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물 인터넷 플랫폼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for Interoperability of IoT Platforms (IoT 플랫폼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기법 연구)

  • Kim, Nam-Woo;Son, Ji-Seong;Kim, Young-Ga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50-153
    • /
    • 2015
  •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사람의 간섭 없이도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하고 대화하여 주변 환경을 분석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IoT 장치 간의 플랫폼이나 서비스 요구사항 등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다른 제조사 또는 서비스 영역에서는 상호연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IoT 플랫폼들이 개발되었지만 이들 플랫폼 간의 상호운용성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IoT 플랫폼들 간의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하여 기존 IoT 플랫폼들을 분석하고,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DR; Metadata Registry) 기반의 새로운 IoT 플랫폼 참조모델을 제안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Light-Weight Virtual Machine for the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을 위한 경량 가상기계의 설계 및 구현)

  • Choi, Chanwhi;Son, Yunsik;Jeong, Junho;Lee, Ya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49-1152
    • /
    • 2017
  • 다양한 사물인터넷 장치 환경간의 응용 프로그램의 플랫폼 독립성을 지원하기 위해 가상기계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장치 환경은 가용 메모리가 한정적이므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가상기계의 동작이 가능하게 하려면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도록 경량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의 가상기계를 설계하여 가용 메모리가 적은 저성능 사물인터넷 기기에서도 동작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가상기계를 구조적으로 설계하여 다양한 사물인터넷 장치의 성능에 따라 적합한 구성으로 이식할 수 있다.

IoT-based Software Platform for Social Welfare System (사회복지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설계)

  • Kim, Dae-Young;Jang, Youme;Lee, Hwa-Min;Kim, Seo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548-549
    • /
    • 2016
  • 노령인구와 사회 취약 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노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또한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loT)이란 IT 기술의 발전을 통해 사회복지 체계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사물인터넷은 사물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함으로써 다양한 지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활용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사물인터넷 기반 사회취약 계층 서비스들은 Healthcare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사회복지 전 분야에 대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회복지 체계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IT 융합 기반 기술이 제공되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 체계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된 플랫폼은 loT 장치와 스마트 폰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 지원한다.

A Study on providing Open Home IoT Services of Brodcasting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방송통신사업자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 Kim, Cho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45-48
    • /
    • 2014
  • 최근 국내외에서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초(超)연결혁명이 진행 중이며, 앞으로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혁신과 사업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광대역 방송통신 인프라 및 IoT 기기 제조역량 등을 갖추고 있으나, 표준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의 부재로 국내 기업의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대기업은 개별적으로 플랫폼을 개발중이나 글로벌 시장에 대한 주도력이 부족하고, 중소기업은 플랫폼 부재로 시장진입이 어려워 향후 스마트 폰 산업에 이어 IoT 산업마저 글로벌 기업에 종속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홈 IoT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특정 플랫폼이나 솔루션에 제약 없이 다양한 IoT 기기를 연결, 제어가 가능한 표준 기반의 개방형 홈 IoT 서비스 제공 방안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된 개방형 홈 IoT 플랫폼을 통해 Z-Wave, IP, ZigBee, IrDA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홈 IoT 기기를 제어하고 정보 수집하여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이를 기반으로 플랫폼을 빅데이터 기술 및 기계학습 기능을 추가적으로 고도화하면 다양한 사물로부터 수집된 정보와 방송 정보, 웹 정보 등을 융합한 서비스 제공 등 소비자 중심의 창의적인 신규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 PDF

IoT based Creative Converg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창조적 융합 인재 육성)

  • Hwang, eui-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53-354
    • /
    • 2015
  • 디지털화로 기술과 세상변화의 속도가 갈수록 빠르다. 모든 사물과 사람이 하나로 연결된 초연결사회에서 이를 유기적 지능적 자율적으로 통제하는 'AtO(All to One, 합일제어)시스템'은 모든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하나로 연결해 통제하는 기술이다. 지난 10년 동안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세상을 어떻게 바꿔놓았는지, 앞으로 다가올 AtO세상을 창조적 인재육성으로 핵심 경쟁력과 글로벌 시장 활성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DF

해양 사물인터넷 시스템 기반 스마트 항로표지시설 고도화

  • 조성철;김형진;서석;신재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34-36
    • /
    • 2021
  • 미래 해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항로표지의 기술 및 역할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스마트한 해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 항로표지 통신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스마트 항로표지 시설 고도화를 위한 최적의 통신 시스템 및 다중 통신 플랫폼 개발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Remote Contr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Platform (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 스마트 홈 리모컨의 설계 및 구현)

  • Oh, Am-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12
    • /
    • pp.1563-1570
    • /
    • 2018
  •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is rapidly becoming a reality in many parts of our lives through various product services, and product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field of smart home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Most controllers for controlling various smart home products use smart phone applications. However, smart phone applications are not suitable as smart home controllers, contrary to smart home services that emphasize intelligence and convenience. In order to provide intelligent smart home service, intuitive form of smart home controller is needed, which enables integrated control of smart home devic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smart home remote control that can control the Internet devices and services of objects. The proposed smart home remote control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users can build a smart home service through the IFTTT(If This Then That) automated service platform.

A Study of the Internet of Thing Industry and Policy Implications (사물인터넷 산업 현황 및 정책적 대응방향)

  • Chun, Hw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724-727
    • /
    • 2014
  • This paper is analyzing the situ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ndustry and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Internet of Things industry. Major IT companies as Apple, Google, IBM, Sony, and Samsung have developed various smart glass and smart watch as a Iot products. In order to promote Iot Industry, we should take the build up of eco system between IT makers and the various contents provide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ata, development of killer applications and business models, and the conversion from IPv4 to IPv6 as a next internet address infra, build up of international standard platform on IoT.

  • PDF

사물인터넷기반 라이프케어 빅데이터 센싱기술

  • Jo, Wi-Deok;Choe, Seon-Tak;Baek, Jae-Sun;Min, Myeong-Gi;Lee, Yeong-Gwon;Lee, Gyu-Pil;Park, Gyeong-Chan;Lee, Jong-I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2 no.11
    • /
    • pp.21-31
    • /
    • 2015
  • 현대 사회에서의 삶의 모습이 다양해짐에 따라 생활습관이 다양해지고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생활습관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및 빅데이터와 같은 IT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생활습관을 추적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응용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활습관 추적 및 분석 기술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장애인, 생활습관병 환자 등 특수계층의 건강 예측, 질병 관리 분야에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센싱 기술에 초점을 두고, 낮 시간의 활동과, 밤 시간의 수면 및 위치 기반 기술, 빅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홈 패턴 모델링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Time Synchronization Method for Sensor Device Based on Low Power Consumption (저전력 센서 장치의 시간동기화 방법)

  • Kang, Sunghwan;Kim, Jongsun;Eom, J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903-906
    • /
    • 2016
  • 최근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관련 기술의 발전 및 서비스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센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센서 장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과의 연동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필수로 지원하여야 하며, 그 외에 다양한 센서들의 연동 인터페이스와 소비 전력을 모두 고려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센서 장치는 베터리 소비를 최적화하여 모든 기능이 구현되어야 하므로 기능상의 제약이 많이 따른다.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송신하는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슬립모드를 지원하는 경우 센서 장치가 항상 깨어 있어야하므로 저전력으로 동작 할 수 없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데이터를 센싱하는 주기에 맞춰 시간 동기화를 진행하는 프로토콜 및 지연 시간 계산 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기존 프로토콜들과 비교하여 경량화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향후 시간 동기화 프로토콜의 호환을 위해 CoAP 규격과 연동 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