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무용 건물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orecast Methodology study of power consumption using the RLS algorithm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in office buildings (사무용 건물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RLS알고리즘을 활용한 전력 사용량 예측방법론 연구)

  • Yoon, Seok-Ho;Song, Ji-eun;Kim, Bong-Jun;Cho, Cho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537-538
    • /
    • 2016
  • 본 논문은 사무용 건물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하여 실제 사무용 건물의 전력 사용량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RLS 알고리즘을 활용한 사용량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다. 예측모델을 통해 도출된 예측치와 실측 데이터 사이의 오차율을 계산하고, MA알고리즘을 사용한 예측값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변형된 RLS 알고리즘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량 예측 방법론의 타당성과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A Technology Trend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for Smart Green (스마트 그린을 위한 건물 에너지 관리기술 동향)

  • Huh, J.D.;Lee, I.W.;Park, K.R.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6
    • /
    • pp.21-36
    • /
    • 2011
  • 우리나라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형 주거 밀집공간, 대규모 상업건물, 정부 및 대기업의 사무용 공공건물에서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 건물 위주의 수동적 제어방법에서 한 단계 앞선 최신의 ICT 기술을 접목하여 능동적으로 건물 에너지를 관리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의 움직임 및 사용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즉, 조명, 냉난방/공조, 전기기기의 에너지 사용량을 30%까지 절감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는데, 본 고에서는 사용자의 만족도는 향상시키면서 건물 에너지는 절약할 수 있는 기술동향에 대해 언급한다.

  • PDF

Night Purge Evaluation Using the RTS-SAREK in Office Buildings (RTS-SAREK을 이용한 사무용 건물의 나이트 퍼지 성능 평가)

  • Shin, Dongshin;Park, Sungkeun;Park, Youngsoo;Park, Jisu;Lee, Jinyoung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7 no.12
    • /
    • pp.633-638
    • /
    • 2015
  • This study evaluates the capacity of night purging in office buildings to reduce the cooling load. RTS-SAREK is us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night purging on the steady state. To overcome steady state RTS program limitations, we added unsteady heat transfer equations. When the ACH (Air Change per Hour) increases, the wall temperature decreases in both the steady and unsteady states. The unsteady heat transfer rate is different from the steady transfer rate, which validates the unsteady calculation. When ACH is low, the heat transfer rate increases continuously with time. When ACH becomes higher, the heat transfer rate increases and decreases with time. When ACH is quite high, there exists a large difference in the heat transfer rate between the steady and unsteady calculations,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unsteady calculation.

Baseline Demand Forecast Model by End-Use in Commercial Buildings (건물용도별 End-Use 기준수요 예측기법)

  • Rhee Chang Ho;Park Jong 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680-682
    • /
    • 2004
  •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을 위해 서는 End-Use별로 수요예측과 잠재량 평가가 필수적이다. 업무용 전력수요는 건물용도에 따라 수요패턴이 상이하다. 여기서는 건물용도별 기준수요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과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시산분석을 하였다. 용도별 전력수요는 사무실, 호텔, 병원, 도소매, 학교, 창고, 식당, 식료품, 체육시설 둥 건물용도로 구분하였으며, End-Use는 이중 6개 용도에 대해 조명, 동력, 공조, 사무, 기타 등 5개로 나누어 추정하였다.

  • PDF

재실자의 피난 예측 Program 개발

  • Kim, Soo-Young;Yoon, Seung-Jin;Kim, Eung-Sik;Kim,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113-118
    • /
    • 1998
  • 현대에는 건물이 대형화, 고층화되어짐에 따라 많은 재실자들을 수용함으로써 대형 재난의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더욱이 건물의 미적인 면과 효율성이 강조됨에 따라 재난시 재실자의 대피에 영향을 주는 통로와 사무 시설 배치등과 같은 방과 건물구조의 용도 변경이 잦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안전적인 측면에서 특히 재실자의 대피는 피난 법규의 요구이외에는 설계시 특히 건물 내부의 용도 변경시 피난의 상황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는 설계자나 건물 관리인에게 있어서 안전의 개념의식이 미비한 점도 있지만 대피시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이에 본 논문은 동일 건물 구조하에서 재실자들의 대피 상황을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리 제시함으로서 설계 및 건물구조 변경시 건물 구조의 효율성과 안전성의 적절한 조화를 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중략)

  • PDF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8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Recommended Practice for a Reasonable Design Demand Factor and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y loads in Office Buildings (사무소용 빌딩의 부하종별 국내외 수용률 적용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Se-D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a
    • /
    • pp.113-117
    • /
    • 2005
  • 사무소용 빌딩과 같은 전력다소비 건물에서는 전력의 효율적 이용에 의한 에너지절감을 위해서 설계 단계부터 합리적인 전기설비 설계가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무소용 빌딩을 중심으로 일본과 우리나라에 있어서 일반전등전열부하 및 일반동력부하의 전력 소비특성을 조사 분석하였고, 전기설계사무소의 설계단계에서 적용하는 수용률값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전체 특징과 중심적인 경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평균값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중앙값 등의 특징파라메터를 분석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한 선형적인 방법과 비선형적인 방법으로 그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합성 수용률/부등률 평균값은 46.4%로 나타나 전력용변압기는 용량에 있어서 많은 여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변전설비용량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하여 부하종별 수용률 기준(안)을 제시하였고, 변전설비용량 산정에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 PDF

특정 실험실 조건에서의 사무실용 낮은 칸막이의 소음감쇠성능 측정방법 KS제정을 위한 ISO 규격내용 분석

  • Yang, Kwan-Seop;Jeong, Seong-Soo;Kim, S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11a
    • /
    • pp.21-24
    • /
    • 2006
  • 대부분의 사무용 건물은 코아 부분(엘리베이터 홀, 화장실, 계단 등)을 제외하고는 Open 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서간에는 천장 면까지 도달하는 경량벽체를 설치하여 독립된 공간을 구획하고, 부서내부에서는 직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은 용이하게 하는 대신에 최소한의 독립성을 제공하기 위해 낮은 칸막이 등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사무실에 사용하는 칸막이 벽체 중 천장 면까지 도달하는 칸막이에 대해서는 KS F 2808(건물 부재의 공기전달음 차단성능 실험실 측정방법)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차음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나 낮은 칸막이에 대해서는 소음저감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방법에 관한 규격이 없다. 따라서 기존에 있는 모든 KS 규격들은 국제표준규격인 ISO와의 부합화가 이루어졌거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정부의 방침에 따라 본 낮은 칸막이에 대한 소음감쇠량 측정규격 또한 ISO규격(ISO 10053(음향- 실험실 조건에서의 사무실 스크린의 소음저감성능 측정방법))을 받아들이기 위해 ISO규격 내용을 검토하였다. 향후 이 규격이 그대로 우리나라 규격으로 제정될 때 나탈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에 있는 반 무향실에서 낮은 칸막이의 실제 소음저감 성능을 실시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