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면재해

Search Result 20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Slope Disaster Hazard Using Infinite Slope Model and GIS (무한사면해석기법과 GIS를 이용한 사면 재해 위험성 분석 및 검증)

  • 박혁진;이사로;김정우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4
    • /
    • pp.313-320
    • /
    • 2003
  • Slope disaster is one of the repeated occurring geological disasters in rainy season resulting in about 23 human losses in Korea every year. The slope disaster, however, mainly depends on the spatial and climate properties. such as geology, geomorphology, and heavy rainfall, and, hence, the prediction or hazard analysis of the slope disaster is a difficult task. Therefore, GIS an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are implemented for slope disaster analysis. In particular, GIS technique is widely used for the analysis because it effectively handles large amount of spatial data. The GIS technique. however, only considers the statistics between slope disaster occurrence and related factors, not the mechanism. Accordingly. an infinite slope model that mechanically considers the balance of forces applied to the slope is suggested here with GIS for slope disa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infinite slope model has a possibility that can be utilized for landslide prediction and hazard evaluation since 87.5% of landslide occurrence areas have been predicted by this technique.

Analysis of Slope Hazard Triggering Factor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n Korea Over the Past Four Years (최근 4년간 국내 사면재해 현장조사를 통한 유발인자 분석)

  • Jun, Kyoung-Jea;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1 no.5
    • /
    • pp.47-58
    • /
    • 2015
  • Triggering rainfall and geologic conditions with the state of slope hazard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and collected data on the slope hazard during the period between 2011 and 2014 in Kore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ost of slope hazards occurred in metamorphic rock and debris flow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slope hazard. Slope hazard increased when the higher monthly mean rainfall was recorded. However, most of slope hazard occurred when certain time elapsed after the moment of maximum hourly rainfall. Finally, more than one month of long-term rainfall was shown to be related to the frequency of slope hazard in the period.

태풍 루사에 의해 발생한 사면재해의 특성

  • 장현식;박혁진;장범수;송윤섭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76-279
    • /
    • 2003
  • 우리나라의 사면관련 붕괴 사고는 주로 해빙기와 7~9월 사이의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된다. 방재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사면과 관련된 재해, 즉 축대, 옹벽, 절토사면의 붕괴 및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에 의하여 매년 평균 23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며 이는 전체 재해로 인한 연 평균 사망자(109명)의 2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2년 8월 4일에서 11일 사이의 경기, 강원, 영남 지역의 집중호우로 인해 실종 1명을 포함하여 1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사면재해 관련 피해자는 12명이었다. (중략)

  • PDF

Analysis of the Groundwater level and Characteristic of the Slope-related Disasters according the Infiltration (침투량에 따른 사면재해의 특성 및 지하수위 분석)

  • Moon, Young-Il;Shin, Dong-Jun;Oh, Keun-Taek;Shin, Heung-Kun;Lee, Su-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07-1512
    • /
    • 2007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사면재해는 7월${\sim}$9월, 즉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대부분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강우는 사면재해를 유발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사면재해는 매우 짧은 시간에 일어나며,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강우 발생시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하는 경우에 보다 합리적으로 강우의 특성을 적용할 수 있다면 강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면재해를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사면 해석시 강우에 대한 인자는 강우강도를 적용하며, 이는 사면에 거의 모든 강우가 침투된다고 가정하여 지하수위를 산정하지만, 이는 유출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위 예측 프로그램인 SEEP/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침투량에 따른 사면의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이를 위해 기상청 산하 서울 지점의 1961년부터 2005년까지의 시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산정된 값을 해석적 침투모형에 의하여 침투량을 계산하여 합리적으로 침투량을 해석단면에 적용하여 지하수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연구하였다.

  • PDF

Analysis of Slope Hazard-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사면재해 유발강우특성 분석)

  • Yune, Chan-Young;Jun, Kyoung-Jea;Kim, Kyung-Suk;Kim, Gi-Hong;Lee, Se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10
    • /
    • pp.27-38
    • /
    • 2010
  • In every summer season, most of the slope failures and debris flows occurr due to seasonal rain, typhoon, and localized extreme rainfall in Gangwon Province where 83% of the area is of mountain region. To investigate the slope-hazard 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slope hazard data, precipitation records, and forest fire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DATABASE showed that many slope hazards occurred when there was little rainfall and the preceding rainfall had more effect on the slope hazard than the rainfall intensity at the day of hazard. It also showed that the burned area by forest fire was highly susceptible to slope hazard with low rainfall intensity, and the slope hazard in burned area showed highest frequency, especially, under the rainfall below 2-year return period.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예측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eong;Cha, Sang-Hwa;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2-515
    • /
    • 2012
  • 최근의 재해 발생은 하천에 의한 범람, 제방의 붕괴 등에 의한 피해발생보다는 일정지역에 국한적으로 내수배제 불량, 토사유출,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도시지역과 신규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배수로 막힘, 산사태등의 2차적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1년의 서울의 우면산 산사태 등과 같은 도시중심에서의 피해와 강원도 등의 신규개발지역에서의 토사로 인해 2차, 3차 피해는 국지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곳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사유출, 산사태에 의한 예측기법은 최근의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다 다양한 방법의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기법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지형의 소규모 개발지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IS 기술을 이용한 사면의 안정성과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Pack et al. (1998)이 제안한 수리적 무한사면 안정모델과 결합하여 사면안정분석을 위해 개발된 SINMAP을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석류 해석과 사면의 안정성 검토 그리고 범용토양공식을 이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개발지역내 사면 및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형적 특성에 따른 사면의 위험성과 토사유출량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정량적이고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재해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노출하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field survey technique on the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의 조사기법 개발 및 적용)

  • Song, Yeong-Seok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90-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연사면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급경사지 대응공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을 합리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자연사면에 설치된 급경사지 대응공법의 특징을 기록할 수 있는 현장조사 양식을 개발하였다. 자연사면에서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은 사면부 적용공법과 계곡부 적용공법으로 분류한다. 따라서 개발된 조사양식도 사면부과 계곡부로 구분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무주 및 장수지역에 설치된 50개소의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에 대한 현장조사결과 사면부의 경우 비탈다듬기와 표면보호를 위한 선떼붙이기, 비탈덮기 등이 주로 보강되어 있다. 계곡부의 경우 대부분 콘크리트 사방댐과 기슭막이가 시공되어 있으며, 슬랫댐과 콘크리트 사방댐 및 기슭막이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The Factors Considered for Disaster Prevention in Surface Investigation of Rock Slope (암반사면 표면조사시 재해 예방을 위한 고려요인)

  • Le, Seok-Jin;Jun, Sung-Yong;Lee, Joo-Ho;Choi, Seong-R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2
    • /
    • pp.75-83
    • /
    • 2009
  • When the exposed surface of rock slopes investigated, various factors have not been considered. The factors required to be considered include the vlume swelling of rock caused by stress release at the fault zone, unexposed discontinuities in the earth and so on. Also, rock slope failure occurs sometimes due to these factors. In this paper, we intend to help engineers to judge about the stability of similar new cutting-slopes or the maintenance of already cut-slope, so that they can consider these factors.

  • PDF

Making a Hazard Map of Road Slope Using a GIS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GIS와 Logistic 회귀모형을 이용한 접도사면 재해위험도 작성)

  • Kang, In-Joon;Kang, Ho-Yun;Jang, Yong-Gu;Kwak, Young-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1 s.35
    • /
    • pp.85-91
    • /
    • 2006
  • Recently, slope failures are happen to natural disastrous when they occur in mountainous areas adjoining highways in Korea. The accidents associated with slope failures have increased due to rapid urbanization of mountainous areas. Therefore, Regular maintenance is essential for all slope and needs maintenance of road safety as well as road function. In this study, we take priority of making a database of risk factor of the failure of a slope before assesment and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mmend a standard of Slope Management Information Sheet(SMIS) like as Hazard Map. The next research, we suggest to pre-estimated model of a road slop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 PDF

A Study of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Reinforcement on Colluvial Soil Slope in Hyusok, Danyang (붕적토 사면의 안정성 해석과 보강 대책에 관한 연구 - 단양군 휴석동 붕괴사면을 중심으로-)

  • 구호본;이종현;백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6
    • /
    • pp.43-50
    • /
    • 2000
  • 충북단양군 영춘면 휴석동 지역에 위치한 위험사면은 1972년 456mm의 집중강우에 의해 사면붕괴가 발생하여 가옥 2채붕괴 등의 피해를 유발시켰으며, 지속적인 지반침하가 진행되고 있다. 남한강 하류에 접하고 있는 상기의 위험사면은 산사태에 의한 토사의 이동시 남한강을 덮치게 되어 그 유로의 변화를 일으켜 영춘면의 지역의 침수피해의 대규모의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상기 위험사면에 대한 지반조사, 지하수 특성 조사 등을 통해 붕적토 사면의 안정해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조강 대책안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재해 예방을 도모하고자 한다. 보강대책을 붕적토 사면의 거동특성과 위험사면의 지형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집수정, 수평배수공, 앵커공 및 보강토 옹벽의 복합공법에 의해 위험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