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면안정성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3초

시멘트 계 재료를 사용한 녹생토의 내구성 및 사면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Durability and Slope Stability of Green Soil using Cementitious Materials)

  • 김일순;최윤석;양은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5-53
    • /
    • 2018
  • 다양한 사면 안정 공법 중 식물의 생육을 기반으로 하는 녹생토 공법의 경우,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급경사지나 암반 사면에 시공시 내구성 및 사면 안정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계 재료를 사용하여 부착강도를 확보하고 ECG를 첨가하여 식생환경을 개선한 녹생토를 개발하였으며, 내구성 및 사면 안정성 등을 평가하여 암반 식생 기반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개발 녹생토의 점착력 및 내부 마찰각은 현장 녹화토 보다 높게 측정되어 현장 시공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경도는 26 mm 수준으로 식물의 가장 좋은 생육조건인 18~23 mm를 약간 상회하였으며, 건조수축은 약 3%의 수축률을 나타내어 녹생토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면 부착력을 평가하기 위한 강우강도 모사 실험 결과 모든 사면에서 붕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사면이 급경사일수록 강우에 의한 손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녹생토는 내구성 및 사면 안정성이 우수하여 암반 사면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속체 역학을 이용한 사면의 한계상태 해석 (Limit State Analysis of Earthern Slope Using a Continuum Mechanics Approach)

  • 서영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41-148
    • /
    • 2000
  • 사면 안정 해석은 주로 파괴 활동면의 전단 강도와 발휘되는 전단 강도의 최대비로서 표현되는 파괴활동의 추정을 위해 기존의 고전적인 방법을 사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등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토질에 있어서의 상호 작용력과 그에 따른 전당력 및 사면 활동면의 반복되는 추정등의 가정으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질전체를 연속체로 규정하고 비선형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토질의 실제 응력과 강도를 정확하게 계산하였다. 사면 안정은 점차적 인증력의 증가로서 사면의 붕괴 활동면이 나타나FEo 까지로 해석되었다. 제시된 방법의 세부적인 사항은 예제를 통하여 설명되어 있다.

  • PDF

사면붕괴 예.경보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Early Warning System for Slope Failure)

  • 김학승;조남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9-17
    • /
    • 2004
  • 최근 발생하는 집중호우 및 태풍을 동반한 국지성 호우로 인한 사면붕괴가 자연재해 피해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면붕괴로 인한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붕괴를 예지하기 위하여 예 경보시스템 도입에 대한 검토를 다음 사항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 (1) 사면붕괴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다. (2)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면안정성 평가기준을 검토한다. (3) 사면의 지형적 지질학적 특성뿐 아니라 사면을 구성하는 물질들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그리고 (4) 사면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들을 결정한다. 사면 예 경보는 자동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분석하면 관리 기준값과 비교를 통하여 예 경보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관리 기준값은 경보단 산정의 기준이 되는 1차, 2차 기준값으로 구분하였는데, 측정된 계측 데이터의 분석 및 연구를 통하여 기준값의 지속적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다짐지반에 조성되는 굴착사면의 비등방성 전단강도를 고려한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es for Excavated Slopes Considering the Anisotropic Shear Strength of the Layered Compacted Ground)

  • 이병식;윤요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27-35
    • /
    • 2002
  • 원 지반을 성토하여 인공적으로 형성된 다짐지반에 터파기를 하여 관을 매립하거나, 암거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 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 때 조성되는 임시굴착사면의 기울기를 적용함에 있어서 실험이나 사면안정해석 등의 적절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사면붕괴가 발생하여 인명 피해는 물론이고 공기의 지연 및 공사비의 증액 등 크고 작은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임시사면의 안정성 검토를 위해 대표적인 경우들에 대한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사면안정에 대한 다짐지반의 비등방성에 따른 전단강도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해석에서 적용한 다짐지반의 비등방성 전단강도는 전단면과 다짐층 간의 경사를 변화시키면서 수행한 일련의 직접전단시험으로부터 추정하였다. 해석 결과, 비등방성을 고려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임시사면의 적절한 안정기울기가 소폭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그러나, 이에 따른 안전율의 변화나 파괴면의 양상은 그리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에 의한 암반사면 파괴 해석 사례 연구를 통한 해석방법 적용성 검토 (Review of Applicability of Analysis Method based on Case Study on Rainfall-Induced Rock Slope Failure)

  • 정자혜;김우석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267-274
    • /
    • 2017
  • 암반은 암석재료 자체의 역학적 성질과 암반내에 분포하는 불연속면의 기하학적 특징에 의해 그 역학적 특성이 좌우된다. 암반사면의 경우에는 불연속면에 의해 특히 파괴면의 위치와 파괴후의 거동 등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불연속면의 규모에 따라 암반사면의 파괴형태가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원호파괴와 평면파괴 안정해석을 위한 2개의 3D 해석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사면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원호파괴의 경우, 자연건조상태에서는 안정하지만 강우에 의해 표층 함수비가 증가하면 불안정해지는 해석 결과를 얻었다. 평면파괴의 경우도 강우에 의해 불연속면 자체의 마찰각이 감소하는 영향에 의해 건조상태보다 불안정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해석 결과로부터 실제 사면에서의 현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아, 개발된 해석방법이 사면안정성 검토 또는 유지관리의 목적으로 적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3차원 사면안정해석을 이용한 활동지괴 가장자리부의 전단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ar Resistance Effect along Marginal Region of Sliding Mass using 3D Slope Stability Analysis)

  • 서용석;태전영장;채병곤;윤운상
    • 지질공학
    • /
    • 제14권4호
    • /
    • pp.451-460
    • /
    • 2004
  • 사면안정해석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2차원 한계평형해석에서는 활동면의 강도를 활동면 전체에 동일하게 설정한다. 그러나 사면의 활동면에서 저면부와 가장자리부의 강도는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4가지 절취모델을 이용한 3차원 사면안정해석의 결과에 따르면 활동면내에서 가장자리부의 저항력이 사면의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차원 사면안정해석에서 활동면 강도를 저면부와 가장자리부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지금까지 고려하지 못했던 사면 가장자리부의 전단강도가 사면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활동 저면부의 저항력이 낮은 경우에는 사면의 측부 절토에 의하여 안전율이 크게 저하되며, 저항력이 높은 경우에는 말단부 절토에 의하여 안전율이 저하되고 두부 절토에 의하여 안전율이 향상된다.

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BIPS)를 이용한 사면 안정성 해석

  • 유병옥;김병섭
    • 지구물리
    • /
    • 제5권2호
    • /
    • pp.111-129
    • /
    • 2002
  • 일반적으로 사면에 대한 조사방법은 지표지질조사를 실시하여 불연속면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보편화 된 방법이나 제한된 영역의 정보만을 획득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절취사면에서 활동면 또는 활동가능한 연약한 파쇄대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토모그래피,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 탐사와 같은 지구물리탐사 방법을 이용하나 최근에 사용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시추공벽의 화상을 촬영하여 직접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에 비해 보다 확실히 활동가능면을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도로 현장에서 붕괴가 발생한 사면의 붕괴원인과 활동면을 추정하고 굴착이 되지 않은 대절토 사면의 활동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시추조사를 실시한 후 BIPS(Borehole Image Processing System) 장비를 도입하여 사면내의 활동가능성 예측 및 불연속면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굴착시의 사면안정 문제를 예견해 보았다. 붕괴가 발생된 사면에서는 활동가능성이 있는 점토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굴착되지 않은 사면에서는 주절리군의 발달방향이 사면방향으로 경사져 활동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어 사면에 대한 안정대책을 제시하였다. 특히, 굴착되지 않은 절토사면은 굴착 후에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면경사 완화방안은 지형이 급경사를 형성하여 100m 이상의 장대면을 형성하므로 사면을 앵커로 보강하는 방안 및 절토구간을 터널로 변경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경상남도에서 발생한 암반사면의 파괴유형 연구 (Investigations on the Failure Modes of Rock Slopes in Gyeongsangnam-do)

  • 박춘식;하정철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6호
    • /
    • pp.569-583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일대의 도로 및 산업단지 시공과정에 발생된 암반사면에 대하여 현장조사 및 기존 조사자료 등을 토대로 붕괴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분석하여 붕괴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직접 조사한 사면가운데 붕괴가 발생한 사면의 경우 붕괴특성을 분석하여 붕괴사면 자료의 계속적인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리 및 분석을 통해 붕괴사면 예측 및 예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절토사면의 붕괴특성에 사용된 평가항목은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 기존에 사면 안정성 평가에 많이 사용된 평가항목을 비교하여 중복되는 요소들 중에 객관적인 평가항목으로 볼 수 있는 항목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암반사면의 파괴유형은 기반암의 암종에 따라 평면파괴, 쐐기파괴, 원호파괴, 전도파괴 등의 양상이 다르게 발생하므로 사면의 안정성을 검토할 경우 반드시 지표지질 조사를 실시하여 기반암의 암종을 분석한 후 그에 따른 사면의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절토사면 수리제어공법과 유지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A Study about hydraulic condition & maintenance of cut slope)

  • 이승우;신창건;박재영;박영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349-1357
    • /
    • 2010
  • 절토사면의 안정성은 1차적으로 사면 자체의 지반 구조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2차적으로 강우와 강설에 의한 수리적인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매 년 여름 집중호우 기간에 많은 사면들이 붕괴되는 사례를 볼 때, 수리적인 요소가 사면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리제어공법의 목적은 물이 배수될 수 있는 길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그 목적은 매우 간단하다. 하지만 공법이 시공된 이후 강우와 강설로 인해 유입되는 토사, 낙엽이 관리 소홀로 도수로나 배수로를 막아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발생한 국내 사례를 통해 사면에 적용되는 수리제어공법들의 유지관리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