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망자

Search Result 85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tudy on Sanitary Management of Deceased Bodies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of Cause of Death (사망 원인별 유형 분석을 통한 사망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연구)

  • Choi, Jeungm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265-275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luid excretions and changes in deceased bodies depending on type, location of, and causes of death for hygienic management of funeral homes. Based on the 858 cadavers studied,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death is 68.6 years, 83.0% had illness as the cause of death, and 79.5% passed away in a medical facility. Fluid excretion was observed in 46.2% of the cadavers. In manner of death, 78.8% of deaths -highest percentage- was due to an accident and 10.8% of deaths - lowest percentage- was due to age. Fluid excretion was observed in 46.3% of cadavers from medical facilities, 38.6% of cadavers from homes and 77.4% of cadavers from miscellaneous locations. There were various number of cadavers with recorded immediate,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however, the fluid excretion rate was similar. In analyzing the immediate,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respiratory and heart disease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categories of body organ and system. In terms of fluid excretion, liver disease followed by digestive and circulatory diseases were most common in immediate cause of death. Accidents and miscellaneous circumstances were most common amongst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s of death for cadavers with fluid excretion. Based on the recorded illnesses of the cadavers, cardiopulmonary failure was most common as evident in 96 cadavers followed by pneumonia and sepsis. Cholangiocarcinoma (73.3%) had the highest rate of fluid excretion followed by pancreatic cancer, severe brain injury and liver cancer amongst categories of illnesses with more than 15 cadavers.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eaths due to Fires based on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Korea (사망원인통계연보에 기초한 화재로 인한 사망자발생 실태 분석)

  • Lee, Eui-Pye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1 s.61
    • /
    • pp.98-103
    • /
    • 2006
  • This paper analyzed deaths caused by fires using th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vital registration) publish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number of fire deaths and the fire death rates of all deaths have started to decrease since the height in 1993. The younger groups have increasingly more fire deaths than the older groups. While children groups(age 10 and under) have decreased in their deaths caused by fires, the older groups (65 and over) tend to increase. Males are more likely to have a risk than females in all age groups. Fire death rates per 100,000 populations by age group suggest very high rates in the older groups. Although there are few changes in death rates caused by fires of all deaths, young children (age 4 and under) and older adults (age 75 and over) have a higher risk than any other age groups.

Estimation of Fatality Reduction by Introducing Technical Regulation on Pedestrian Protection (보행자 충돌안전기준 도입에 따른 사망자수 감소 효과 추정)

  • Oh, Cheol;Kang, Youn-Soo;Kim, Won-Kyu;Kim, Beom-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3 s.81
    • /
    • pp.49-57
    • /
    • 2005
  •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the fatality reduction by introducing technical regulation on pedestrian protection in pedestrian-vehicle collisions. Modeling a probabilistic pedestrian fatality model with logistic regression approach was one of keen interests, which employed in estimating the fatality reduction. Collision speed obtained from the accident reconstruction was used in the model development. The effects of fatality reduction, in case various Head Injury Criterion (HIC) and collision speeds are applied for the regulation. were presented as the major outcome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ould be an invaluable tool to assist in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and policies for pedestrian protection.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mortality under high temperature in Seoul, South Korea (서울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고온 현상 발생 시 사망자에 미치는 영향)

  • Lee, Jisu;Kim, Man-Kyu;Park,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195-2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groups vulnerable to extreme heat and to reduce mortality caused by high temperature. For this purpos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s were studied. The study area was limited to Seoul (South Korea) and climate data from 2000 to 2010 was used. Our results indicate that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s for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aging population and a low proportion of aging population are $27.6^{\circ}C$ and $27.9^{\circ}C$,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a relative size of welfare dependant population did not affect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s. However,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aging and welfare dependant population experienced $0.7^{\circ}C$ lower mortality-threshold temperature than other regions. This implies that low income and older people in Seoul are more easi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needs a policy targeted to low income and aging population to decrease mortality rate caused by extreme heat.

  • PDF

한국인의 사망원인 구조, 1983~1993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67-193
    • /
    • 1995
  • 사망원인통계연보는 사망발생 당년에 신고된 사망 자료만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수록된 사망(당년신고, 또는 비지연신고)은 물론 수록되지 아니한 사망(지연신고)의 사인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차적으로, 사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연신고의 다양한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신고된 모든 사망신고를 기초로, 지연신고와 당년신고라는 신고행태에 따라 사인별 사망구성비, 사망률, 사망률성비를 구하였다. 지연신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지연신고율은 다른 집단보다 여성, 젊은층, 의사진단사망자, 병원사망자에게서 더 높다. 당년신고 사망자의 성별 사인구조와 비교해 볼 때, 지연신고 사망자의 주요 사인구조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데, 남성에게는 감염성질환, 순환기계질환, 호흡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여성에게는 감염성질환, 호흡기계질환 및 소화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진다. 1983~1993년 동안 신고된 모든 사망에 대한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손상 및 중독이 남녀 모두에게 주요 3대 사인이다. 둘째, 만성 간질환, 각종 사고, 폐암, 자살은 남성에게 치명적인 사인으로서 남녀의 성별 사망력 차이를 넓혀주는 원인이다. 세째, 손상 및 중독, 특히 교통사고는 45세 이하의 젊은 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되는데 반해,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소화기계질환은 고령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된다.

  • PDF

건강검진 후(後) 건강수치 읽기 - 간염, 미리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하자

  • Kim, Nam-Hui
    • 건강소식
    • /
    • v.36 no.10
    • /
    • pp.30-31
    • /
    • 2012
  • 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해마다 2만여 명에 가깝다. 이는 전체 사망자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단일 장기로 따지면 만성 간질환은 뇌혈관질환에 이어 사망 원인 2위다. 특히 40~50대 사망원인 중 3위를 차지한다고 한다. 간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B형 간염이 약 70%, C형 감염이 약 10~15%를 차지하고 있다.

  • PDF

Family Planning and Health Programes in China (중공의 가족계획 및 보건사업)

  • Hu, Ching-L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8 no.1
    • /
    • pp.139-170
    • /
    • 1985
  • 사망원인통계연보는 사망발생 당년에 신고된 사망 자료만 수록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수록된 사망(당년신고, 또는 비지연신고)은 물론 수록되지 아니한 사망(지연신고)의 사인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부차적으로, 사인구조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연신고의 다양한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신고된 모든 사망신고를 기초로, 지연신고와 당년신고라는 신고행태에 따라 사인별 사망구성비, 사망률, 사망률성비를 구하였다. 지연신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지연신고율은 다른 집단보다 여성, 젊은층, 의사진단사망자, 병원사망자에게서 더 높다. 당년신고 사망자의 성별 사인구조와 비교해 볼 때, 지연신고 사망자의 주요 사인구조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데, 남성에게는 감염성질환, 순환기계질환, 호흡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여성에게는 감염성질환, 호흡기계질환 및 소화기계질환의 비중이 더 커진다. 1983~1993년 동안 신고된 모든 사망에 대한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손상 및 중독이 남녀 모두에게 주요 3대 사인이다. 둘째, 만성 간질환, 각종 사고, 폐암, 자살은 남성에게 치명적인 사인으로서 남녀의 성별 사망력 차이를 넓혀주는 원인이다. 세째, 손상 및 중독, 특히 교통사고는 45세 이하의 젊은 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되는데 반해, 순환기계질환, 악성 종양, 소화기계질환은 고령층에게 중요한 사인이 된다.

  • PDF

혼인과 은퇴 고령 남성의 사망 간의 관계: 미국 은퇴자 종단 자료의 분석 결과

  • Lee, Seong-Y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3-45
    • /
    • 2005
  • 혼인과 사망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혼인상태에 있는 사람이 혼인상태에 있지 않은 사람보다 더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선별효과와 보호 효과로 설명된다. 선별 효과에 의하면, 건강한 사람이 쇠약한 사람보다 혼인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독신자 집단은 유배우자 집단에 비해 병약한 사람들이 전체 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더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보호효과는 혼인이라는 유대를 통해 배우자들이 건강할 때나 아플 때나 서로의 건강을 염려해 주고 또 경제적 그리고 정신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에 관련된 병을 감소시켜, 혼인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사망률을 혼인 상태에 있지 않은 사람들의 사망률보다 낮춰 준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혼인상태의 은퇴 고령 남성이 독신상태의 은퇴 고령 남성과 유의미한 사망률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이혼하거나 별거하거나 혹은 배우자가 사망한 상태의 은퇴 고령남성보다는 낮은 사망률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록 선별효과를 입증해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혼인을 통한 재정적 복지가 은퇴 고령 남성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적 증거는 발견하였다. 중간 소득과 저소득 사이의 은퇴 고령 남성에서 나타나는 사망률 차이는 그들 건강상태의 차이로 나타난다. 중간소득의 은퇴고령 남성이 저소득의 은퇴 고령 남성보다 약간 더 많은 재정적 복지를 통해 보다 나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그 결과 약간 더 낮은 사망률을 보인다. 반면 고소득의 은퇴한 고령남성에게는 혼인의 재정적 복지뿐 아니라 그들의 소득도 그들의 건강증진 및 사망률 저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건강상태일지라도, 고소득의 은퇴 고령남과은 타 집단의 고령 남성보다 사망할 가능성이 낮았다.

지역별 사망진단서 첨부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ang, Hye-Je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47-71
    • /
    • 2005
  • 본 연구는 사망원인통계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망진단서 첨부율이 지역간 큰 격차를 보인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어떤 요인이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1년부터 2000년까지 10개 년 간 6개 대도시 및 9개 시도의 지역별 사망진단서 첨부율과 각 지역의 사망자, 신고자 및 기타 지역 특성을 사망신고자료와 지역통계연보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이 패널자료를 분석함에 있어서 진단서 첨부율에 영향을 미치되 불가피하게 누락된 요인의 영향은 가변수를 사용하는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변수 중에서는 사망자의 교육수준과 병원사망자 비율이 사망진단서 첨부율의 지역별 차이를 낳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망원인통계의 추가적인 질 제고를 위해서는 국가정책수립에 있어서 사망원인통계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 및 교육과 농어촌 벽지 및 도서 지역 등 의료이용이 여전히 어려운 지역에서의 의료기관 이용률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