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관리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9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uccessful Implementation Plan of National R&D Program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의 성공적 구축방안)

  • 임창주;오세홍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2
    • /
    • pp.93-10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successful implementation plan for national R&D program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irst,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status and plan of the national R&D program information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econd, we reviewed the implementation background, limitation and further plan of the information systems related to R&D program in Korea. Last, division of the work and an successful plan in implementing the national R&D program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re discussed.

과학기술정보 유통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사업

  • Kim, Hyeo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3
    • /
    • pp.80-84
    • /
    • 2004
  • 정보시스템부의 사업 가운데 2004년도에 새롭게 출범시키는 신규 과제는 "차세대 정보 유통 시스템 프레임웍 개발연구"이다. 이 사업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정보 유통 시스템 프레임웍)이란 과학기술 정보의 생성, 가공, 분배, 서비스 등의 모든 과정을 하나의 구조화된 시스템에 반영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표준적인 콘텐트 생명주기 관리체제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SW Project Information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정보 통합 관리체계의 개념적 설계에 관한 연구)

  • Shin, Kitae;Park, Chankw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4 no.2
    • /
    • pp.199-216
    • /
    • 2019
  • The public SW market is 3 trillion won, which is less than 10% of the total SW marke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domestic market, it is an important market with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small and medium-sized software companies. In this market, government is operating the Public SW Project Demand Forecasting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 marketing activities of small and medium sized SW companies and establish a fair market order. The current system has limitations such as lack of user convenience, insufficient analysis capability and less business conn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se systems and to propose a new system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expanding the information utilization of SM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requirements of each stakeholder. We proposed the 2-phased forecasting cycle, the management cycle, and the system life cycle of public SW projects and created a unified identifier (UID)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ose projects can be identified and linked among them. As a result, an integrated reference model of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system life cycle was developed, which can explain the demand forecasting and project information, and the improved processes was also designed to implement them.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ntegrated management of public SW projects will be possible.

The Decommissioning Information System of the Nuclear Facility (원자력시설 해체 정보관리 시스템)

  • Park, Seung-Kook;Ji, Yeon-Hee;Park, Jin-Ho;Chung, 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841-843
    • /
    • 2010
  • 원자력시설의 해체사업은 국내에서는 최초로 수행된 사업이다. 해체사업 활동에서 발생되는 해체 정보 및 자료의 관리와 사업의 수행을 위해 해체 정보관리 시스템 (DECOMMIS)을 개발하였다. DECOMMIS를 이용하여 해체 작업 활동, 해체 폐기물 관리, 해체 방사선 안전관리 및 품질 관리에 관한 정보/자료를 입력, 처리, 관리하고 필요 시 출력하여 활용하였다.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ntegrated Technical Information System(ITIS) for an Aircraft Development (항공기 통합기술정보시스템(ITIS) 개발 및 운용)

  • Chung, Joon-Young;Lee, Joon-Woo;Kim, Cheo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2
    • /
    • pp.75-83
    • /
    • 2006
  • The Aircraft Development Department operated a Technical Document Management System that was effectively managed using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technical information created by a research and development phase of an aircraft and managed a technical information of a research and development varied by the project on a lot of the aircraft development program. While managing the user management and technical information project, it caused some problems on the workflow of the Work Memo and a search of some technical information, etc. As result, we developed the web-based Integrated Technical Information System(ITIS) which be able to totally manage the Technical Document Management System varied by program.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is system, we can access by program using user account and privilege and dramatically increased the productivity of a research and development because of performing the workflow of the Work Memo and some search of technical information by the integrated screen of the ITIS.

  • PDF

Research on the Plans of Construction Information for National Infrastructur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국가기반시설 건설정보 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 Ok, Hyun;Kim, Jin-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2
    • /
    • pp.1026-1035
    • /
    • 2013
  • The construction field is implementing cost savings and business process improvements by adopting and applying various information technologies to secure the construction sector'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mid the economic recessions inside and outside South Korea. Therefore, affiliated agencie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re reinforcing transparency and efficiency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hrough informatization. These agencies are also performi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sinesses by constructing various information systems to create higher added values and secure competitiveness. However, as the application of the constructed information system is limited to a portion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t is not yet possible to understand the whole status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construction information service plan, its future promotion method and procedure of application on the entire national infrastructures. This plan would be carried out by collecting, linking and fabricating the main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systems of the affiliated agencies around the construction project information system(Construction CALS System) being applied at the organizations un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ch a plan is expected to facilitate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nd serve as a useful tool for major decision making endeavors such as future policy planning. The proposed plan is also expected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struction up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s.

MND-ONS System Constructing on Intranet (인트라넷 환경에서 MND-ONS 시스템 구축)

  • Jung, Han-Young;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184-189
    • /
    • 2007
  • 물류유통분야에서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의 효율을 위하여 RFID 기술의 적용을 날로 확대하고 있다. 시대흐름에 편승하여 국방에서는 군수분야에 이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군수물자 관리에서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방탄약관리 시스템 구축사업, 신무기체계 자산관리 시스템 구축사업 등에 RFID 기술을 적용하였다. u-군수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탄약뿐만 아니라 물자, 장비정비 RFID 시스템이 국방차원의 ONS(Object Naming Service) 및 DS(Discovery Service)와 연계되어야 비로소 군수물자 전체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시범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탄약 RFID 시스템이나 신무기체계 자산관리 시스템은 기관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국방차원의 ONS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향후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PCglobal 네트워크의 시사점 및 향후 추진 방향을 정리해 보고, 국방분야에서 RFID 시스템 도입사례와 향후 국방 RFID 추진방향, 국방 군수지원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군에 적합하고 인트라넷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한 MND-ONS(Military and Defense)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 Kim,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422-427
    • /
    • 2001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연간 4조원이 넘는 국가예산을 연구개발부문에 투자하는 사업으로 이 사업의 효율적인 관리는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직결. - 부처별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연구개발사업의 중복투자를 예방. 사업의 수행주체가 부처별로 나누어져 종합적인 정보자원의 획득과 사업관리에 어려움(20개 부처 60여개 과제관리기관) (중략)

  • PDF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보체계와 정보화사업의 현황 및 문제

  • Lee Yeong-Seong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4a
    • /
    • pp.1-26
    • /
    • 2001
  • 국가 보건의료체계(health care system)가 올바르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의료체계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간의 유기적인 상호 작용이 대단히 중요하다. 정보체계는 이러한 유기적인 상호 작용을 위해 보건의료체계의 각 영역에서 꼭 필요한 시스템이다. 보건의료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 투입하는 자원의 개발과 배치 체계는 물론 생산된 보건의료 서비스를 소비자가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전달체계(delivery system)의 전과정에서 보건의료정보체계는 중요한 인프라가 되고 있다. 정보체계는 궁극적으로 보건의료체계가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짜여져야 한다. 다시 말해, 의료체계의 각 하부영역에서 의료이용의 접근성(accessibility), 형평성(equity), 서비스의 의과학적 질(scientific technical quality), 포괄성(comprehensiveness) 등 보건의료체계가 추구하는 가치를 정보체계에서도 그대로 담아 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요건으로 각 사업 영역별 표준화, 사업 영역간의 상호관계, 공공과 민간의 역할 분담, 정보 관련 시선과 인력, 정보기술 등의 인프라, 각 사업 영역별 정보화에서 담아야 할 정보 내용(contents, DB) 등에 대한 사전 기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 동안 보건의료분야의 정보화사업은 1996년부터 보건소기관의 행정, 진료, 보건 업무지원을 위한 보건소정보화사업과, 1995년부터 초고속공공응용서비스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 온 전염병, 혈액유통, 장기이식, 외래진료예약, 원격진료, 응급의료, 원격치매진료 시스템 구축사업 등이 있으며, 응급의료, 혈액관리, 장기이식, 전염병정보, 외래진료예약시스템을 통합한 보건의료정보통합서비스시스템(1998년) 구축사업 등이 있었다. 이러한 사업들에 대해 현재 평가되고 있는 문제점들로는 정보화 사업에 대한 전략과 비젼이 부재한 상태에서 지나치게 정보기술 중심으로 추진되다 보니 보건의료 정보의 공유나 활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이었고, 시범사업의 경우는 초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주체가 명확하지 않았고, 관련 인력의 훈련과 양성이 안 되었으며, 사업 확대를 위한 법적 기반의 취약, 정보화 사업이 부실한 데 대한 평가 기준과 대안 제시 등이 매우 취약한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내용과 DB 구축을 위한 표준화 등에 대한 사전 설계 부재는 개발된 정보시스템의 운영을 결정적으로 어렵게 만든 요인이 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기존의 정보화사업은 사업 추진을 위해서 꼭 필요한 비젼 수립, 비젼에 따른 목표 설정, 전략 개발, 관리체계 구축, 운영방안 수립 등 단계적인 정보화 계획이 부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보건의료정보체계 구축을 위한 종합 비젼 기획(ISP)이 시급한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