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방

Search Result 47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xperiment for Combined Effect Analysis of Debis Flow Reduction Facilities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조합효과 분석 실험)

  • Jung, Wook Kyo;Jun, Kye Won;Choi, Jong Ho;Kim, 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80-180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재해의 다양화, 대형화 하고 있다. 그 중, 산지하천에서 발생하는 재해로는 토석류 재해가 있다. 일반적으로 토석류 재해는 발생시기, 발생 위치, 발생규모 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토석류 재해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국내에서는 사방사업을 주로 실시하고 있다. 사방사업에 이용되는 사방댐은 투과형 사방댐과 불투과형 사방댐으로 크게 분류된다. 불투과형 사방댐은 전체적인 토석류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투과형 사방댐은 바위, 토사 등을 물과 분리하여 토석류의 위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투과형 사방댐과 불투과형 사방댐의 장점을 이용하여 적절히 조합한다면 토석류 유출저감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조합형 사방댐의 저감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기능을 사방댐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사방댐은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 버트리스, 브레이커의 3가지 파트로 구성 하였다. 실험에 활용하기 위한 모형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하고, 각각의 조합에 따라 가장 높은 저감효과를 내는 조합을 찾기 위해 토석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in National Forests (I) - The Inspection Results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from 2009 to 2011 - (국유림 내 사방시설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I) - 2009~2011년 국유림 내 사방시설 점검 결과를 중심으로 -)

  • Lee, Sang-Ho;Jung, Cha-Sik;Kim, Jeong-Sig;Jung, Ho-Jin;Kim, Min-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2
    • /
    • pp.251-25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ield inspection results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within national forests and to suggest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 of erosion control facilities. The objects amounted to a total of 1,628 locations, comprising 308 erosion control dams and 1,320 erosion control areas (1,269.05 ha). The field inspections were conducted during March-June each year. The erosion control dams inspected were constructed during 1991-2005, with 96.4% of them, or 297 dams, constructed in or after 2000. The erosion control areas were constructed during 1986-2005, with 68.6% of them, or 903 areas, constructed in or after 2000. As for erosion control dams, there were 205 concrete erosion control dams and 68 concrete with boulder pitching erosion control dams, respectively, with 296 out of a total of 308 erosion control dams in a good condition. As for erosion control areas, there were many erosion control structures using stone masonry works and gabions, with 1,245 out of a total of 1,320 (94.3%) erosion control areas in a good condition. Overall, erosion control facilities within national forests were in a good condition, amply fulfilling their functions. As for erosion control facilities in a bad condition, they must be made to accomplish the goals of erosion control works through supplementation and repairs without fail. In addition, for the systemat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existing erosion control facilities and erosion control facilities constructed in the future as part of erosion control works, the construction of an erosion control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urgently needed.

Characteristic Analysis of Dredging and Sedimentation Debris Control Facilities in Inje, Gangwon (강원 인제지역 토석류 사방시설의 준설 및 퇴적 특성)

  • Park, Byungsoo;Jun, Sanghyun;Um, Jaekyung;Cho, Kwangjun;Yoo, Nam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1
    • /
    • pp.15-22
    • /
    • 2013
  • 5 each permeable and impermeable debris dam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redging and sedimentation according to facility type in Inje, Gangwon. Field tests for the ground water table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dams were performed. Furthermore, data of the dredging amount, storage capacity, and drainage area were analyzed for the 51 more debris control facilities. From the results of field tests, it was found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impermeable debris dam could be not enough when the large debris flow is produced since sediments are accumulated even if large debris flow was not occurred. Drainage can be a problem since the ground water table of impermeable debris dam was reached to the surface of groun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ground saturation should not occur at heavy rain since ground water table of permeable debris dam was located in lower part of buttress. Furthermore,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relation among the dredging amount, basin area, and capacity of debris control facility, it was found that size of debris control facility was not reflected by the basin area. Effective planning and construction should be accomplished for the future since the real sedimentation amount was not significant even though large debris dams were constructed.

레미콘에 의한 사방댐 시공방안

  • 한국레미콘공업협회
    • 레미콘
    • /
    • no.12 s.10
    • /
    • pp.85-87
    • /
    • 1986
  • 다음 자료는 산림청이 11월 12일 개최한 제17회 전국 사방실무세미나에서 경기도치산사업소 여재만씨가 개발, 발표한 내용이다. 「레미콘을 이용한 사방댐시공법」은 깬돌, 자갈, 잡석 등을 이용한 종래의 사방사업 시행때에 인력, 자재 확보난 등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공기단축과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새로 개발된 「레미콘을 이용한 사방댐시공법 」은 산림청에서 87년도 최우수 과제로 선정되어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 PDF

Phlogopite-Bearing Orthopyroxenite in Andong Ultramafic Complex (안동 초염기성암 복합체의 함금운모 사방휘석암)

  • Jeong, Gi Young;Lee, Seung Ryeol;Kwon, Seok-Ki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249-261
    • /
    • 2012
  • Phlogopite-bearing orthopyroxenite occurs in Andong ultramafic complex in a planar body of about 1 meter thick, and consists mostly of coarse subhedral to euhedral orthopyroxene crystals. Minor minerals are clinopyroxene, phlogopite, and plagioclase with trace chromian spinel, pentlandite, apatite, and zircon. Clinopyroxene occurs as either exolution lamella or interstitial fillings with phlogopite and plagioclase. Electron microprobe analysis showed that orthopyroxenes are entatite, while clinopyroxenes are diopside with little chemical variation through samples. Hydrous alteration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talc, amphibole, and serpentine from orthopyroxene, clinopyroxene, and plagioclase, respectively. The orthopyroxenite was probably formed by the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the ultramafic magma. Radiogenic dating of phlogopite and zircon of the orthopyroxenite would reveal the age of the Andong ultramafic complex.

Research on Environmentally-Sound Erosion Control Works(I) -Environment-oriented erosion control works in Japan- (환경(環境)과 조화한 사방사업(砂防事業)(I) - 일본의 환경보전사방(環境保全砂防) -)

  • Chun, Kun-Woo;Ezaki, Tsugi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2 no.1
    • /
    • pp.13-25
    • /
    • 1996
  • In recent erosion control works, securing not only the disaster prevention space but the environmental space, harmonized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bundant with biological resources, are emphasized. Inspired of by the fact that efforts to secure such spaces have been being briskly promoted in Japan since the beginning of 1990s', we compile and analyze the Japanese sources about the "environmentally-sound erosion control works" to contribute to the erosion control works of our country. Specifically, in this report, we deal with the subjects of "establishment of the comfortable river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ly-sound erosion control works" which includes "erosion control dam", "water channel works and revetments", "fish routes" and "water quality conservation works".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flow and outflow Using Erosion Control Dam in the Mountainous Watershed (산지유역에서의 사방댐 위어를 이용한 유입량 및 유출량 특성 분석)

  • Moon, Duck Young;Lim, Kwang Su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87-487
    • /
    • 2015
  •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 상,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우로 인해 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겨울과 봄에는 수자원이 부족한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홍수와 가뭄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지와 댐에서의 정량적인 물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신뢰도 높은 저수지 수문자료 생성을 위하여 상류지역에서 저수지로의 유입량을 정확히 계측하는 것은 저수지 관리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저수지 상류의 경우에는 대부분 산지 계곡 지형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유량측정에 사용되는 프로펠러 유속계를 이용한 도섭법 유량측정의 경우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유량 측정의 신뢰도가 매우 낮아지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K-water 연구원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뢰도 높은 유량측정을 위해서 2012년 10월, 전북 무주군에 위치한 덕곡제 상류 1km 지점의 사방댐에 예언위어를 설치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하였다. 사방댐은 보통 계곡과 같은 하상구배가 큰 산지 지형에서 갑작스런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급류로 산사태가 일어나는 것과 토사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건설되며, 이러한 사방댐에 예언위어의 설치를 통해 사방댐의 기존용도 외에 유량측정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방댐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유량 측정을 위해 폭 12m, 높이 20cm의 예언위어를 설치하였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을 선택하였다. 사방댐에 설치된 위어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유량 환산식에 대입을 함으로써 간단하게 유량산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방댐에 설치된 위어에 기포식 수위계를 설치하여 30분 단위로 수위를 측정하여 유출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근처의 플럭스 타워에 설치된 강우량계에서 측정된 강우량을 통하여 유입량을 산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유출률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사방댐을 활용한다면 인력에 의한 유량측정보다 저비용으로 신뢰도 높은 유량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수지에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Safety estimation of check dam in Muju region according to debris yield (토사유출에 따른 무주지역 사방댐의 안전성 평가)

  • Kwon, Hyuk Jae;Kim, Hyeong Gi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4 no.11
    • /
    • pp.915-924
    • /
    • 2021
  • In this study,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for 4 check dams in Muju mountain region have been estimated. From the results, optimum design of check dam and safety according to wild fire have been discussed. Reliability model has been established by using MSDPM for calculating debris yiel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of check dam.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for 4 check dams has been estimated according to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return periods (10year, 50year, 100year, and 200year). It was found that 1 check dam of Samga-ri basin and 1 check dam of Jeungsan-ri basin were designed by overestimation and 61% and 47% of capacity should be reduced, respectively. Furthermore, probability of exceeding capacity according to burned area has been estimated and compared. It was found that check dam of Sanga-ri basin is the weakest for the wild fire effect in this study area.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the construction of the check dam to reduce damage caused by debris flow (토석류 피해 저감을 위한 사방댐 설계 모의분석)

  • Lee, Seungjun;An, Hyunuk;Kim, Minseok;Ko, Heemin;Ku, Hyeonseung;Yu, Seu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2-92
    • /
    • 2022
  • 산 사면의 지반이 붕괴되어 흙, 모래, 자갈 그리고 물 등이 혼합하여 유동하는 토석류는 예측과 대비가 어려운 자연재해 중 하나 이다. 특히,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석류의 경우 매우 빠르게 유동하기 때문에 피해 예측이 제한적이다. 이러한 토석류가 도심지역 또는 마을주변에서 발생할 경우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토석류의 유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선 1차적으로 수치모형을 통한 전반적인 유동 및 피해 규모 예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방댐과 같은 구조물의 효율적인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수치모형을 통해 토석류의 유동을 분석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며, 사방댐 설계 분석 또한 수치모형과 실험을 통해 연구된 바 있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1) 발생부로부터의 거리, 2) 토석류 에너지의 감소, 3) 침식-연행 작용, 4) 사방댐의 용량 등이 효율적인 사방댐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된 바 있다. 하지만 위의 항목들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위에서 제시한 4가지의 항목들을 바탕으로 사방댐 설계에 중요한 요소를 평가하고 산정하고자 한다. 토석류의 유동과 사방댐을 모의분석하기 위해 Deb2D 수치모형을 활용하였으며, Voellmy 유변학적 모형과 침식-연행-퇴적 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토석류의 유동을 현실에 가깝게 모의하였다. 2011년 서울 우면산에서 발생한 산사태 유역들 중에서 래미안 아파트 유역과2019년 강원도 갈남리에서 발생한 산사태를 대상지구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가지 요소들 중에서 사방댐의 용량이 효율적인 사방댐 설계에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Topographical Changes in Torrential Stream After Dredging in Erosion Control Dam - Using Terrestrial LiDAR Data - (사방댐 준설이 계류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 지상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

  • Seo, Junpyo;Woo, Choongshik;Lee, Changwoo;Kim, Kyongha;Lee, Heo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3
    • /
    • pp.392-401
    • /
    • 2014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ountainous torrent on topographical change of slope and sediment volume within a deposit line by dredging of soil erosion control dam. Terrestrial LiDAR surveys were conducted at dredged and non-dredged sites. Terrestrial LiDAR has an advantage on detecting topographical changes easily without demanding workmanship and technical skill for users. The distribution of erodible slope ($20^{\circ}-40^{\circ}$) was higher in non-dredged site than that of dredged site. However, the distribution was higher in dredged site than that of non-dredged site after rainy season. Erosion and deposition appeared regularly in a dredged site, but those occurred irregularly in the non-dredged site. The inflow of soil per square meter was 1.7 times higher in dredged site than that of non-dredged site after rainy season. The difference of rainfall in each site did not affect to soil erosion. The distribution of erodible slope was increased in dredged site than that of non-dredged site after rainy season due to inflow of soil from upper stream caused by dred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