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에 대한 위험인지

Search Result 57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usiness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Business Continuity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수소충전소의 사업연속성 강화를 위한 기업재해경감활동 적용 연구)

  • Jang Won Lee;Chang Soo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2
    • /
    • pp.411-420
    • /
    • 2023
  • Purpos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risk assessment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it is proposed to apply business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as a way to strengthen safety and business continuity for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Method: We explored the application of business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that can reduce, eliminate, transfer, and accept risks by classifying risk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identifying key tasks, deriving risk scenarios. Result: Existing research results ar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risk assessment conducted in the stage before the installation of hydrogen charging station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risks that can occur at the operational stage, so applying business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with several example scenarios has resulted in that it can be applied as a way to strengthen safety and business continuity. Conclusion: All of the currently implemented risk assessments for hydrogen charging stations are being used appropriately. However, it proposes business disaster reduction activities that apply various risk scenarios as an evaluation and response to possible risks at the operational stage.

AHP-based Decision Model for Safety Improvement Projects for Hazardous Section of Urban Roadways (AHP 의사결정 기법을 통한 도시부 위험도로 구조개선 사업의 교통사고 저감대책 선호도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Um, Jung-An;Lee, Si-Bok;Lim, Chang-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D
    • /
    • pp.111-119
    • /
    • 201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afety improvement project was analyzed, and a decision making model for traffic accident reduction measures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were reduced, especially reduced the number of unauthorized crossing and centerline encroachments was remarkable. Second, the priorities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measures. through hazards roadway section improvement projects were determined. As, higher level evaluation items of AHP hierachy structure include civil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 civil facilities has 6 lower level evaluation item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4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raffic experts prefer civil facilities more than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the top 2 items of the each data (or index) took over 50%. In addition, one of the last evaluation contents through the verification, the top 3 items of civil facilities took 55.38%.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projects for hazards roadway reduced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as well as saving the cost. So these results should be available for basic information for the countermeasure about reducing the traffic accidents by local governments.

Project Financing의 자금재조달(Refinancing)에 따른 효과 분석 - 우리나라 SOC민간투자사업 중심으로 -

  • Hwang, Seon-Ung;Ju, Jae-H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2 no.1
    • /
    • pp.19-44
    • /
    • 2006
  • 프로젝트 파이낸싱은 프로젝트 자체의 사업성과 프로젝트 현금흐름에 근거하여 발생하는 수익을 담보로 사업자금을 차입하고 운영 시 발생하는 수익으로 대출금을 상환하는 재원조달방식이다. 이 금융기법은 주로 광산 및 천연자원개발 사업에서 수 백년동안 이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규모 SOC민간투자사업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SOC민간투자사업에서는 기존에 정부와 민간사업자간에 체결하였던 실시협약 상의 재원조달 구조를 새롭게 변경하거나 유리한 금융기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으로 어떻게 SOC민간투자사업에 투자하고 있는 지 분석하고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민간투자사업의 자본구조와 Refinancing의 발생사유를 분석하였으며, 광주제2순환도로, 신공항고속도로, 천안논산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에서 Refinancing 사례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Refinancing에 대한 효과가 어느 정도 인지 측정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Refinancing 효과가 사업에 대한 수익성을 높이는 효과와 부채비율이 높아져 운영위험이 증가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 PDF

현장리포트 - 독거노인세대 가스시설 개선사업 추진

  •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317
    • /
    • pp.34-39
    • /
    • 2016
  • 집에 가스 불을 켜놓고 외출해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경험이나 가스렌지를 제대로 잠그지 않아 집안에 가스 냄새가 났던 경험은 어느 가정에서나 한두 번 겪었을 것이다. 특히 주의력이 떨어지는 독거노인의 경우 부주의로 인한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협회 가스설비공사협의회에서는 지난해부터 가스점검 및 안전기기 무료 설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지는 경기도회와 서울특별시회 가스타이머 콕 무료 보급 설치 봉사활동을 동행 취재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for the Regeneration Project for the Zon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효과 분석)

  • Lee, Kyung Su;Jung, Jae Kwang;Heo, Bo Young;Byeon,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8
    • /
    • pp.843-855
    • /
    • 2013
  • In the modern society with high science and technological level, many people have been tried to mitigate natural disaster. The disaster was so huge that we made special service organization which deal with 'The Natural Disaster Endangered Districts'. But the analysis of the organization's works was inadequate. In order to analyze their regeneration project, this study selected analysis area and did a spot survey. We did validity, reliability test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of this survey. We also did reliability analysis of this polic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is a reasonable suitability in 'The Natural Disaster Repair work Policy'. And it also improved spiritual, substantial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 people. The people formed positive awareness about Government Repairing Policy. This 'Natural Disaster Repair work Policy' is essential to improve and develop local community. Therefore it will affect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 Kim, Sung Eun;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Malaysia Water Policy (말레이시아 수자원 정책)

  • Kim, Shang-Moon;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03-103
    • /
    • 2011
  • 오늘날 우리 사회는 물산업의 성장성을 높이 평가, 국내 물산업 육성이 경제발전을 위하여 중요하다고 말한다. 따라서 정부는 정부대로, 기업은 기업대로 시장의 육성 및 선점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 물시장의 성장 한계성을 이유로 해외 물시장 진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사회는 정작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부문인 시장에 대한 정보 탐색에는 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즉 해외 물시장 진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어느 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선정해야 하는지, 무엇이 우리의 강점인지, 무엇을 고객에게 줄 것인지 등에 대한 탐색이 미흡함에 따라, 해외 물시장 진출에 대한 속 시원한 해법을 제시하는 이는 많지 않다. 이에 본 논고는 물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알려진 아시아 시장의 여러 국가 가운데 국내 시장에도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말레이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정부 정책, 시장 환경, 현지 기술력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시장으로서의 기회와 위험, 그리고 국내 기업의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로서 기회와 위험, 강점과 약점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회의 관점에서 말레이시아는 치수사업, 수도사업, 환경정화사업 등 물산업 인프라가 여전히 취약한 점에서 국내 물기업에게 시장으로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외국계 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 부실한 수도 재정 및 낮은 요금 등은 외국계 기업에 게 있어 위험 요인이 된다. 셋째, 높은 기술력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물 인프라를 구축 운영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물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4대강살리기 사업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녹색성장 모델을 구축함은 국내 물기업의 큰 강점이다. 넷째, 국내 기업에 대한 현지 시장의 낮은 인지도는 약점 요인이 된다. 현지 이해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한국계 기업은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에 비해 '기업' 및 '보유기술'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라고 지적한다. 결과적으로 국내 물기업이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내 기업에 대한 그리고 국내 기술력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생명보험사 및 연기금의 대체투자에 관한 연구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중심으로 -

  • Han, Deok-Hui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2 no.1
    • /
    • pp.163-182
    • /
    • 2006
  • 본 연구는 장기투자자인 생명보험사 및 연기금의 투자다변화 일환으로 장기투자의 성격에 부합하고 안정적이며 높은 수익이 기대되는 대체투자 중 사회간접자본 자산에 대한 투자방안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다음의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생명보험사와 연기금의 금융부문 수익률과 사회간접자본 투자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사회간접자본 투자는 변동성이 큰 주식에 비하여 위험은 낮고 안전자산인 채권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나타내었다. 둘째, 생명보험사 및 연기금이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참여할 경우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대한 정부의 수입보장 및 국내 인프라 사업의 사업수익률 수준과 타기관의 목표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15% 수준의 투자수익률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국내 주요 사회간접자본 사업의 투자수익률을 볼 때 국가관리사업과 자체관리사업 모두 투자수익률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장기적으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목표수익률의 재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현실적인 간접투자상품의 한계 및 직접투자시의 비용절감효과 등으로 대규모투자자의 경우 전문성을 확보하여 직접투자방식의 참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중소규모투자자의 경우 시장상황 및 위험을 고려하여 펀드를 조성하여 투자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중장기적으로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 사회간접자본 간접투자 시장이 활성화되고 규모가 커지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간접투자방식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n Assessment of Flooding Risk Using Flash Flood Index in North Korea - Focus on Imjin Basin - (돌발홍수 지수를 이용한 북한 홍수 위험도 평가 - 임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

  • Kwak, Chang Jae;Choi, Woo Jung;Cho, Jae 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2
    • /
    • pp.1037-1049
    • /
    • 2015
  • The most of natural disasters that occur in North Korea are flood, typhoon and damage from heavy rain. The damage caused by those disasters since the mid-1990s is aggravating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ies every year. By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damages from the flood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carried out the river maintenance, farmland restoration, land readjustment and afforestation projects since the last-1990s, but it has failed preventing the damages. In order to estimate the degree of flood risk regarding damage from chronic floods that occur inveterately in North Korea, this research conducted an additional simulation for rainfall-runoff analys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gauged area that make foreign countries hard to obtain the hydrological data and do not open the topographical data to public. In addition, this research estimates the degree of flood risk by selecting the factors of the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by following the standards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 Study on Optimum Allocation and Risk Assessment of Recognition Devices Intended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in Terms of the Guardian Services (지킴이 서비스를 위한 교통약자 인식장치 적정배치 및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 Han, Woong-Gu;Kim, Hyun-Myung;Choi, Kee-Choo;Sohn, Sa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1 no.2
    • /
    • pp.67-76
    • /
    • 2012
  •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objective appraisal standard by applying newly made appraisal standard to those areas equipped with the protection system targeted to the Mobility handicapped announced in this edition (issue 5, volume 9(Oct., 2010)) beyond simple evaluation related to protector satisfaction. Additionally, we achieved efficient budget execution by conducting the preliminary estimation assessment regarding those areas on which recognition devices should be newly deployed. Through the assessment of the system coordination, the maximum safety distance is proved to be 72.2m.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applied dangerous grade to the deployment of recognition devices considering both psychological and accidental risk. With this, we proposed valuation basis to enable us to do future business. Based on this assessment standard, the degree of risk is proved to decrease by 35.2% compared to before conducting the demonstration project in terms of evaluation of comprehensive risk regarding intended areas. Additionally, we confirmed the fact that the degree of risk can decrease by 33.1% totally after having recognition devices built according to the deployment standard within budget. Furthermore, comprehensive risk can decrease up to 94% compared to the level of the demonstration project even though we spend 21.9% less of the existing budget. Hence, we can say that the deployment method of recognition devices related to the degree of risk is applied efficiently in the near future in terms of controlling comprehensive risk and cutting down budget through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