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망

Search Result 4,570,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Examination on Data for the Estimation of Infant Mortality Level (영아사망수준 추정 자료에 대한 고찰)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4 no.1
    • /
    • pp.67-90
    • /
    • 2001
  •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estimated period birth rates, period death rates, and probability of dying for infant(q$q_{0}$) at period life table, considering the unregistered infant deaths. A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conducted 1993 and 1996 birth cohort infant death surveys. KNSO re-estimated infant mortality levels(especially q$q_{0}$). For the re-estimation, reference data were derived from death registration. MHW surveys, death registration of developed countries. Model Life Tables, and Life Table for Japan. Seventeen simulations were made by the combination of estimation methods and reference data. The final $q_{0}$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_{0}$ of MHW 1993 survey and $q_{1-4}$ of registered deaths for the period of 1971~1997. For 1993, $q_{0}$ was calculated directly from the 1993 MHW survey and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were made for 1995 and 1997 using the relative decrease rates of $q_{0}$ between 1993 and 1996 MHW surveys. Utilizing the formular of Coale-Demeny North Model, $q_{0}$ was transformed into $m_{0}$ for the period 1971~1997. Finally, cremation data are found to be very useful for the estimation of 1998 infant mortality level by supplementing unregistered infant deaths, especially neonatal deaths. Furthermore, they are found to be very useful to produce fetal and perinatal death statistics.

  • PDF

암발병 추이와 최근 암 연구 동향

  • 박민선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342-348
    • /
    • 2004
  • 암은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을 넘어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생활 양식의 변화와 더불어, 암 이환율 및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Table 1은 주요질병사망 원인의 변천을 보여주고 있으며, 1990년 암사망은 10만명당 105.2명에서 2000년 123.5명으로 뇌혈관 및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을 앞지르고 있다.(중략)

  • PDF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시도의 사망원인별 사망력)

  • Park Kyung 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6 no.2
    • /
    • pp.1-32
    • /
    • 2003
  • An analysis on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policy formulation and makes it possible to draw hypotheses regarding various diseases and causes of death. Although the mortality level and causes of death at the provincial level are determined by the multiple effects of socioeconomic, cultural, med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is study primarily intends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Utilizing the registered death and the registered population as of 1998, the delayed death registration and unreported infant deaths were supplemented at the provincial level and age-standardized death rates and life tables were calculated. Regarding the mortality level due to all cause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For both sexes as a whole, Seoul showed the lowest mortality level, and Jeonnam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level; and (2) The differences of the mortality level among provinces were greater for males than females and for those less than 65 years than those 65 years and over. Regarding the cause-specific mortality level revealed in all indicators (cause-specific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and the probability of dying at birth due to a specific cause for males, females, and both sexes combined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The mortality level due to heart diseases was the highest in Busan and the lowest in Gangweon; (2) The mortality level due to liver diseases was the highest in Chonnam; and (3) The mortality level due to traffic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Chungnam and the lowest in Inchon. A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at the provincial level are related to various factors, exploratory statistical analysis is attempted for the 25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and 90 mortality variables. Mortality due to all causes are related to socioeconomic variables. Among cause-specific mortality, mortality due to liver diseases and traffic accidents is related to socioeconomic variables. Finally,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eath certificate is discussed.

A Two Factor Model with Mean Reverting Process for Stochastic Mortality (평균회귀확률과정을 이용한 2요인 사망률 모형)

  • Lee, Kangsoo;Jho, Jae Ho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3
    • /
    • pp.393-406
    • /
    • 2015
  • We examine how to model mortality risk using the adaptation of the mean-reverting processes for the two factor model proposed by Cairns et al. (2006b). Mortality improvements have been recently observed in some countries such as United Kingdom; therefore, we assume long-run mortality converges towards a trend at some unknown time and the mean-reverting processes could therefore be an appropriate stochastic model. We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two-factor model incorporated with mean-reverting processes by a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to fit United Kingdom mortality data from 1991 to 2015. We forecast the evolution of the mortality from 2014 to 2040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in order to evaluate the issue price of a longevity bond of 25 years maturity. As an application, we propose a method to quantify the speed of mortality improvement by the average mean reverting times of the processes.

Life Expectancy and Causes of Death for the elderly of Korea, USA, and Japan (한미일 노인의 기대여명과 사망원인)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97-119
    • /
    • 1999
  • 한국, 일본, 미국의 생명표, UN의 인구연감, WHO의 세계보건통계연감 등 공식통계를 활용하여, 한국 노인의 기대여명 및 사망원인별 사망력을 미국 및 일본과 비교하여 파악하고 있다. 한국 노인의 기대여명은 미일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데, 1970년대 중반 이후는 미국처럼 여자보다 남자 노인의 기대여명 증가가 빠르면서, 남녀 노인의 기대여명 차가 감소하고 있다. 1997년 현재 65세시 기대여명은 남자 13.64세, 여자 17.26세로 남녀간 3.62세 차이를 보이며, 출생후 남자 72%, 여자 88%가 65세까지 생존한다. 노인의 주요 사인은 미일과 마찬가지로 순환기계질환 및 악성신생물인데, 순환기계질환중 한일은 뇌혈관질환이, 미국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이 노인의 주된 사망원인이 된다. 한국 남녀 노인의 연령층과 상관없이 허혈성 심장질환 및 폐렴 사망률은 미일보다 낮고, 뇌혈관질환, 고혈압성질환, 위암, 간암, 결핵, 당뇨병, 정신 및 행동장애, 간질환 및 교통사고 사망률은 미일보다 높다. 대부분의 사망원인에서 남자사망률이 여자사망률보다 높지만, 한국의 고혈압성 질환, 간암, 폐암 및 간질환에 의한 성별 사망률 격차가 미일보다 크며, 한미일 모두 75세 이상 노인의 정신 및 행동장애에 의한 여자 사망률보다 남자사망률보다 높게 나타난다. 사망원인 생명표 작성결과를 보면, 1997년 현재 한국의 65세 남성과 여성은 순환기계질환 제거시 각각 3.47년과 2.7년을, 악성신생물 제거시 각각 3.87년과 1.58세의 기대여명 증가를 예상할 수 있고, 일본에 비해 특정 사인을 제거시 상대적으로 많은 기대여명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사망원인은 남자 노인의 간질환 및 교통사고를 들 수 있다.

  • PDF

An Extension of Mortality for Oldest-Old Age in Korea (우리나라의 초고령 사망률의 확장에 대한 연구)

  • Kim, Seong-Yong;Kim, Kee-Whan;Park, You-Sung
    • Survey Research
    • /
    • v.12 no.2
    • /
    • pp.1-26
    • /
    • 2011
  • Mortality for oldest-old age (aged 80 or over) in Korea has never been studied mainly due to lack of data leaving its quality aside. The rapid aging recently occurring in Korea, which no other country has never experienced, must introduce a drastic change in the structure of future population pyramid, requring a careful investigation on mortality level, pattern, and trend for the oldest-old age in Korea. For mortality trend, we need to extend the past mortality data, which has provided only an open-ended age interval 80 or 85 years and over, to age-specific mortality up to 115 years old. A prerequisite for such an extension is constructing a Korean standard mortality by which one can figure out the mortality level and pattern of the oldest-old age. A Korean standard mortality is proposed by applying one relational model and eleven functions from which we select best models for each sex in terms of three measures of fits and three consistencies of mortality. Then we extend the mortality of the open-ended age intervals by providing a method to avoid the longitudinal consistency of mortality.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tochastic mortality models considering cohort effects (코호트 효과를 고려한 확률적 사망률 예측 모형의 비교 연구)

  • Kim, Soon-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4 no.3
    • /
    • pp.347-373
    • /
    • 2021
  • Over the past 50 years, explorative research on the nation's mortality decline patterns has showed a decrease in age-specific mortality rates in all age groups, but there were different improvement patterns in specific mortality rates depending on ages and periods. Greater distinc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mortality rates among women than men, and there was a noticeable improvement in mortality rates in certain groups especially in the more recent decades, revealing a structural change in the overall trends regarding death periods. In this paper, we compare various stochastic mortality models considering cohort effects for mortality projection using Korean female mortality data and further explore the uncertainty related to projection. It also created age-specific mortality rates and life expectancy for women until 2067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compared them with future age-specific mortality rates and life expectancy provid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ISIS). The best optimal model could vary depending on data usage periods. however, considering the overall fit and predictability, the PLAT model would be regarded to have appropriate predictability in terms of the mortality rates of women in South Korea.

The Comparison of Risk-adjusted Mortality Rate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한국과 미국 의료기관의 중증도 보정 사망률 비교)

  • Chung, Tae-Kyoung;Kang, Sung-H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5
    • /
    • pp.371-38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isk-adjusted mortality model using Korean Hospital Discharge Injury data and US Na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 data and to suggest some ways to manage hospital mortality rates through comparison of Korea and United States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HSMR). This study used data mining techniques, decision tree and logistic regression, for developing Korea and United States risk-adjustment model of in-hospital mortality. By comparing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HSMR) with standardized variables, analysis shows the concret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le Korean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HSMR) is increasing every year(101.0 in 2006, 101.3 in 2007, 103.3 in 2008), HSMR appeared to be reduced in the United States(102.3 in 2006, 100.7 in 2007, 95.9 in 2008). Korean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s(HSMR) by hospital be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A two-aspect approach to management of hospital mortality rates is suggested; national and hospital levels. The government is to release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HSMR) of large hospitals and to offer consulting on effective hospital mortality management to small and medium hospital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Fiscal Indices and Standardized Mortality rate (지역 재정지표와 표준화 사망률의 관련성)

  • Han, Ji-Yeon;Na, Bak-Ju;Lee, Moo-Sik;Hong, Jee-Young;Lim, Nam-G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072-1076
    • /
    • 2010
  • 본 지역 재정지표와 표준화사망률간의 관계에 대한 것으로, 연구대상지역은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전국 232개 시 군 구이며 이를 5개 광역권과 4개 도시 종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지역 재정지표는 1인당 지방세부담액과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의존재원비율을 활용하였고, 지역 총사망률은1998년에서 2007년까지의 통계청 사망 원자료 상의 사망자수를 분자로, 주민등록인구를 분모로 직접 표준화법을 사용하여 연구대상 지역의 성 연령표준화사망률을 산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K를 이용하여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Tukey b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재정지표와 표준화사망률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연도별로 계수 값을 구한 결과 1인당 지방세부담액을 제외하고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의존재원비율 모두 남자, 여자, 전체 모두가 전 연도에 걸쳐 상관계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각각을 표준화사망률과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화사망률 남자, 여자, 전체가 전 연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가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역권역, 도시 종류까지 고려한 재정지표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인당 지방세부담액과 의존재원비율, 광역권역과 도시 종류에 따른 지역을 고려하고도 재정자주도의 효과는 전체사망과 남자, 여자, 전 연도에 걸쳐 모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여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런 경향은 여자보다 남자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광역권별 분석의 경우, 충청권은 수도권에 비해서 표준화사망률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호남권과 영남권은 전체 표준화사망률의 경우 전체 연도의 절반 이상에서 수도권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남자와 여자에서는 이런 경향이 약해졌다. 강원 제주권은 전체 사망에서 수도권에 비해 전체 연도의 절반 이상이 유의하게 사망률이 낮았으며, 여자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도시 종류에 따른 분석에서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 연도에 걸쳐 도농통합도시와 군지역은 대도시에 비해 통계적으로 사망률이 높았다. 여섯째, 전 연도에 걸쳐 의존재원비율이 높아질수록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는 남자, 여자 모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분석 이후 1998년에서 2007년 전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사망과 여자의 경우 1인당 지방세부담액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지역의 재정력이 성 연령 표준화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를 단서로 지역의 건강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과 기전을 밝히기 위해 향후 보다 면밀한 후속 연구가 이뤄져야 하겠고 지역 간 건강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여러 방법론적 고찰 안에 지역간 재정력의 격차를 완화하려는 정책적인 접근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Cancer Mortality from Various Sources of Data (자료원별 암사망 통계치의 비교 분석)

  • Choi, S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5
    • /
    • pp.25-48
    • /
    • 2006
  • 연구배경 : 우리나라에서 암발생 및 암사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암관리에 대한 국가적인 관리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필수적인 암사망통계 자료 및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료원별로 암사망통계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1997년부터 2002넌까지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연보, 보험개발원의 생명보험 사망원인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연령별, 성별, 암종류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전체 암종류별 사망분율은 통계청 자료에서는 폐암이 가장 높았고 보험개발원 자료에서는 간암이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남자의 경우 통계청과 보험개발원의 암종류별 사망분율은 모두 간암이 가장 높은 분포를 위암, 폐암 순이었다. 여자의 경우 두 자료원 모두 위암의 사망분물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청 자료에서는 간암, 유방암 순이었고, 보험개발원 자료에서는 유방암, 간암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사망자료원에 따라 암사망통계의 내용과 결과가 차이가 있으며, 이는 자료원의 목적과 성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를 해석하고 이용하는데 자료원에 따라 충분한 검토와 주의가 요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