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망의 주요 원인

Search Result 5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Sanitary Management of Deceased Bodies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of Cause of Death (사망 원인별 유형 분석을 통한 사망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연구)

  • Choi, Jeungm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265-275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luid excretions and changes in deceased bodies depending on type, location of, and causes of death for hygienic management of funeral homes. Based on the 858 cadavers studied,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death is 68.6 years, 83.0% had illness as the cause of death, and 79.5% passed away in a medical facility. Fluid excretion was observed in 46.2% of the cadavers. In manner of death, 78.8% of deaths -highest percentage- was due to an accident and 10.8% of deaths - lowest percentage- was due to age. Fluid excretion was observed in 46.3% of cadavers from medical facilities, 38.6% of cadavers from homes and 77.4% of cadavers from miscellaneous locations. There were various number of cadavers with recorded immediate,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however, the fluid excretion rate was similar. In analyzing the immediate,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respiratory and heart disease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death in categories of body organ and system. In terms of fluid excretion, liver disease followed by digestive and circulatory diseases were most common in immediate cause of death. Accidents and miscellaneous circumstances were most common amongst secondary and underlying causes of death for cadavers with fluid excretion. Based on the recorded illnesses of the cadavers, cardiopulmonary failure was most common as evident in 96 cadavers followed by pneumonia and sepsis. Cholangiocarcinoma (73.3%) had the highest rate of fluid excretion followed by pancreatic cancer, severe brain injury and liver cancer amongst categories of illnesses with more than 15 cadavers.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시도의 사망원인별 사망력)

  • Park Kyung 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6 no.2
    • /
    • pp.1-32
    • /
    • 2003
  • An analysis on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policy formulation and makes it possible to draw hypotheses regarding various diseases and causes of death. Although the mortality level and causes of death at the provincial level are determined by the multiple effects of socioeconomic, cultural, med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is study primarily intends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Utilizing the registered death and the registered population as of 1998, the delayed death registration and unreported infant deaths were supplemented at the provincial level and age-standardized death rates and life tables were calculated. Regarding the mortality level due to all cause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For both sexes as a whole, Seoul showed the lowest mortality level, and Jeonnam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level; and (2) The differences of the mortality level among provinces were greater for males than females and for those less than 65 years than those 65 years and over. Regarding the cause-specific mortality level revealed in all indicators (cause-specific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and the probability of dying at birth due to a specific cause for males, females, and both sexes combined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The mortality level due to heart diseases was the highest in Busan and the lowest in Gangweon; (2) The mortality level due to liver diseases was the highest in Chonnam; and (3) The mortality level due to traffic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Chungnam and the lowest in Inchon. A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at the provincial level are related to various factors, exploratory statistical analysis is attempted for the 25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and 90 mortality variables. Mortality due to all causes are related to socioeconomic variables. Among cause-specific mortality, mortality due to liver diseases and traffic accidents is related to socioeconomic variables. Finally,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eath certificate is discussed.

암 예방을 위한 바람직한 식생활

  • 김갑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18-21
    • /
    • 1997
  • 오늘날 최신 의료기술 및 과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는 것에 비해 암 발생률은 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암은 인류의 1/3을 사망하게 하는 주요원인으로 인류공동의 관심사이며 온 세계의 과학자나 의학자들에게 주어진 최대 과제이기도 하다. 암발생률과 사망률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1년에 약 1백만명 정도가 암에 걸리고 그 중 약 45만명 정도가 암으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일본은 1981년부터 사망 원인 1위가 암으로 밝혀진 후 연간 약 22만명 정도가 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우리 나라 역시 1988년부터 암이 병인별 사망원인 1위가 된 후 최근 1995년에는 인구 10만명당 1413명이 암으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의 발병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유전적인 요소와 같은 내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발행이 더 큰 원인이 되고 있으며 환경적 요인 중에서도 매일 반복해서 섭취하는 음식물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일상적인 식생활에 좀 더 주의한다면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사를 암을 예방할 수 있는 식사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 PDF

연간 특별기획-제2편 뇌졸중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32 no.3 s.352
    • /
    • pp.6-13
    • /
    • 2008
  •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사망원인 중 두 번째를 차지하는 질병이다. 2003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연간 10만명 당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자는 75.5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가장 높은 사망원인인 암이 위암, 폐암,간암 등 모든 암 질환을 포함한 것임을 감안할 때 단일 질환으로는 뇌졸중이 사망원인 1위라 하겠다. 성인의 경우 여러 가지 신체적 장애를 일으키는 주범이기도 한 뇌졸중은 주로 노인질환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30∼40대에도 흔히 발병하고 있다. 이는 식생활 변화 및 운동부족으로 인해 뇌졸중의 주요 원인인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등의 발생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건강소식>이 마련한 연간 특별기획 '한국인의 10대 질병부담, 그 예방과 극복'. 이번 달은 그 두 번째 연재로 뇌졸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PDF

특집 - 당뇨가 혈관에 주는 영향

  • Son, Seok-Man
    • The Monthly Diabetes
    • /
    • s.210
    • /
    • pp.8-10
    • /
    • 2007
  • 대혈관 합병증은 중간크기 이상의 혈관(동맥 및 정맥)에서 동맥경화증이나 죽상경화증에 의한 변화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상동맥, 뇌혈관 및 말초혈관에 주로 발생하며 당뇨병환자의 주된 사망원인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환자에서 대혈관 합병증인 죽상경화증은 가장 흔하고 중대한 만성합병증으로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이 발생합니다. 발생률은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2$\sim$5배 높으며 제 2형 당뇨병뿐만 아니라 제 1형 당뇨병환자의 주된 사망원인이 됩니다. 대혈관 합병증과 관련된 질환은 유병기간이 오래된 당뇨병환자에서 이환율, 장애 정도, 사망률 및 치료비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당뇨병환자의 사망은 대부분이 대혈관 합병증과 관련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2$\sim$4배 증가합니다.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은 건강관리를 위한 지출에 상당히 영향을 미칩니다. 총 의료관리 예산의 약 25%가 당뇨병 및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의 치료에 지출됩니다. 위험요소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면 만성합병증의 85%가 지연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미국의 경우 매년 170억 달러의 의료관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 PDF

폐포자충 폐렴, 기회질환 사망의 주요 원인

  • 김신우
    • RED RIBBON
    • /
    • s.63
    • /
    • pp.8-9
    • /
    • 2005
  • 폐포자충 폐렴은 과거 에이즈 환자의 표지질환이었으나 최근 적절한 항바이러스제의 병합요법(HAART)과 예방요법으로 환자들이 많이 감소하였다. 적절한 병합요법과 예방요법을 시행하면 폐포자충 폐렴의 발생률은 $0\%$에 가깝다. 그러므로 적절한 시기에 HAART와 같은 예방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발생의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Cause of Death Accident on Peak and Non-Peak Hours in Highwa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첨두·비첨두시간대 고속도로 노선별 사망사고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Jo;Baek, Jun-Hyouk;Jung, S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07-208
    • /
    • 2017
  • 본 연구는 전국 고속도로별 첨두 비첨두 시간에 발생되는 교통사고 중 사망사고의 주요 요인들을 발견하고 분석하여 각 노선별 사고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남해선의 경우 첨두 시간에 발생되는 사망사고의 요인 중 주시태만이 첨두가 비첨두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고, 논산천안선, 호남선과 중부내륙선의 경우 모두 졸음의 사망사고 위험도가 첨두일 경우 비첨두의 경우보다 높게 나왔으며 논산천안선, 호남선의 경우 비첨두일 때 과속에도 영향을 받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이하게 경부선의 경우 졸음의 사망사고 위험도가 오히려 비첨두일 경우가 첨두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비첨두일 경우 경인선, 서해안선, 영동선 등의 노선에서도 졸음, 주시태만과 과속의 위험도가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Cause of Death Accident between Cental & Southern Area Highway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중부·남부 고속도로별 사망사고 원인 분석 및 비교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Jo;Baek, Jun-Hyouk;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09-210
    • /
    • 2017
  • 본 연구는 고속도로 40개선을 중부 남부 그룹으로 나누어 종단경사, 월별, 가해자연령구간 측면에서 사고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유의하게 지역별 고속도로 사망사고를 높이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조사된 노선 중 88올림픽선, 남해선, 호남선, 울산선 등을 포함한 18개 고속도로 노선을 남부 그룹으로, 경인선, 영동선, 서울외곽순환선 등을 포함한 11개 고속도로 노선을 중부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고속도로에서의 사망사고 주요 원인의 비율 1위 과속, 2위 주시태만으로 비슷했으나 남부 고속도로 그룹은 요인 중 졸음에만 유의했다. 중부 고속도로 그룹에서도 졸음 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부보다 오즈비가 1.22배 높게 나타났다. 추가로 중부 고속도로 그룹에서 주시태만(오즈비 1.477), 운전자기타(오즈비 0.347)이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 PDF

Heart Disease Prediction Using Decision Tree With Kaggle Dataset

  • Noh, Young-Dan;Cho, Kyu-Cheo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5
    • /
    • pp.21-28
    • /
    • 2022
  • All health problems that occur in the circulatory system are refer to cardiovascular illness, such as heart and vascular diseases. Deaths from cardiovascular disorders are recorded one third of in total deaths in 2019 worldwide, and the number of deaths continues to rise. Therefore, if it is possible to predict diseases that has high mortality rate with patient's data and AI system, they would enable them to be detected and be treated in advance. In this study, models are produced to predict heart disease, which is one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models with Accuracy, Precision, and Recall, with description of the way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Decision Tree(Decision Tree, KNN (K-Nearest Neighbor), SVM (Support Vector Machine), and DNN (Deep Neural Network) are used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scikit-learn, Keras, and TensorFlow libraries using Python as Jupyter Notebook in macOS Big Su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the Decision Tree demonstrates the highest performance, thus,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Decision Tree in this study.