyung-Eun;Park, Man-Sik;Yoo, Kee-Hwan;Hong, Young-Sook;Lee, Joo-W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2 no.1
    • /
    • pp.70-77
    • /
    • 2008
  • Purpose: Urinary tract infections(UTIs) are not uncommon findings in febrile pediatric patients and approximately one third of patients with UTI may have renal scars.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fever and renal scar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43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clusion criteria were as follows: 1) fever as defined by an axillary temperature $\geq37.5^{\circ}C$, 2) accurate history of fever duration and the use of antibiotics 3) no previous history of UTI and 4) positive urine culture. We observed whether the longer fever duration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itial renal defects and subsequent renal scars, increased C-reactive protein(CRP), leukocytosis and the presence of vesicoureteral reflux(VUR). Results: 1) Patients with longer fever duration after antibiotics showed more frequent initial renal defects(P=0.014). However, fever duration before antibiotic us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itial renal defects(P=0.244). 2) Incidence of renal scar increased with fever duration before antibiotic use(P=0.006) and fever duration after antibiotic use(P=0.015). 3) CRP correlated with the fever duration after antibiotic use(r=0.287, P=0.003). 4) There was no relationships between fever duration and VUR(P>0.05).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fever duration before/after antibiotic us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development of renal scars in pediatric UTI.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ging Characteristics by Service Periods of Regulator Diaphragms at Governor Room of City Gas (도시가스 정압기용 압력조정기 다이어프램의 사용기간에 따른 경년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Chi-Woo;Park, Dal-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6
    • /
    • pp.104-108
    • /
    • 2018
  •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done to examine the aging characteristics by regulator diaphragms of gas pressure, governor room of city gas. Various testing samples with different service periods were manufactured. The results of SEM observation indicated that the surface and thickness of the samples tested were slightly sensitive to the service periods. It was found that as the service periods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of diaphragm samples decreased. For samples over 25 years of service, the strength decreased to approximately 60 % of that of new diaphragms. It was also found that as the service periods increased, the elongation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