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효율성

Search Result 2,07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Process Model and Software for Evaluation of Privately-funded Infrastructure Projects (민간투자사업의 사업평가관리 절차개선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 Jeng, Pyung-Ki;Baek, Hyeon-Gi;Seo, Jong-W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140-149
    • /
    • 2011
  • The government introduced private infrastructure projects in order to reduce its financial burden by introducing private sectors efficiency and creativity and by utilizing their funds. Through revision, the act on the private investment of the infrastructure, many changes were made in the private investment system. The evaluation task to assess the project proposer's capability and to select a promoter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rocess for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project. In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project plan evaluation task of current private infrastructure projects is proposed based on the standard guideline for evaluation procedure of private infrastructure projects provided b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In addition, software program for evaluation procedure is mad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nableconvenient evaluation task.

Case Study on the Jeollabuk-do Local Water Supply Efficiency by using DEA and Malmquist Index (DEA 및 맘퀴스트 지수를 이용한 전라북도 지방상수도 효율성 사례분석)

  • Choi, Kyoung-Ho;Cho, Jung-K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2
    • /
    • pp.571-580
    • /
    • 2014
  • Korea's water supply efficiency is low, due to weak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small scale, regional disparities in the management and services, unreasonable problem in a use and management of interregional water resources.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roductivity of Jeollabuk-do local water supply service by using analysis of efficiency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lmquist Index Analysis. As a result, 6 office is showed that the value of scale efficiency is 1 and productivity index per gun in mainly seemed below average. Therefore these offices should strive to increase their productivity.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earlier studies in the aspect of measuring change of productivity by not only DEA but also Malmquist productivity analysis. Therefore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e productivity of water supply in Jeollabuk-do.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Efficiently Conduct Ex Post Evaluation of River Projects (효율적인 하천사업 사후 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

  • Cho, Jungyun;Kim, Dongwook;Song, Juil;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5-385
    • /
    • 2022
  • 우리나라는 이수와 치수, 하천환경 기능 증대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을 하천에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형태의 하천사업이 완료된 이후 사업의 추진과정과 사업결과로써의 실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으로부터 사업구상, 사업계획 및 설계, 시공 및 관리, 사업효과 등 하천사업 추진의 통상적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한바 있다. 이러한 평가는 시스템을 통해 실시할 경우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현황 및 사업공정정보를 확인하고, 예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기존에 구축된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 상에 하천사업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하천사업평가에 참여하는 위원들은 웹기반으로 개발된 시스템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접속하여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시스템을 통해 평가에 필요한 자료는 즉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평가지표에 따른 점수부여 뿐만 아니라 평가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천관리담당자는 시스템을 통해 개별 위원 또는 종합 평가결과를 확인하고, 유사사업과의 비교를 통해 향후 개선방향 및 유지관리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하천관리담당자가 신규사업을 계획하는 경우 과거 다양한 사업들의 평가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사업의 질적 향상 및 실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Technical Production Efficiency and Business Structure of Domestic Combined Heat and Power (CHP) Operators: Panel Stochastic Frontier Model Analysis for 16 Collective Energy Operators (국내 열병합발전사업의 기술적 생산효율성 추정 및 사업구조 평가: 16개 집단에너지사업자에 대한 패널 확률프론티어모형(SFA) 분석)

  • Lim, Hyungwoo;Kim, Jaehyeok;Shin, Donghy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4
    • /
    • pp.557-579
    • /
    • 2021
  • Collective energy is an intermediate stage in energy conversion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ower structure as a distributed power source. However, the problem of the collective energy business has recently emerged due to the worsening profitability of some collective energy operators. This study measured the technical efficiency of major operators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Korean collective energy operators, and based on this, we looked at ways to improve the profit structure of operators. After collecting detailed data from 16 collective energy operators between 2016 and 2019,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operators was estimated using the panel stochastic frontier mod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combined steam power operators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efficiency and reverse CHP operators showed the lowest efficiency. Furthermo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profi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production efficiency has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profitability. However, businesses with a high proportion of heat production, such as small district electricity operators, profitability was lower.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current heat sales market. Hence, the adjustment of the heat sales unit price is necessary to improve profitability of collective energy operators.

Small stream Flood safety Economic Analysis with Consideration of Investment Efficiency (투자 효율을 고려한 소하천 치수 경제성 분석)

  • Lee, Seong hyun;Jun, Kye Won;Jung, Jung Tae;Kim, Do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9-169
    • /
    • 2017
  • 수자원의 관리적인 측면에서 하천에서 발생하는 재해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치수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치수사업은 투자를 통해 주어진 제원을 알맞게 분배하고 사업의 타당성과 우선순위를 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 치수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투자효율을 고려하여 치수 경제성 분석을 방법을 제시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홍수범람지구 7개 소하천으로 선정하였다. 치수사업에 따른 직접 편익을 계산하기 위해 홍수빈도와 피해액의 관계를 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량규모별 피해액을 산정하고 치수시설의 완성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산정하여 총 사업비를 구체화 시켰다. 경제성 평가기준인 총비용과 그 투자에 대한 총 편익을 비교하기위해 순현가(NPV), 편익/비용비(B/C), 내부수익율(IRR)의 세 가지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동일치수사업에 대해서는 B/C비기준에 의한 평가로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구간의 계획 규모를 50년으로 선정하였다.

  • PDF

데이터 기반 유사연구영역 효율성 제고 방안 및 과제 우선순위 도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출연연 사례 및 AHP분석을 중심으로

  • Jeong, Jae-Yeon;Choe, San;Gang, In-Je;Jeong, Jae-Ung;Han, Yu-Ri;Jeo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7-547
    • /
    • 2017
  • 현재 우리나라의 GDP 대비 R&D 투자 규모는 세계최고의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연구개발 예산의 양적인 확대 및 성장과 함께 상대적으로 연구개발 예산의 효율적 활용이 중요한 과학기술정책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 R&D사업 유사영역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전략의 수립 및 실행의 의사결정을 돕는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지표들을 제시하였다. 그 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효율성 지표들을 NTIS에서 추출한 2015년 정부출연연구기관 R&D 사업 데이터와 연계하여 실질적으로 측정과 사용이 가능한 정량적 지표들만을 따로 선별하였다. 또한 정부 R&D사업 효율성 지표들의 가중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층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수행하였으며 계층분석기법의 결과로 나온 가중치를 효율성 지표들에 적용하여 과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정책의 수립, 실행 및 조정 시 고려해야 할 지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유사연구영역 관련 정부 R&D 정책수립에서 실행까지의 연계를 강화시키고 국가적으로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Review of CO2 Storage Projects and Driving Strategy of CO2 Storage Program in Korea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사업의 추진현황 검토 및 한국의 추진방향 제안)

  • Gwon, Lee-Gyun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2 no.2
    • /
    • pp.167-185
    • /
    • 2016
  • $CO_2$ 지중저장 기술은 가장 유력한 대용량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하나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여 국제적으로 노르웨이, 알제리, 캐나다, 미국 등에서 이미 대규모 실증 및 상용화 사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호주, 일본, 네덜란드, 독일 등 그 밖의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내용과 규모를 갖는 중소규모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도 소규모 육상 파일럿 저장 프로젝트와 중규모 해상 저장실증 프로젝트가 추진되어 착실하게 기술개발과 경험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CO_2$ 지중저장 사업은 화석연료의 사용이 다른 에너지원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온실가스 감축시장의 불안전성, 사업의 수익구조와 관련된 경제성, 누출에 대한 안전성 등의 위협요소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국가와 기업들이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과 안전한 지중저장 기술의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 및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 저장소가 주요 포집원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갖고 있는 해저에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지중저장 사업의 경제성 확보가 매우 불리한 조건이다. 따라서 정부나 기업이 CCS 기술을 주요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채택하여 대규모 지중저장 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한국과 같은 불리한 조건을 갖는 국가의 경우에 특히 대규모 저장소의 확보를 포함한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의 실용화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CO_2$ 지중저장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소의 확보, 저비용-고효율 지중저장 기술의 개발과 실증을 통한 실용화, 중소규모 지중저장 실증사업으로 축적한 기술과 경험으로 대규모 지중저장 사업의 효율화 달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실천적인 로드맵과 프로그램의 작성과 착실한 이행 역시 중요하다. 이러한 기반이 착실하게 다져질 경우에 한국에서 대규모 CCS 통합실증과 $CO_2$ 지중저장 사업이 본격적으로 개시될 수 있을 것이다.

A Standardization of Program Management Process based on BPM for Korea Defense Acquisition (BPM 기반 국방사업관리 프로세스 표준화)

  • Lee, Hee-Sung;Kim, Ho-Kyung;Park, Jin-Sub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84-87
    • /
    • 2008
  • 방위사업청은 방위력개선업무의 투명성, 효율성, 전문성을 제고하는 한편, 방산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사업관리정보체계"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동 체계는 전사적개념으로 국방사업관리 전반에 BPM을 적용한 최초의 사례로서, 이의 적용을 통해 업무정보의 효율적인 공유, 신속한 업무처리, 효율적인 협업 및 의사소통이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사업관리정보체계"에 BPM을 도입하는 과정을 소개하는 한편, 이를 통한 업무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및 통합, 업무 프로세스의 표준화 및 체계 구현 결과를 기술하고, 동 체계내 BPMS 구축과정에서 발생한 이론과 실제의 차이와 교훈, 발전방향을 도출한다.

  • PDF

Risk based Value Index Evaluation Model for Modular Design Alternatives in Plant Construction Projects (플랜트 건설사업의 모듈러 설계대안별 RVI 평가 모델)

  • Kang, Hyun Wo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3 no.5
    • /
    • pp.98-10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del for evaluation of a risk based value index for modular design alternatives in plant construction projects. Accordingly, 1) Setting the basic project cost and the scope to apply the module, 2) Evaluating the importance, easiness, and effectiveness index for Engineering, Procurement, Fabrication,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work, 3) Estimating the total project cost by analyzing the risk reserve Step, 4) Comparing the effectiveness index and total project cost for each modular design alternative, it was composed of the steps of deriving RVI. To verify such a model, Plan-A, which applied a module to one process, and Plan-B, which applied a module to three processes, were composed to evaluate RVI.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the Work Efficiency Improvement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

  • Ryu, Jee-Woong;Song, Jong-Cheol;Moon, Byung-Joo;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
    • /
    • pp.18-24
    • /
    • 2014
  • For successful project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PMIS) using the formal systematic processes is necessary. Because the existing PMIS focuses on low-level project management, the life-cycle administration of the projects is required. In this dissertation, I describe not only the processes for managing a project with the top-down approach(a hierarchical goal setting of the project outcome), but also PMIS which can control whole processes of R&D projects. The PMIS described in this dissertation can reduce the workload of project management by providing user-adaptive environments and linking with related systems, so can be helpfu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manage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processes can be the standard project management processes which are adaptive to various types of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